세상의 온갖 것들이 깨어나고 있는 이 때, 이들을 축복하기라도 하듯이 봄비가 내리고 있다.

 

촉촉하게.

 

이 촉촉함이 모든 사람들 마음에 젖어들었으면...

 

아직도 봄이 오지 않은 사람들, 봄을 만끽할 수 없는 사람들...

 

진정, 봄이 필요한데, 그들에겐 아직도 겨울인 그런 사람들.

 

그 사람들의 가슴에 봄을 잊지 않게...

 

봄이 오고 말리라고...

 

봄비가 내리고 있다.

 

삶창 92호를 읽다.

 

봄비만큼 마음을 촉촉하게 적신다.

 

이 작은 책에 봄이 들어 있다.

 

우리네 삶의 봄이.

 

연초록의 싱그러운 잎들이 제 자태를 뽐내지 않고 드러내듯, 삶창도 그렇게 연초록의 밝음으로 세상에 나오고 있다.

 

새순들 자체가 세상을 밝게 하듯이, 삶창도 존재 자체로 세상을 밝게 하고 있다.

 

그래서 봄비만큼이나 마음이 따뜻해진다.

 

이 따뜻함.

 

힘든 시기를 견디고 있는 사람들이 견디어낼 수 있는 힘으로 바뀌리라.

 

봄비가 땅에 스며들어 새싹들의 영양분이 되듯이, 삶창도 사람들에게 영양분이 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마트폰을 스마트하지 않게 쓴다.

 

이게 요즘 우리 아이들에게 딱 맞는 말이지 싶다.

 

하긴 어른들이라고 다를 것 같지는 않으니. 어른들도 스마트폰을 과연 스마트하게 사용하고 있을까 생각을 해보면, 글쎄 라는 답변이 나오게 된다.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해주기 위해서 만들어낸 기계가 인간을 옭죄게 하면 안되는데...

 

지금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면 사람이 실종되고 기계만 존재하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연인끼리도 상대의 얼굴을 보지 않고 손바닥 안의 기계만을 보고 있는 현실과 약속을 잡을 때도 지속성이 없이 언제든지 약속을 하고 취소를 할 수 있는 시대가 되어서 약속이라는 말에서 책임이 사라져버리고 말았으며, 정보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대신에 쓰레기 정보들이 넘쳐나게 되어 정보를 통합하는 능력이 상실되고 있으며, 세계 어느 곳과도 통화가 가능하게 되어 그리움이라든지, 신비감이라든지 하는 것들이 사라져버리고 만 현실.

 

그렇다고 이러한 문명의 발전을 잘못된 것으로 무작정 거부만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고, 반대로 무조건 열광만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니...

 

이런 스마트 세상에서 중심을 잡아야 한다. 어떻게 잡아야 할까?

 

아무리 기계문명이 발달해도 중심은 인간이라는 사실을 명심하고, 인간 중심적으로 기계를 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해내야 하지 않을까.

 

무작정 좋은 거다. 이게 발전이다 하지 말고, 인간의 삶에서 정말로 필요한가, 필요하지 않은가. 이것이 우리 인간의 삶에 어떤 작용을 할까 고민을 하고 사용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야 하지 않나.

 

민들레 86호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시대(일명 스마트 시대)에 말을 걸고 있다.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하고.

 

학교에서 스마트 교육을 하겠다고 하는데, 과연 그것이 교육에서 반드시 필요한가 검토를 해봐야 한다는 이야기까지...

 

지구에서 가장 빠름, 빠름, 빠름을 추구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교육현장에까지 이 빠름을 추구하고자 한다고 하니... 과연 그것이 교육적일까 하는 의문을 가진다.

 

기계에 종속되지 않고, 기계의 주인이 될 수 있는 교육을 먼저 해야 하지 않을까. 지금처럼 아이들이 스마트폰 중독, 게임 중독에 접어들고 있는 이 때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디오 대여점에 가다. 주말 나들이 계획은 없고, 집에서 영화나 볼까 해서.

