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국립민속국악원 무용단 하반기 정기공연


판소리 춤극 "심청이 울었다"


2015.10.30~31
국립민속국악원 예원당


바람 부는 바다, 인당수
북소리는 두리둥 둥둥둥 갈 길 재촉하는데
정화수 떠 놓고 나를 위한 마지막 인사
눈을 감고 치맛자락 무릅쓰고
뱃전으로 우루루ᆢ풍덩!


"심청은 왜 인당수에 자신을 던져 스스로 죽었을까?
심봉사가 뜬 눈이 육신의 눈일까?
뺑덕이네는 또 어떤 사연이 있어서 심봉사의 등을 쳐 먹고 살까?
갖가지 사연을 가진 수많은 봉사들이 맹인잔치에 참석한다.
이 모든 사연을 끌어 안고 심청은 운다."
-지기학 예술감독


"더 이상 메마른 세상이 되지 않기 위해선 울어야 한다. 나를 위해서든 타인을 위해서든 아니면 당신을 위해서든 말이다. 울지 않는 것은 스스로의 나약함과 거짓된 생에서 비롯되는 피상적 일상에 대한 허위를 감추기 위해서 일 뿐이기에."
-무용연출가 이재환


*춤극이다. 대사는 몸짓과 의상, 무대장치에 판소리가 어울어진다. 심청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춤꾼들의 몸짓으로 살아난다.


언어로 전달되는 감정 표현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몸의 언어는 익숙치 않다. 극의 이야기를 따라가기가 만만치 않다는 말이다. 집중된 이미지의 표현에 주목하여 전달되는 극의 효과를 전달받기에 버거웠다. 춤극이기에 몸짓으로 표현되는 감정전달에 집중되는 것은 이해되나 소리 언어인 판소리도 더 많이 활용되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화려하고 현란한 몸짓에 스토리가 묻혀 감동을 이끌어 내는데 무리가 있는 것은 아니었을까.


'심청이 울었다'는 것은 곧 '울음'에 주목한다는 것인데 울음으로 대치되는 감정의 변화나 심정의 전환이 무엇을 통해 가능할까? 심청이 울어서 달라진 것은 무엇일까? '울음'은 질적변화를 담보한 감정의 변화를 이끌어가는 매개다. 심청의 울음으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가슴 한켠 쌓인 무게가 해소되는 계기로 작용되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