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든든하다'
마음 상태의 반영이다. 알차고 실하며 야무진 마음이 상대를 향할때 내 마음 속으로 가득 차오르는 느낌이 이와같다. 하여, 든든함은 허전하거나 두렵지 않고 굳세다.

해바라기가 나팔꽃이 해를 향하는 마음이 이와같을 것이다. 믿고 의지하고자 하는 대상을 바라보는 것으로부터 출발한 마음은 오직 한방향으로만 향한다. 그것이 사명이기에ᆢ

든든함은 시간이 겹으로 쌓이는 수고로움을 동반한다. 그 시간동안 그대를 향한 바라기가 오늘의 기적을 만들었다. 다 그대 덕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이현진 지음 / 글항아리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죽음 이후 조선왕 정조

모든 죽음은 안타깝다살아생전 그가 어떤 삶을 살았는지 와는 무관하게 생을 마감한 것에 대한 안타까움이 그것이다그렇다면 모든 죽음은 똑같은 무게를 지닐까살아생전 그 사람이 살아온 삶과 깊은 관련을 맺을 수밖에 없다이는 무엇으로 나타날까죽음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찾아오는 자연스러운 삶의 한 과정이지만 죽은 자를 기억하는 살아있는 사람들에 의해 결정된다.


공식적으로는 신분의 차이가 없어진 현대사회에서도 죽음을 대하는 사회적 분위기는 생전의 사회적 위치에 따라 다르다철저한 신분사회였던 조선시대는 생전 신분에 의해 죽음이후의 모습도 하늘과 땅만큼 차이가 드러난다신분사회 최고정점에 있는 왕의 경우는 어떨까왕이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부터 신주가 종묘에 봉안되어 상장례가 끝나는 3년 동안의 기록을 통해 왕의 죽음이 어떤 위치에 있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권력의 최고 정점에 있었던 왕들의 죽음도 안타깝기는 마찬가지다조선왕 중에 그렇게 안타까운 죽음에 정조를 빼놓을 수 없다정조의 죽음을 두고 독살설이 제기되는 등 의문의 여지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왕의 죽음정조의 국장은 바로 조선 왕 정조의 죽음을 기록한 공식적인 기록인 의궤를 통해 국장의 전 과정을 살피고 있다.


저자가 서술하는 근거로 삼은 것이 의궤다의궤는 조선시대 왕실과 국가에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 그 경과를 그림과 함께 기록한 일종의 공식적인 보고서다특히 흉례 관련 의궤가 많이 제작되었는데이는 곧 국왕의 장례식에 상당한 물량이 투입되고 엄숙한 의식이 행해졌음을 의미한다.


이를 근거로 삼아왕의 죽음정조의 국장에는 크게 두 가지 분류를 국왕의 죽음에 대해 살핀다우선, ‘1부 조선 왕실의 국장 형성과 국장 관련 문헌을 통해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상장례가 유교사회인 조선에 어떻게 정착되었는지를 알아보고 있다. ‘세종실록오례가 정리되면서부터 국조오례의이를 바탕으로 다시 국조속오례의에서 국조상례보편까지 상장례에 관한 변천과정도 살필 수 있다더불어 고려와 조선의 상장례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그 이유도 알아볼 수 있다.


1부의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2부 정조의 국장 절차에서는 정조의 국상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살핀다정조 사후 설치된 국장도감에서 국장에 대한 모든 일을 담당했다. ‘정조국장도감의궤에는 정조가 승하한 뒤 신주를 봉안하기까지의 국장에 관한 온갖 일이 다 기록되어 있다이를 바탕으로 햇수로 3,만 27개월에 걸친 정조의 장례절차를 따라가고 있다.


유교 사회 조선을 지탱해온 사상적 바탕엔 충과 효가 있다. “살아 계시면 예로 섬기고돌아가시면 예로 장사지내며예로 제사지낸다.” 이 충과 효의 집결은 오례로 나타나며 그 중심에 흉례가 있었다그렇기에 이 흉례의 과정을 살피면 당시의 시대상황을 알 수 있다등장인물인물의 배치와 숫자를 비롯하여 수례를 비롯한 온갖 도구들이 구체적으로 실린 반차도도 함께 실려 있어 조선시대 한 장소에 와 있는 듯하다이 조선 왕실의 공식적 기록 속에서 무엇을 봐야 할까그래서 저자의 말대로 죽음에 대한 석연치 않은 의문의 실마리를 풀어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로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염려한다는 것'
빛이 따스함으로 온 몸을 감싸듯 그렇게 전해지길 바라는 마음이다. 그 마음의 무게 중심은 그대에게 가 있다. 어떤 상태인지 궁금함에 머물러 있지 않고 그대의 처한 상황의 변화를 시도한다.

