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세잎종덩굴
여기 어디쯤인데ᆢ. 비슷한 때 같은 곳을 가면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식물들이 있다. 매년 비슷한 때 같은 곳을 가는 이유이기도 하다. 지리산 노고단을 오르는 길가 수로 한켠에서 만나는 꽃 중에 하나다.

다문듯 벌어진듯 애매한 모양이지만 종처럼 달렸다. 독특한 모양의 꽃이 피어 아래를 향한 특이함으로 주목 받는다. 누런색 종모양 꽃이 지고 나면 머리를 풀어 헤친 것처럼 보이는 열매가 눈길을 끈다.

종덩굴이라는 이름을 가진 꽃으로는 종덩굴, 세잎종덩굴, 바위종덩굴, 검종덩굴 등이 있다는데 확인은 못했다.

쌓고 또 쌓아서 한계에 달했을 그때서야 마침내 속내를 보여준다. 무엇이든 그렇지 않겠는가마는 그마져도 아끼고 있으니 무엇이 그리 닫힌 마음으료 이끌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린재나무
이른봄부터 초여름까지 낮은 바닷가에서 높은 산 중턱에 이르기까지 꽃을 피운다. 꽃술의 독특한 매력에 꼭 찾아보는 나무다.
 
자작나무는 수피를 태우면 자작자작 소리를 내며 탄다고 얻은 이름이라면 이 나무는 가을에 잎을 태우면 노란재가 나온다고 하여 노린재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작지만 다소 많은 꽃을 피워 흰색의 향연으로 이끈다. 은근한 향기 또한 놓칠 수 없는 매력이다. 유사종으로 흰노린재나무, 검노린재나무, 섬노린재나가 있다는데 직접 봤는지는 모르겠다.
 
열매의 색깔로 노린재나무의 종류를 구분한다는데 짙푸른색이면 노린재나무, 검은 빛깔을 띠면 검노린재나무, 푸른색이 너무 진하여 거의 검은빛을 띠면 섬노린재나무라고 한다.
 
이 꽃을 주목하는 다른 이유는 꽃이 떨어져 다른 나무나 풀 위에 살포시 않아 있는 모습이 이뻐서다. 온전한 모습을 간직한체 한번 피는 모습이 기특하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꽃개회나무
노고단 대피소 근처 숲에서 첫눈맞춤을 했다. 그후로 매년 찾아가지만 시기를 맞추지 못해 보지 못하다가 올해는 노고단 오르는 길과 영신봉 아래 능선에서 만났다.
 
연한 보랏빛의 붉은색으로 피는 꽃은 은근한 향기가 그만이다. 꽃 하나하나도 이쁘지만 모여핀 전체 모습도 아름답다. 원뿔모양꽃차례는 새가지 끝에 달리고 털이 있다. 높은 곳 능선을 따라 자라는 나무는 꽃도 높이 달아 꽃 보기가 쉽지 않다.
 
우리나라 특산으로 고산식물이다. 꽃의 방향성이 뛰어나고 수수꽃다리와 비슷하나 잎이 긴 타원형이고 잎이 나온 뒤에 개화한다고 한다.
 
어떤 꽃은 숨겨두고 싶고 어떤 꽃은 나누고 싶어진다. 있는 곳 다시 확인 했으니 때를 맞춰 꽃향기를 놓치지 않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참기생꽃
깨끗하다. 맑고 순한 모습이 마냥 이쁘다. 순백의 아름다움이 여기로부터 기인한듯 한동안 넋을 잃고 주변을 서성이게 만든다. 막상 대놓고 눈맞춤하기는 미안한 마음이 들 정도다.
 
이번엔 다섯번째 눈맞춤이다. 지난해는 먼길을 나서서 태백산 능선을 올라 환경이 다른 곳에서 만났었다. 지리산과 태백산의 꽃이 서로 다른 느낌이었는지라 이번엔 그 차이를 알고 싶었는데 다시 보니 같다. 다른 느낌을 받은 이유는 뭘까.
 
기생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흰 꽃잎이 마치 기생의 분 바른 얼굴마냥 희다고 해서 지었다는 설이 있고, 옛날 기생들이 쓰던 화관을 닮아서 기생꽃이라고 한다는 설도 있다고 한다. 기생꽃과 참기생꽃의 구분은 애매한듯 싶다. 굳이 구분하는 입장에서는 잎 끝의 차이와 꽃받침의 갯수 이야기 하는데 내 처지에선 비교불가라 통상적 구분에 따른다.
 
우리나라 특산종이라고 한다. 지리산 능선의 기운을 품어 더 곱게 피었나 보다. 기꺼이 멀고 험한길 발품 팔아 눈맞춤하는 이유는 뭘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금강애기나리
일부러 발품 팔지 않으면 못보는 꽃이기에 기꺼이 나선 길이다. 길이 멀지 않게 느껴지는 것은 꽃이 주는 설렘이 크기 때문일 것이다. 무엇인가를 만나기 위해 시간을 내고 일부러 찾아갈 수 있다는 것, 지금 내가 누리는 마음의 평화에서 제법 큰 비중을 차지한다.
 
워낙 작은 꽃들이 많고 또 그렇게 작은 꽃에 주목하다 보니 작게 느껴지지 않지만 이 역시 작은 꽃이다. 앙증맞은 크기에 연한 황백색의 꽃이 하나에서 둘, 더러는 세개까지 핀다. 얼굴 가득 자주색 반점을 가져서 더 눈길을 끈다. 작지만 꽃잎이 뒤로 젖혀져서 나리꽃의 특징을 보여준다.
 
이 꽃처럼 꽃에 '애기'라는 이름이 붙으면 대부분 작고 앙증맞은 경우가 많다. 애기나리, 큰애기나리, 금강애기나리가 서로 비슷비슷한데 금강애기나리는 얼굴의 자주색 반점으로 구분하면 쉽다.
 
애기처럼 귀여운 금강애기나리는 '청순'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