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그림을 어찌 쉽게 말할 수 있겠는가? 서권기書卷氣가 배 속에 가득 차서 넘쳐나와야 시가 되고, 문자향文字香이 손가락에 들어가서 펼쳐 나와야 그림이 된다.

그런데 요즈음 젊은이들은 통감절요通鑑節要 반 권도 이해하지 못하면서 함부로 칠언율시를 짓고, 해서楷書 한 줄도 쓸 수 없으면서, 함부로 난과 대를 그린다. 그러면서 스스로 고아한 사람의 깊은 운치라 여긴다. 일곱 글자에 운자를 달기만 하면 시라 말할 수 있는가? 먹물 종횡으로 갈기기만 하면 그림이라 말할 수 있는가?

또한 우스운 일이 있다. 두 눈동자 반짝반짝하여 밤에 추호秋毫같이 작은 것을 구별해 낼 수 있으면서 항상 안경을 낀채, 종일 배나 쓰다듬으며 앉아서 한 가지 일도 하지 않고 한 가지 직업도 갖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세상 일체의 일에 대해 '서유기' '수호전' 등의 책을 인용하여 함부로 재단하며 스스로 옛 것에 박식하다고 자랑을 한다. 내 일찍이 이런 것을 비웃었다.

이 말을 내뱉자니 다른 사람을 거스르겠고, 내가 머금고 있자니 나를 거스르게 된다. 차라리 다른 사람을 거스를지라도 끝내 이 말을 내뱉는다. 모름지기 각기 노력하여 이 병통을 면하면 다행이겠다.

*조선후기 매화화가로 유명했던 우봉又峯 조희룡趙熙龍(1789~1866)의 척독 중 하나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사람 사는 모양은 비슷하나 보다. 스스로를 돌아보지 못하여 자신이 처한 조건이나 환경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우쭐한 마음가짐으로 사는 이가 얼마나 많은가. 이름값은 자신의 성찰에서 근거한 책임감일 것이다.

공인, 전문가, 예술가라는 이름으로 행하는 다양한 활동이 많은 이들에게 폭력의 다른 이름은 아닌지 돌아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