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률의 조화
판소리, 악기를 만나다.


국립민속국악원 기악단 상반기 정기공연 본향
2015. 5. 30 오후 4시 국립민속국악원 예원당


판소리와 관현악이 어우러지는 공연이다. 판소리 흥보가, 심청가, 수궁가, 춘향가, 적벽가 다섯바탕의 눈대목을 유장영, 김만석, 황호준, 이경섭 작곡가의 편곡으로 판소리를 음으로 만나는 귀한 자리다.


판소리의 매력은 준비없이 들어도 언제든 그 맛과 멋에 빠져든다는 것이다. 판소리 한대목을 듣고 그 소리의 여운이 채 가시기도 전에 기악의 다양한 소리가 이끄는대로 마음이 따라간다.


보통의 국악관현악단과 차이가 있다. 기악단, 창극단, 무용단이 국립민속국악원의 이름으로 모여 한자리를 만든다는 것이 그 차이를 만드는 한 요인으로 보이기도 한다. 다양한 장르가 한자리에 어우러져 만드는 공연의 매력이 좋다.


멋진 자리다. 판소리도 더없이 좋다. 더불어 관현악의 음의 조화가 돋보인다. 우리 악기가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음의 조화가 주는 감동과 떨림의 순간을 맞볼 수 있기를 목마르게 기다렸다. 오늘에야 비로소 그 자리에 함께했다.


이런 감동을 전하는 공연에 관객이 많지 않았다는 점이 아쉽다. 멀리 전남에서 이 공연을 보러 일부러 간 사람에게 빈객석은 아쉬움이었지만 적극적인 관객과 하나되는 어우러짐은 어느 공연보다 좋았다.


앞으로 어떤 연주를 들려줄지 국립민속국악원 기악단의 연주를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