觀其所友 관기소우
觀其所爲友 관기소위우
亦觀其所不友 역관기소불우
吾之所以友也 오지소이우야
그가 누구를 벗하는지 살펴보고,
누구의 벗이 되는지 살펴보며,
또한 누구와 벗하지 않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바로 내가 벗을 사귀는 방법이다.
*연암 박지원의 문집 '연암집'에 나오는 문장이다. 이 글은 담헌(湛軒) 홍대용(1731~1783)이 중국에 들어가 사귄 세명의 벗인 엄성, 반정균, 육비와의 만남을 기록한 글 '회우록'을 지어 연암에게 부탁한 서문에 나오는 글이다. 홍대용과 이 세사람의 우정은 당시 널리 알려진 것으로 대를 이어 이어지며 사람 사귐의 도리로 회자되었다.
오늘날 sns에서 친구 관계가 형성되는 기본과정을 보는 듯하다. 친구의 친구로 이어지는 메카니즘이 사람사는 그것도 한치도 다르지 않다.
때죽나무 꽃 피는 때를 놓쳤다. 그 순한 색과 모여피는 모습, 물 위에 떨어진 모습까지 보고자 필히 찾아보는 꽃이다.꽃은 놓쳤으니 열매라도 볼량으로 눈맞춤 했다. 나란히 달린 모습에서 연인이나 친구 또는 형제나 자매 등 보는 이의 관심도에 따라 여러가지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매번 찾아 눈에 담는 나는 '벗'으로 받아들인다.
연암과 그 벗들의 사람 사귐은 나의 오랜 화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