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평민열전 - 평민의 눈으로 바라본 또다른 조선
허경진 지음 / 알마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의 주역으로 눈을 돌려야

왕조시대의 역사를 조망할 때 주목하는 계층은 단연 왕과 그 권력의 중심에 선 사람들로 사대부들이다. 이들에 의해 정치가 운용되는 시대이고 문자로 기록된 역사를 중심으로 살피다 보니 그럴 수밖에 없다는 한계도 있다. 반면, 현실 정치와 문자사용에서도 소외된 계층이면서 사회 밑바닥에서 묵묵히 자신의 일을 수행한 사람들은 철저히 소외되어 왔다. 왕권을 중심으로 한 역사의 이해는 동전의 한 면 만을 부각시켜 온전한 역사 이해에 걸림돌로 작용하여왔지만 이면의 모습에 대해 주목하는 것 또한 배재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이런 현실에서 역사로부터 소외되었던 계층의 사람들이 사회의 변화와 자신들의 끊임없는 노력에 의해 점차 사회 각 분야에서 중심인물로 등장한 시대가 19세기 조선 후기에 와서야 가능해졌다. 그들은 낮은 지위의 벼슬에 머물거나 사대부 양반들이 기피하는 부류의 직업을 가졌지만 자신만의 능력을 발휘하여 양반 사대부를 아우르는 중심인물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이들을 역사에서 올바로 평가하기 위한 노력은 최근에 들어서야 시도되엇고 그것도 지극히 한정된 분야에서 이뤄져왔다. 우리가 사는 현대사회의 한계인지도 모를 일이다. 다행스럽게도 일부 지각 있는 역사학자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해 새롭게 발굴되어 독자들과 만나는 계기가 되었다. 무척이나 환영할 만한 흐름이라 여겨진다. 양반의 아닌 평민의 눈으로 바라본 조선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허경진의 조선 평민 열전도 그런 맥락에서 볼 때 반갑기만 한 책이다. , 그림, 서예, 의료, 역관, 천문학, 출판 분야에서 활동했던 사람들과 사람의 성격에서 따라 의협이나 충렬, 장인, 효열 등으로 110명에 달하는 사람들에 주목했다. 이들 사람들에 대해 오늘날의 시각으로 그들을 바라본 것이 아니다. 조선 후기 활동했던 당시 사람들에 의해 기록된 것을 우리말로 번역하여 소개하고 있다. 저자가 인용한 책으로는 평민 출신의 화가 조희룡이 1844년에 지은 호산외기와 아전 출신 유재건이 1862년에 엮은 이향견문록그리고 그들의 친구였던 시인 이경민이 1866년에 엮은 희조질사에 올라 있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선별하여 이 책에 실었다. 이들 책은 전()이라는 형태로 평민들의 진솔한 삶을 보여주다

 

편역자 허경진이 이들 책에서 주목한 사람들로는 우리가 익히 아는 대동여지도의 김정호, 책의 유통에 헌신했던 조신선, 사람의 치료에만 매달렸던 백광현, 서당의 교재를 출판한 장혼을 비롯한 조선 후기 평민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통해 당시를 살았던 사람들의 일상을 볼 수 있다. 권력으로부터 소외된 사람들이 역사로부터도 외면당해왔다. 그들을 현시대로 불러와 역사의 한 축에 대한 그동안의 소외를 만회하려는 출발점으로 봐도 무방하지 않을까 한다.

 

남다르게 살았던 평민들은 이들 외에도 무척 많았을 것이다. 종이책이라는 한계 속에서 가능하면 많은 분야,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이 책에 담으려 했다는 편역자 허경진의 말은 이처럼 새로운 접근이 시도되어야만 그간의 반쪽 역사를 온전한 역사로 복원하는 시각에서 분명 의미 있는 출발로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