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을 다한다는 것'
막연한 꿈이었다. 가능할거란 생각도 못했다. 그래도 심장은 뭐라도 해야한다고 자꾸 부추킨다.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드는 일, 무엇에 주목해야 가능해지는 걸까?

그 중심을 '간절함'으로 보았다.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말 역시 그 간절함에서 비롯된 것이리라. 이 간절함을 이루는 길은 '정성'에 있다. 지극정성의 그 정성이다. 하여, 정성이 조금씩 쌓였는지 닿지 못할거라 짐작했던 것이 어느 사이 희미하게나마 산 너머의 하늘빛으로 나타났다.

이제, '귀한 사람 정성으로' 라면 이루지 못할 것 없다고 확신한다. 시공간의 제약도 방해못하는 감통感通에 심통心通을 확인하며 어느덧 눈빛에 깃든 마음까지 본다.

불가능이 가능으로 질적변화한 그날 그 새벽의 바다에 다시 섰다. 같은시간 같은 바다 위지만 그날과 또다른 심장박동이 감동으로 온다. '그대 여기까지 잘 왔다'고 눈부신 빛으로 감싸는 새벽 빛이 가슴 깊숙히 박힌다.

오늘 이곳 바다 위에 굳건하게 설 수 있었던 의지처는 '중용 23장'에서 찾았다. 정조대왕에 주목했던 영화 '역린'에서 왕 정조는 상책의 입을 빌려 중용 23장을 대신들 앞에서 설파한다. 왕의 입이 아닌 상책의 입이였기에 그 울림은 더 깊었다.

"작은 일도 무시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야 한다. 작은 일에도 최선을 다하면 정성스럽게 된다. 정성스럽게 되면 겉에 베어나오고 겉으로 드러나면 이내 밝아지고 밝아지면 남을 감동시키고 남을 감동시키면 이내 변하게 되고 변하면 생육된다. 그러니 오직 세상에서 지극히 정성을 다하는 사람만이 나와 세상을 변하게 할 수 있는것이다." (중용 23장)

其次는 致曲이니 曲能有誠이니 誠則形하고 形則著하고 著則明하고 明則動하고 動則變하고 變則化니 唯天下至誠이야 爲能化니라
기차는 치곡이니 곡능유성이니 성칙형하고 형칙저하고 저칙명하고 명칙동하고 동칙변하고 변칙화니 유천하성성이야 위능화니라.

변화의 힘은 정성이었다. 간절함이 이루고자한 그 것으로 가는 여정의 안내자가 정성이었다. 다시 그날 그바다 위에 선 오늘 그 정성을 의지삼아 여기까지 멈추지 않았듯 앞으로도 멈추지 않고 걸을 것이다. 하나의 심장이니 그 심장 멈추는 날까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비종 2015-09-28 22: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간절한 마음 끝에 매달리는 정성은 저 달처럼 빛이 나기에 다른 이의 마음을 울릴 수 있는 걸까요?
또르르 굴러내릴 것 같은 달이 이슬방울처럼 매달려있는 풍경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