아침을 여는 햇살이 꽃잎을 부드럽게 감싸며 그 꽃의 심장을 두드린다. 햇살에 기대어 깨서난 꽃은 비로소 살아갈 사명을 위해 햇살과 눈을 맞춘다. 이렇게 눈을 마주하는 교감이 일어날때 염려하는 마음은 온전한 제 사명을 다할 수 있다.

염려하는 마음은 꽃의 심장을 두드려 깨우는 햇살의 마음과 다르지 않다. 달을, 음악을, 꽃을, 노을을, 하늘을 빌려 전하는 염려의 마음이 그대에게 닿아 교감이 일어난다. 깊은 눈 속에 환한 미소로 피어나는 순간이 그것이다. 염려하는 마음이 교감을 일으켜 기적을 만든 때이다.

하여, 산 너머 전하는 나의 염려가 그대 가슴에서 닿아 온전히 밝고 환한 미소로 피어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yo Inbu
Memory of the Wind

2015.10.12-10.24 gallery 숨(전주)


창문이 덜컹거리는 소리, 전선을 가르는 소리, 나뭇가지의 흔들림, 깃발이 펄떡이는 요란함, 처마 밑 풍경의 딸랑거림, 귀밑을 스치며 내는 소리ᆢ등 이것은 삶에서 일상적으로 체험하는 바람의 편린이다. 또한 청량하다, 웅장하다, 꿈틀거린다, 상쾌하다, 포근하다, 편안하다, 외롭다, 쓸쓸하다, 서글프다, 두렵다, 서럽다ᆢ등 인간 내면의 감성을 통해서 바람은 묘사되고 인식되기도 한다.


어릴적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당황스러움과 슬픔, 유년시절의 우울함과 서러움, 십대시절의 좌절의 모습, 그리고 청년시절의 분노와 현실을 안타까워하는 모습, 낯선 나라에서의 희망을 꿈꾸는 모습ᆢ등 처음 구체적인 형상이었던 내 기억들은 시간의 흐름속에서 흐릿한 잔상으로 남아서 하나의 색채로만 인식되고 존재한다. 그 색채는 내 감성의 기억 속에서 일어나는 바람이며, 바람은 내 삶의 사유와 반추를 이끌어 낸다.


화면위에 찢어서 세워 붙이거나 둘둘 말아서 묶는 수백, 수천 장의 한지 조각들은 바람의 결과 화면의 율동을 표현하기 위해서이며, 그리고 한지의 유연함과 가벼움의 특징들은 바람을 묘사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 2015 표인부 작가노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리무중'五里霧中
오리나 되는 짙은 안개 속에 있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나 대상에 대하여 방향이나 갈피를 잡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가을을 맞이하는 아침풍경이 당분간 이럴 것이다. 운치 있어 보이기도 하지만 답답하기도 하다. 같은 것을 대하는 마음 상태가 달라지는 이유가 어디에 있을까?

자연현상에는 '최소작용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자연은 필요 이상의 일을 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주어진 사명을 위해 최선을 다하지만 미리 염려하여 자신을 궁지로 몰거나 특정한 감정상태에 집착하여 스스로를 가드는 일은 하지않는다는 말로 이해된다.

오직 사람만이 그렇다. 과거나 현재의 특정한 상태에 집착하거나 지나친 염려로 스스로를 막다른 궁지로 내몰아 좌절하는 일ᆢ얼마나 못나고 어리석은가. 

그러나, 이 못나고 어리석은 일이 스스로를 존재하게 만드는 근본 힘이기도 하다. 생각하기 나름이라는 말이다. 오리를 덮은 안개는 바람과 햇살에 자리를 내어주고 슬그머니 사라진다. 그것이 순리다. 그대와 나, 마음을 짓누르는 그 무엇도 이 안개와 다르지 않다. 

곧 햇볕이 감싸주리니. 그대, 잠시 머무르되 멈춰서지는 마시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