 

무슨 영화를 골라야 하는지 늘 고민이 되지만, 무겁지 않은 영화를 고르려고 했는데, 요즘 세상도 어수선하고 무거운데, 영화까지 무거우면 마음이 더욱 무거워질 것 같아서 가볍고 코믹한 영화를 보려 했다.

 

그런데 참 영화 고르기 힘드네... 가볍고 코믹한 영화라고 하지만 잘못 골랐을 경우엔 이도 저도 아닌 영화로 오히려 짜증만 돋구고 마는 경우도 있으니, 이것 골랐다 저것 골랐다 하다, 에이, 기준을 바꾸자... 그래도 천만 명이 넘게 본 영화인데, 극장에서 보지 않아도, 집에서라도 보아주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에 "광해"를 골랐다.

 

"광해"에 대해서야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영화는 픽션이라 사실과 다르다는 생각을 하고 있지만, 그래도 픽션에 사실이 더해져야 영화의 흥미와 완성도가 높아지니, 어느 정도 다루고 있을까 하는 생각에, 또 많은 사람들을 영화관으로 끌어들였다면 무언가가 있다는 얘기라는 생각에, 골라서 집으로 오다.

 

진지함과 코믹이 합쳐진 영화, 사실과 허구가 합쳐진 영화. 그렇지만 생각거리가 많은 영화.

 

광해군.

 

조선시대 임금 중에서 "조"나 "종"을 달지 못하고 "군"자를 결국 떼지 못한 두 명의 왕 가운데 하나.

 

이 중에 연산군이야 평가가 엇갈릴 일이 별로 없는데, 광해군에 대한 평가는 극명하게 갈리고 있으니.

 

아마도 그 당시에도 그에 대한 평가는 극명하게 갈렸으리라.

 

언제부터인가 광해군을 폭군이 아닌 뛰어난 외교실력을 지닌 왕으로 이야기하는 글들이 나오기 시작했고, 그의 외교를 등거리 외교라고 이름하기도 했다.

 

그만큼 그는 전쟁의 비참함을 알고 있었고, 전쟁을 피하기 위해서 온갖 노력을 다했다는 얘기가 성립한다.

 

그럼에도 "구국지은(求國之恩)"이라는 이름으로 명나라에 대한 충성심으로 똘똘 뭉친 집권세력들은 그의 외교정책을 이해하지 못한다.

 

사대의 예... 큰 나라에 대한 맹목적인 충성심. 어쩌면 떠오르는 나라였던 청나라가 만주족이었기 때문에 더 반발이 심했을지도 모른다. 자기들은 작은 중국이라고 '소중화(小中華)'라고 일컫던 사대부들이었으니 말이다.

 

하여 그들은 광해를 죽도록 미워하게 된다. 그의 개혁 정책도 정책이지만, 개혁 정책에는 무어라 반기를 들 명분이 없으니, 친명반청으로 무장된 그들에게 친청 정책을 펴는 광해는 제거할 수 있는 명분을 준 왕일 수밖에 없었다.

 

영화에서야 가짜 왕을 등장시켜 할 말을 다하게 하지만, 실질적으로 광해는 자신의 할 말을 다하지 못했으리라.

 

그의 주변에 그를 믿고 따르는 현명한 신하가 없었으며, 또한 있었다고 해도 광해 자신이 그에게 많은 권한을 주어 개혁 정책을 펴게 할 수 있었는지는 의문이기 때문이다.

 

영화에서 허균이 그의 측근으로 나오지만, 허균 역시 당시에는 힘을 쓰지 못한 존재에 불과했으니, 주나라 초기 주공과 같은 현명한 신하가 없다는 불행이 광해에게 닥친 불행이고, 조선에게 닥친 불행이 아니었을까.

 

자신의 이익만을 위하는 집권세력은 대외 관계의 변화에는 관심이 없다. 또 백성들의 삶에는 관심이 없다. 오직 자신들의 이익만이 있을 뿐이다. 그러니, 자신들을 지지해주는 명나라는 은혜로운 나라일 뿐이다. 그 나라가 망해가든 말든 그건 상관할 일이 아니다.

 

무언가 짚히는 것이 있지 않은가. 역사는 단지 과거의 일일 뿐인가. 아니다. 역사는 지금을 읽을 수 있는 거울이다.

