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성룡, 7년의 전쟁 - <징비록>이 말하는 또 하나의 임진왜란
이종수 지음 / 생각정원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임진왜란을 보는 다른 눈류성룡

선조광해군류성룡이순신 이들의 공통분모는 임진왜란이다임진왜란의 당사자이지만 바라보는 시각에서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는 처지의 다름으로 해서 임진왜란에 임하는 자세와 태도가 달랐다는 차이점이 있을 뿐이다왕 선조는 이 전쟁의 총괄적 책임자의 자리에 있으면서도 자신의 본래 임무를 방기한 것이나 매한가지인 모습을 보였다왕세자는 어려운 시기 다음 왕위를 계승할 지위에 있으면서 분조를 이끄는 등 한계 지워진 자신의 임무를 임했다류성룡에 의해 천거된 후 자신의 임무인 바다를 철통같이 지켰던 수군의 이순신이들과는 다소 다른 자리에서 전쟁의 전 과정에 깊숙이 관여했던 류성룡이다.

 

여기에서 주목하는 류성룡은 징비록이 있기에 매우 특별한 존재로 역사에 기록되었다. ‘징비록으로 기억되는 사람이기에 징비록을 빼놓고 설명할 수 없는 사람이다. ‘징비록은 류성룡이 1592년부터 7년에 걸쳐 진행된 임진왜란의 원인과 전황 등을 기록한 전란사다유성룡(柳成龍, 1542(중종 37)~1607(선조 40))은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이다호는 서애(西厓)이다. 21세에 이황을 찾아가 수 개월 동안 근사록을 수학하였다학문적 업적보다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수습한 경세유로서의 업적이 보다 주목되는 인물이다.

 

이종수의 류성룡, 7년의 전쟁은 바로 그 징비록를 바탕으로 한 류성룡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징비록를 따라가면서 주목하는 것은 류성룡의 마음 속 이야기를 저자의 시각으로 따라간다는 점이 특이하다실록과 류성룡이 남긴 징비록’, 그리고 문집들을 중심으로 저자 이종수는 임진년부터 무술년까지, 7년간의 전쟁을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한 또 하나의 임진왜란사로 볼 수도 있다임진왜란사를 류성룡이라는 한 인물에 집중해서 재조명한다는 것이다.

 

류성룡, 7년의 전쟁은 전쟁사로 읽히지만 류성룡의 삶의 중심이 되었던 징비록에 기록된 그 7년의 시간에 한정하여 삶을 조명한다그렇기에 혹독한 삶의 현장에 처한 한 인간의 고뇌와 결단이 중심이 된다물론전쟁을 함께 이겨나갔던 당시의 선조를 대할 때마다 가슴 아파했던 마음의 거리당파가 달랐지만 이덕형을 향한 깊은 신뢰, ‘그의 바다를 지킨 이순신을 향한 마음무엇보다 전란을 가장 고통스럽게 견디는 백성들에 대한 연민 등이 자연스럽게 따라온다.

 

징비(懲毖)’는 미리 징계하여 후환을 대비하라는 뜻이다주어진 일에 최선을 대했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했다는 것이다징비록을 남긴 류성룡의 본심은 살아남은 자의 책임을 말하고자 했다는 것이다.이 마음을 바탕으로 하여 이종주의 시각으로 본 류성룡과 임진왜란을 새롭게 볼 수 있는 기회다징비록에 대한 단순한 해설이 아닌 명확한 목적의식을 갖는 시각으로 바라본 류성룡이라는 점이다.

 

텔레비전 드라마와 각종 책의 발간 등으로 류성룡과 징비록이 주목받고 있다그 이유가 어디에 있을까바로 징비(懲毖)’에 있다고 보인다국가와 백성의 안위가 최우선이었던 징비의 목적이 우리가 살아가는 지금 여기에도 반드시 필요한 덕목이기 때문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