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속도'
정해진 속도는 없다.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만 있을 뿐이다. 한자리에 이웃한 꽃도 피고 진다는 순리는 어기지 못하나 제 각기 조건과 환경에 따라 더디가기도 하고 서두르기도한다.


하물며, 꽃보다 더 많은 온갖 조건에 휘둘려야 하는 사람이야 말해 무엇하리. 꽃이야 피고 진다는 방향이라도 있지만 사람 마음은 이 방향조차 오리무중이다.


하여, 마음의 속도를 조절한다는게 얼마나 많은 수고로움을 견뎌내야 하는 일인지 짐작만 할 뿐이다.


그러니, 그대여 애써 더디가지도 그렇다고 서두르지도 말고 마음이 움직이는 그 속도를 따라가자.





댓글(3)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비종 2015-08-10 20: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맥문동과 같은 류의 꽃을 볼 때면, 저 많은 꽃들이 동시에 쫙 피어나지 않는다는 점이 신기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똑같은 가지를 공유하고 있어도, 같은 햇살을 받았어도, 가지고 있는 바탕과 서 있는 위치에 따라 피어나는 속도가 다른 것이겠죠?
얼마 전에 읽은 책에 이런 말이 있더군요. `인생은 마라톤이 아니라 표류`라서 `스스로 파도를 헤치고 나아가다 원치 않는 항구에 닿을 수도 있다`구요. 인생이든 마음이든 조절을 한다는 건 말씀하신대로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가끔 생각하죠. `마음`을 `마음대로`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파도를 타 듯 자연스럽게 말이죠. 결국 삶이라는 것도 `내 마음의 주인`이 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과정일까요?

무진無盡 2015-08-10 20:32   좋아요 0 | URL
마음대로 라고 써놓고는 해석은 지극히 주관적인 것이라 왔다갔다 그야말로 지맘대로잖아요. 그런데 그마져도 못하는 경우가 있지요. 내 마음의 주인은 내가 아니라 상대방이더라구요.

나비종 2015-08-10 20: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누군가에게 가장 기쁜 선물을 하는 방법은 그를 잘 관찰하고 그가 좋아하는 것을 건네주는 거라 하더군요. 그럴 때면 상대방이 내 행동의 주인인 듯 한 생각이 들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바꿔 생각하면 원하는 대상과 관계를 맺고자 하는 바람이 이루어지는 것이니, 마음의 절반은 내가 주인인 걸로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