옳고 그름 - 분열과 갈등의 시대, 왜 다시 도덕인가
조슈아 그린 지음, 최호영 옮김 / 시공사 / 2017년 2월
평점 :
품절


옳고 그름에서 출발하자

국정농단으로 일컬어지는 국내 정치 상황을 두고 이의 판단 근거를 도덕적 기본 개념인 옳고 그름에서 찾아야 한다고 했다진보나 보수라고 하는 집단 간의 가치판단이나 종북이라고 하는 이념의 문제가 아닌 옳고 그름을 가르는 가치기준에 의한 판단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갈등과 분열의 극치를 달렸던 상황이 인간의 존엄성을 바탕으로 한 이옳고 그름에 의거한 판단으로 보편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현행 법질서와 합치되어탄핵인용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하지만여전히 이 문제에 있어서 받아들이지 못하는 집단이 있고 그들은 그들 나름의 판단기준으로 집단행동에 돌입했다.

 

무엇을 어떻게 판단해야 올바른 것일까나와 집단 간의 의견 충돌은 그나마 판단의 기준이 명확할 수 있지만 범위가 넓어지는 집단과 집단 간의 이러한 의견 충돌이 가져오는 갈등은 여전히 존재하고 오히려 더 깊어지는 경향성을 보인다이런 대립적인 상황에서 무엇을 어떻게 판단하는 것이 올바른 것일까상대적 가치를 서로 존중해야 한다지만 그것 역시 판단의 근거는 도덕에서 출발한다고 볼 수 있는데 각 집단마다 도덕에 대한 가치기준이 달라 이 역시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우리는 왜 편을 가르고분노하며논쟁하는가?

 

분열과 갈등의 시대왜 다시 도덕인가에 주목한 조슈아 그린은 그의 책옳고 그름에서 바로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아간다.

 

저자 조슈아 그린은 개체가 모여 집단이 되면 종종 개체 혼자서는 이룰 수 없는 것들을 이루는 과정에서 이기심을 억누르고 이타심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즉 우리의 이익을 위해 의 손해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인간에게 도덕성이 생겨난 것이다이 도덕성을 전재로 이념 갈등인종 갈등성별 갈등종교 갈등 등 현대 사회의 대부분의 갈등은 우리 집단의 도덕과 그들 집단의 도덕이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고 본다.

 

이러한 집단 내 도덕성은 집단 내 결속력을 강화시키지만 반대로 다른 집단과의 갈등을 악화시킨다하여,저자는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덕을 상위하는 개념으로 보다 고차원적인 도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우리의 도덕보다 한 차원 위에 있을 뿐 아니라 우리 모두가 공감하고 따를 수 있는 도덕인간으로서 가지고 있는 도덕적 본능과 한계를 초월고차 도덕metamorality’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고차 도덕의 실현방안으로 제시하는 공리주의나 깊은 실용주의가 해답일 수 있을지 여전히 의문이다갈등의 요소는 여전히 존재하며 사회 각 분야에서 대립과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집단의 이해요구가 우선시 되는 한 이 딜레마에서 벗어나기란 요원해 보인다그 해결의 출발로 사람의 존엄을 실현하는 도덕적 가치인 옳고 그름을 판다의 일차적 기준으로 삼아 이를 실현하는 행동의 실천이 필요한 것은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