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지켜온 나무 이야기 -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로 만나는 우리 문화와 역사
원종태 지음 / 밥북 / 2014년 8월
평점 :
절판


나무와 얽힌 사람이야기

굳이 나무가 사람에게 주는 유용함에 대해 말하지 않아도 안다. 시멘트가 건물을 만드는 요소로 등장하여 그 막강한 힘을 발휘하는 오늘날에도 나무는 여전히 생활의 중요한 부분을 해결해 주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듯 곁에 있는 나무에 대해 그리 관심 주지 않고 사는 것이 현실이다. 마치 공기가 생명에 필수적인 요소이나 그 존재를 잊고 사는 것처럼 말이다. 자연을 구성하는 수많은 요소 중에 중요한 자리를 점하고 있는 것이 나무이다.

 

숲에 대한 관심을 가지면서 숲을 이루는 다양한 생명에 대한 주목하고 특히 나무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과정에서 만난 나무들의 생명에 대한 욕구는 신기하기 그지없었다. 그런 나무들이 수없는 시간을 살아남아 당당하게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고 있는 것은 어쩜 기적이 아닐까도 생각된다. 그런 나무들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되는 것은 나무로부터 다양한 혜택을 입고 살아가는 사람의 당연한 도리가 아닐까 싶다.

 

원종태의 책 한국을 지켜온 나무 이야기에 나무를 사랑하는 따스한 사람의 마음으로 담겼다. 이 책에는 오랜 세월 우리들과 함께 이 땅을 지켜오며 한국을 대표할 만한 나무들을 찾아보고 그 나무와 얽힌 이야기들을 통해 사람과 나무의 관계에서 비롯된 역사와 문화를 만날 수 있게 한다.

 

그가 만난 나무들로는 용문사 은행나무’, ‘청령포 관음송’, ‘준경묘 소나무 숲 ’, ‘당진 삼월리와 창경궁 회화나무’, ‘괴산 용송’, ‘대검찰청 소나무와 같이 어쩌면 우리가 익히 아는 나무들의 현주소를 밝히는 것과 더불어 사랑과 행복을 테마로 연리지’, ‘자귀나무’, ‘버드나무’, ‘뽕나무’, ‘무궁화’, ‘향나무등에서 나무를 통한 사람들의 삶에 투영된 이미지를 찾아가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대나무, 매화, 배롱나무, 전나무, 대추나무등을 통해 나무가 가지고 있는 상징성이 어떻게 부여되었는지를 찾아간다. 또한, 익숙한 이름이지만 그 이름이 잘못된 명칭인지도 모르고 사용하는 사례(아카시아나무는 아까시나무로 부르는 것이 맞다), 잘못된 지식으로 인해 오해받는 나무(리기다소나무는 일본과 관계없다)와 같은 오해를 불러온 이유를 밝히고 이를 바로잡고자 하는 저자의 마음이 드러나고 있다.

 

나무를 사랑한 저자의 이야기는 식물학자의 그것과는 다름 접근방식이다. 나무의 식물학적 접근이 아니라 역사와 문화로 보는 나무 이야기이기에 나무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지도 않아 누구나 쉽게 이 친근한 나무 이야기를 접할 수 있다, 이 부분이 이 책이 가지는 장점이 아닐까 한다. 저자 손수 찍은 사진들과 구수한 옛날이야기를 듣는 것처럼 반갑게 읽을 수 있다.

 

자신이 사는 곳 어디를 찾아봐도 사람보다 오랜 시간 한자리를 지켜오며 지나간 사람들이 마음까지 담고 있는 나무들이 있다. 그만큼 나무와 사람은 가까운 사이다. 잠시라도 눈을 돌러 주변에 있는 나무들을 살펴보고 그 나무가 간직하고 있을 이야기에 귀기울여본다면 어떨까? 정원 한켠 회화나무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고 어린 묘목이 자리 잡고 성장하는 것을 지켜보며 이곳에서 나보다 훨씬 많은 시간을 살아갈 수 있길 소망해 본다. 지금 살고 있는 사람들이 다 떠나고 나서도 그들을 기억하는 나무가 살고 있을 것이라고 상상해 본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해진다. 이 책을 통해 이런 마음이 많은 사람들과 공유되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