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냥, 사람
홍은전 지음 / 봄날의책 / 2020년 9월
평점 :
"나도 대학 가고 싶어."
"나도 연애하고 싶어."
"나도 돈 벌고 싶어."
(81p)
올해 봄 한국에서 있었던 일이다.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고 있었다.
오후 5시경 이른 저녁시간 만취된 것처럼 보이는 한 남자가 비틀비틀 걸어오더니 내 앞에 섰다.
사실 잘 몰랐다. 술냄새가 거의 나지 않았고, 핸드폰으로 이것저것 하시기도 했다.
기다리는 사람은 그분과 나. 둘이었다.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했다. 몸을 잘 가누지 못한 그 남자는 버스에 오르는 시간이 더뎠다.
기사님이 그분에게 물었다. 행선지가 어디냐고? 대답이 어눌했다. 기사님은 다른 버스 타야 한다고 하시며, 마지막으로 건네는 말. "그런 몸으로 술은 왜 마셨어?"
'그런 몸'
술을 마실 수 있는 몸이란 과연 무엇인가?
우리의 몸은 술을 마실 수 있는 몸과 마실 수 없는 몸으로 나눠져 있는 것이다.
이런식의 사고 방식은 누리는 자들의 특권의식에 뿌리를 내리고 성장한다.
한동안 버스 기사님의 말이, 그 마음이 내 마음 속에 머물러 있었다.
솔직히, 술이라니..언감생심.
소위 '그런 몸'을 가진 자들에게 허락되지 않는 것들은 수없이 많다.
이동할 수도, 배울 수도, 사람을 만나서 친구/애인을 만들 기회도,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을 쉽게 할 수 없다.
집 값 하락을 걱정하며 장애인 학교 유치를 반대하는 사람들을 향해서 무릎을 꿇고 눈물로 호소하는 장애인 부모님들. 장애인 이동권위해 투쟁하는 자들. 장애 등급제 폐지와 탈 시설화를 위한 사회 복지 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지나한 싸움들. 안산 화랑 유원지에 세월호 추모 공원 조성을 반대하는 주민들에게 "혐오스럽게 짓지 않을게요" 머리를 조아렸던 유가족들. 어떤 이들에게는 마땅히 누리는 기회와 권리가 누군가에게는 한번도 누려보지 못한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현상을 보더라도, 사회적으로 인간은 불공평한 관계에 놓여 있음이 분명하다. 불공평한 관계를 통한 수혜자들은 저편에 있는 이들이 눈앞에 보이지 않길 원한다. 보이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다는 착각이 자연스레 사실이 되어 자신이 누리고 있는 권리에 대해서 당연하다고 생각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권리는 자신들만의 것이라고만 생각하기 때문에, 타인/타집단에는 허락 할 수 없다가 당연하게 된다.
'공감' 과 '연대'라는 것에 대해서 요즘 자주 생각한다. 특히, 공감이라는 것에 대해서 여러가지 의문들이 드는데...그 중에 하나는 과연 공감 능력이라는 것이 감성적인 것일까? 아님 이성적인 부분일까? 흔히들 감성적으로 마음이 울컥하고 눈물 흘리는 것이 공감 능력이라고 착각했던 시간들이 있었다. 하지만 우리는 나와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것은 그렇게 간단하고 감성적이지 않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신영복은 '아름다움'이 '앎'에서 나온 말이며,'안다'는 건 대상을 '껴안는'일이라고 했다. (102p) 치열하게 파고 들어가서 들여다 보고 알아야 한다. 알아야 한다. 눈으로 보고, 듣고, 숨쉬고, 만져야 알 수 있는 것들이 있다. 결국, 이는 궁극적으로 그들과 더불어 즉, 다른 이들과 함께 부대끼며 살아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13년간 노들장애인야학에서 살아왔던 작가 홍은전이 전하는 그들과 함께 했던 삶의 기록은 공감이라는 시간을 통해서 가능했던 것 같다.
하나의 공감이 복제되어 여러개의 공감이 발생되고..점점 공감 크기가 커지고 힘을 갖게 된다.
홍은전 작가님과 어깨를 나란히 한 많은 연대의 삶 자체는...미안함 때문인지.......고마움과 희망의 흔적 때문인지 책을 읽는 내내 눈물을 멈출 수 없었다. 사회의 약자, 보이지 않은 사람들을 카메라에 담아 그들의 존재와 목소리를 꺼내 세상에 내보이신 박종필 다큐멘터리 감독님도 그 중의 한분이셨다.
세상을 아는 가장 안전한 방식은 독서라고 했다. 그렇다면 가장 위험한 방식은 현장으로 들어가는 일. 박종필은 그것을 고집하는 사람이었다. 전자의 앎이 세상을 이해하고 싶은 욕망이라면 박종필의 앎은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열망일 것이다. 전자의 앎이 폭넓음을 지향한다면 박종필의 앎은 정확함을 지향할 것이다. (105p)
2001년 장애인 이동권 투쟁 중 지하철 서울역 플랫폼에서 선로를 향해 뛰어든 장애인을 향해 거침없이 던지는 말 "병신새끼들". 박경석(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대표)는 외쳤다. "좋습니다. 우린 병신입니다. 그러나 당당한 병신이고 싶습니다. 병신에게도 인간답게 살 권리가 있다는 걸 알려줍시다" (127p) 그렇다. 우리 모두는 당당할 권리가 있다. 고로, 누구든 술도 마시고 버스든 지하철도 탈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런 작은 상식이 모두의 상식이 되는 날이 오래 걸리지 않았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