 

그래서 우리는 역사를 공부하지 않는가.

 

영화 "광해"를 보면서 지금 우리가 처한 현실을 살필 수 있지 않나...아니 살펴야 하지 않나. 광해가 집권했던 그 시대의 모습과 지금, 비슷하지 않나. 우리는 이미 하나의 참고자료를 가지고 있으니, 역사는 반복되지 않는다는 말을, 더 나은 모습을 우리가 지닐 수 있다는 말로 바꿀 수 있는 시기이지 않나 싶다.

 

영화만으로 부족하다면 책을 읽어도 좋을 일.

 

한명기의 "광해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날이 흐리다. 오전에 비가 오더니, 한 때 해가 제 얼굴을 내밀어 존재를 보여주더니, 다시 구름에 가려 우중충하다.

 

춘래불사춘이라고, 봄은 봄이되 봄 같지 않다는 말을 달고 사는 요즘, 이 놈의 날씨가 왜 이래 하는 마음에 들고 있으니...

 

비가 내리면 땅이 촉촉해지고, 더불어 마음도 촉촉해지는데, 이번 봄비는 그런 마음을 불러일으키지 않는다.

 

자연과 사회와 사람이 어울리는 그런 삶이 된다면 좋겠는데, 자연은 자연대로, 사회는 사회대로, 사람은 사람대로 살고 있지는 않은지...

 

그래도 봄은 온다. 봄비는 여러 생각을 하게 한다. 세상이 어둡고 힘들다 해도, 봄비는 다른 생명체들에게 생기를 불어넣는다. 그런 봄비같은 사람, 봄비같은 사회, 그립다.

 

공기가 무거워지니 마음이 차분해진다. 무언가 책을 읽고 싶어진다. 시집을 꺼내든다.

 

우연히 고른 시집이 날씨와 맞아떨어지는 때가 있는데, 이 경우도 마찬가지다. 제목이 마음에 들어, 평소에 시인에 대한 믿음이 있기에 망설이지 않고 뽑았던 시집인데, 내용이 봄과 많이 연결이 된다.

 

요즘 시류와도 연결이 된다.

 

세상이 달라졌다

 

 

세상이 달라졌다

저항은 영원히 우리들의 몫인 줄 알았는데

이제는 가진 자들이 저항을 하고 있다

세상이 많이 달라져서

저항은 어떤 이들에겐 밥이 되었고

또 어떤 사람들에게는 권력이 되었지만

우리 같은 얼간이들은 저항마저 빼앗겼다

세상은 확실히 달라졌다

이제는 벗들도 말수가 적어졌고

개들이 뼈다귀를 물고 나무 그늘로 사라진

뜨거운 여름 낮의 한때처럼

세상은 한결 고요해졌다

 

 

정희성, 시를 찾아서, 창작과비평사, 2001년 초판. 41쪽

 

그래 세상은 달라졌다. 소수자들이 자신들의 인권을 지키기 위해서 온갖 노력을 했던 때를 지나 이제는 차별금지법을 제정하는데, 힘있는 자들이 그런 법은 안된다고 저항을 한다.

 

과연 세상이 고요해졌을까. 정말 저항해야 할 사람들이 침묵하고, 정작 침묵해야 할 사람들이 목소리를 높이는 세상이 좋은 세상일까?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사람을 미워해서는 안된다. 그러면 똑같은 사람이 된다.

 

굳이 니체를 인용하지 않더라도, 괴물과 싸우는 우리는 스스로 괴물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이 때 이 시집의 시 시가 떠올랐다.

 

첫 고백

 

'오십 평생 살아오는 동안

삼십년이 넘게 군사독재 속에 지내오면서

너무나 많은 사람들을 증오하다 보니

사람 꼴도 말이 아니고

이제는 내 자신도 미워져서

무엇보다 그것이 괴로워 견딜 수 없다고

신부님 앞에 가서 고백했더니

신부님이 집에 가서 주기도문 열번을 외우라고 했다

 

그래서 나는 어린애 같은 마음이 되어

그냥 그대로 했다

 

정희성, 시를 찾아서, 창작과비평사, 2001년 초판. 32쪽

 

괴물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어린이의 마음을 가져야 한다.

