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골무꽃'
할 말이 많은듯 하지만 그 말이 시끄럽거나 원망섞인 아우성은 아니다. 봄날 살랑거리는 햇볕마냥 경쾌한 감탄사 정도로 탄성을 내뱉는다. 유독 빨리 핀 골무꽃을 만났다.


자주색의 꽃이 꽃대에 모여 아래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며 핀다. 색감이 주는 강렬함에 이끌려 눈맞춤하지만 특이한 모양도 은은한 향기도 매력적이다.


골무꽃, 독특한 이름이다. 골무는 옛날 여인들이 바느질을 할 때 손가락에 끼고 바늘을 꾹꾹 누르던 것을 말한다. 이 꽃의 열매를 감싸고 있는 꽃받침통의 모양이 그 골무를 닮았다고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참골무꽃, 광릉골무꽃, 산골무꽃, 그늘골무꽃, 좀골무꽃, 구슬골무꽃, 흰골무꽃ᆢ등등 복잡한 집안의 꽃이라 고만고만한 차이로 구분이 쉽지 않다.


머리를 우뚝 치켜세운채로 고고한 자태가 돋보이는 모습에 어울리는 '고귀함'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은방울꽃'
좀처럼 드러내지 않고 애써 숨는다. 크고 넓은 잎을 가졌으면서도 그늘을 좋아한다. 그것도 여의치 못하면 무리를 지어 숲을 이룬다. 초록색의 잎 사이에서 은은하게 빛나는 꽃의 모습도 일품이지만 매혹적인 향기가 빼놓을 수없는 으뜸이다.


은방울꽃이라는 이름은 보이는 모습 그대로 꽃모양이 방울처럼 생긴 데에서 유래했다. 은방울 닮아서 은방울꽃이라고 했다지만 거꾸로 은방울꽃을 보고 사람들이 은방울을 만들었다고 봐야 맞는 것은 아닐까.


꽃의 끝부분을 살짝 구부려 올린 소박한 멋이 좋다. 곧 종소리가 울릴듯 싶지만 소리보다는 향기가 먼저다. 이 꽃 역시 초록과 흰색의 어우러짐이 빛난다.


은은한 향이 종소리처럼 깊고 멀리 오랫동안 퍼지는 은방울꽃은 '순결', '다시 찾은 행복'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1세기컴맹 2018-05-19 08: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향기를 맡고 싶네요. 머리가 아니라 코에. 스며드는 종소리를 흡입하면서 말이죠

21세기컴맹 2018-05-19 08: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얼마나 앙징 맞은지..ㅎㅎ
 

'등심붓꽃'
유독 강한 이미지로 다가오는 꽃이 있다. 현실의 모습과 사진이 주는 간격에 차이가 있다지만 그것을 단숨에 뛰어넘는다. 먼 곳에서만 들리던 꽃소식이 눈앞에 펼쳐지지 그야말로 황홀한 세상이다.


작디작은 것이 많은 것을 담았다. 가냘픈 모양도 온기 가득한 색깔도 색감의 차이가 주는 깊이도 무엇하나 빼놓을 수 없다. 여리여리함이 주는 유혹이 강하여 손에 쥐어야할 욕망을 불러온다.


북아메리카에서 들어와 정착한 귀화식물로 관상용으로 들어온 것이 제주도를 중심으로 따뜻한 남쪽에 야생으로 퍼져 정착한 꽃이다. 한여름 결실을 맺으면 씨앗을 받아와 뜰에 들여야겠다.


자명등自明燈일까. 마음자리의 본 바탕이 이와같다는 듯 스스로 밝다. 하룻만에 피고 지는 꽃의 절정을 고스란히 표현하고 있어 더 주목받는다. '기쁜소식'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1세기컴맹 2018-05-19 09: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꽃등살이 많은 것을 지녔다,는데 동감합니다. 게다가 청초하고 야하고 그런 이지적 자태 꼭 눈으로 확인해보고 싶네요
 

'하늘매발톱'
모양보다 색이 앞서는 것이 있다. 크기, 모양, 색, 향기ᆢ 등으로 스스로를 구분지어 남다름을 규경하는 속에서도 유독 대상을 주목하게 만드는 것들이 있다. 나에게 색으로 다가온 식물 중 하나다.


유독 파란색이 빛을 품어 더 파랗게 보인다. 한가지 색이 아니라 어우러짐에서 오는 조화라서 서로를 더 빛나게 하는 것이다. 이 특이한 모양에서 이름을 얻었다. 꽃봉오리 때는 아래를 향하지만 꽃이 피면서 점점 하늘을 보며, 특히 열매가 맺히면 하늘을 향하게 된다. 매발톱 종류 중에서 가장 먼저 꽃을 피운다.


매발톱. 매의 발톱이라는 특이한 이름을 가진 이 꽃은 꽃잎 끝 부분이 다섯 개로 갈라지고 마치 날카로운 매의 발톱처럼 꼬부라져 있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하늘’은 파란색에서 온 것이 아니라 이 식물이 하늘에 가까운 고지대에 서식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늘매발톱과 매발톱, 내 뜰에 두 종류의 매발톱이 있다. 색의 차이가 분명하여 구분하기 어렵지 않다. 매의 발톱에서 연상되는 '승리의 맹세'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얼치기완두'
잠깐의 짬이 나 길가 풀숲에 눈길을 둔다. 보일듯 말듯 작디작은 꽃이 보인다. 자세히 봐야 겨우 보이는 크기라 지나치기 일쑤다.


작다지만 갖출건 다 갖추었다. 앙증맞은 모습에 선명한 줄무늬가 눈길을 사라잡는다. 무엇인가를 유심히 바라보는 것 같기도 하고, 눈맞춤하는 낯선 이와 같은 흥미로움으로 호기심 천국을 그대로 담았다.


얼치기완두, 미소가 절로 나는 이름이다. '새완두'와 '살갈퀴'의 중간형이기 때문에 '얼치기완두'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얼치기란 '똑똑하지 못하여 탐탁하지 않은'이라는 뜻이니 식물에게는 억울할 일이지만 또 이 덕분에 확실히 기억되기도 하기에 그다지 손해보는 것은 아닌듯 싶다.


가냘픈 몸에 걸맞는 앙증맞은 모습이 독특한 이 얼치기완두의 수줍음이 다양한 이야기를 품고 있는듯 하다. '나를 사랑해주세요' 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