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마지막 호랑이
대호

"총을 들어
지키고 싶은 것이 있었다"

*일제강점기 더이상 총을 들지 않으려는 포수 최만덕, 조선의 마지막 호랑이 대호의 운명적 만남

영화를 끌어가는 두 축은 조선호랑이를 둘러싼 일제강점기의 시대적 상황과 포수 최만덕과 대호의 운명적 만남이 그것이다. 주인공 포수 최만덕은 역사의식에서 비켜간다. 넓은 의미로 본다면 포괄될 것이다. 하지만 보다 주목하는 것은 생명의식으로 보인다. 사람이든 호랑이든 죽음 앞에선 생명의 자존감이 그것이다.

탄탄한 스토리 구성과 디테일한 화면구성도 최근에 본 영화 중 최고다.

'송하맹호도' 김홍도의 그림이 영화로 이끌었다. 영화 시작부터 '송하맹호도'가 영화가 끝날때까지 머릿속에 머물렀다. 당당하면서도 무서움보다는 호랑이의 자존감을 확인시켜준 그림이다. 선비 정신을 작품과 일상에서 구현하고자 했던 김홍도의 뜻이 호랑이에 깃들어 있다고 보았다. 같은 시각으로 보면 송하맹호도 그 호랑이와 대호 속 호랑이는 닮아 보인다. '최만덕과 대호'ᆞ'김홍도와 송하맹호도' 무리한 비교겠지만 흥미로운 시선임에는 틀림없다.

'지리산 산군 대호'
전 세계 호랑이 중 가장 큰 호랑이가 조선호랑이이고 이런 조선호랑이를 산을 지키는 산군으로 부르며 모시고 포획하지 않는 것을 불문율로 여기고 사람과 함께 산하를 산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는 '정호대'를 조직 조선호랑이 사냥에 나선다. 이로부터 조선호랑이의 멸종 원인이 되었다. 1921년 경주 대덕산 발견된 것이 마지막이며 1996년 공식적 멸종 발표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양철나무꾼 2015-12-26 23: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전 김탁환 소설을 읽었거든여. 영화는 어떨지 기대만발이었는데, 이 글로 해갈하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