 

오죽했으면 니체조차도 낙타의 단계와 사자의 단계를 지나 어린이의 단계에 이르러야 한다고 했겠는가. 어린이의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행동해야 한다.

 

그러면 그것이 바로 봄이다. 봄은 어린이다. 그렇게 우리에게 약동하는 힘을, 미워하지 않는 사랑을, 물들지 않은 순수함을, 망설이지 않는 추진력을 준다.

 

지금 이 봄은 그렇게 우리에게 다가와야 하는데...이런 봄, 마음을 울리는, 마음을 촉촉하게 해주는 시 한 편.

 

사랑

 

사랑아 나는 눈이 멀었다

멀어서

비로소 그대가 보인다

그러나 사랑아

나도 죄를 짓고 싶다

바람 몰래 꽃잎 만나고 오듯

참 맑은 시냇물에 봄비 설레듯

 

정희성, 시를 찾아서, 창작과비평사, 2001년 초판. 33쪽

 

이런 사랑. 봄에 하는 사랑. 그것이 자연에 대한 사랑이든, 사회에 대한 사랑이든, 사람에 대한 사랑이든, 눈 먼 사랑, 눈이 멀어서 비로소 보이는 사랑.

 

봄... 비 내리는 밖을 보며 든 생각들... 시들...

 

시인은 "시를 찾아서"라고 했다. 나는 이 시집을 읽으면서 "봄을 찾아서"이다.

 

내 봄을 찾아서 시집을 읽는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싸이의 "젠틀맨"이 엄청난 인기를 얻고 있다고 한다. 작년에 "강남 스타일"로 세계적인 스타로 떠오른 싸이의 후속작이다.

 

평가는 기존 강남 스타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안정을 취한 작품이라고 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싸이라는 이름에 유명세를 더 타지 않나 싶다.

 

예전 같으면 B급 음악이라고 했을텐데, 이제는 그런 소리를 하지 않는다. 음악에 에이급이다 비급이다 하는 것이 있겠느냐마는, 이상하게도 싸이의 음악이 홀대를 받았던 것은 사실이다. 강남 스타일로 세계적인 스타가 되기 전에는.

 

싸이가 세계적인 스타가 되고 난 뒤, 그의 작품은 나름대로 의미를 지니게 된다. 그냥 예전 싸이의 음악이라는 소리가 아니라, 이제는 세계적인 스타의 음악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스타는 한 번 만들어지면 계속 더 스타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회를 지니게 된다. 그런데 어떻게 싸이가 만들어졌을까?

 

어쩌면 우리는 이제는 스타라는 것도 개인의 노력보다는 무언가 만들어진 제도 속에서 탄생하는 것이라고 생각해도 되지 않을까.

 

스타는 개인이라기 보다는 제도의 결과라는 생각. 그런 생각이 들기도 하니, 이는 싸이가 약간은 다르다고 하더라도 소위 말하는 아이돌들을 보면 어느 정도 수긍이 가는 말이다.

 

개인의 능력으로 스타가 되기 참 힘들어진 시대가 되었으니 말이다.

 

여기에 싸이라는 사람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본다. 싸이와 서태지를 비교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겠지만, 서태지도 처음에는 그런 음악을 하다니, 저게 무슨 음악이냐 하는 소리를 듣지 않았던가. 그러나 그는 우리나라 음악의 판도를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하여 우리나라 대중음악계는 서태지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이제 싸이는 자신만의 음악으로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세계적으로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 있으니.. 나중에 어떤 평가를 받게 될지.

 

그냥 음악을 음악으로 즐겨도 되지만, 그런 음악의 역사를 알고 듣는 것도 좋지 않을까? 또 스타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도 알게 되면 더 좋지 않을까.

 

싸이가 다시 언론에 나오는데, 갑자기 두 책이 생각이 났다. 예전에 읽었었는데, 어쩌면 그 책들의 내용이 지금의 싸이 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

 

김호석, 스타 시스템, 삼인, 1998

이영미, 서태지와 꽃다지, 한울, 199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