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에 죽고, 시에 살다 - 요절한 천재 시인들을 찾아서
우대식 지음 / 새움 / 201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시인은 시로 말해야 한다

한때 문학기행이 산불처럼 번지던 때가 있었다. 그 여파로 여기저기 내노라하는 문인들의 문학관이 들어서고 작가와 작품을 기억하는 사람들의 발길을 불러 모았다. 이미 고인이 된 문인들도 있지만 살아서 자신의 이름을 붙인 문학관을 가진 사람들도 있다. 전국에 산재해 있는 그런 문학관이 제 기능을 얼마나 하고 있을까? 인근에 있는 조태일문학관은 찾을 때마다 한산하기만 하다. 그렇게 이름을 남긴 문학인들은 제 이름값을 톡톡히 하는 것으로 봐도 될까?

 

문학의 범주에서 시만큼 독자와 거리감이 덜 느껴지는 분야는 없을지도 모른다. 오늘도 치열한 삶을 통해 습작을 하며 시와 시인의 대열에 합류하고자 애쓰는 사람들로 넘쳐난다. 등단도 비교적 쉬운 편이다. 이러한 현실이 어쩌면 시와 독자의 사이를 가로막는 장애물로 등장한 것은 아닐까? 그만큼 넓어진 문호로 인해 시다운 시를 찾아보기 힘든 경우가 이를 반증해주는 것 같아 아쉽기만 하다.

 

이런 안타까운 현실에서 시에 대한 불꽃같은 열정으로 짧은 생을 살았던 천재시인들의 삶과 작품을 만나는 것은 시를 독자들 곁으로 다시금 우뚝 설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 본다. 우대식의 시에 죽고, 시에 살다는 바로 시에 목숨 걸었지만 지극히 짧은 생으로 인해 독자들과 공유할 기회를 상실한 시인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이연주, 신기섭, 기형도, 여림, 이경록, 김민부, 김만옥, 김용직, 원희석, 임홍재, 송유하, 박석수시인이 그들이다. 기형도 시인을 빼면 낯선 이름들이 대부분이다. 그만큼 멀리 있었다는 것이리라.

 

책을 읽는 동안 한 명 한 명의 시인들을 만나는 일이 버겁기만 하다. 짧은 생애에 함축된 삶의 언어인 시를 접하는 것이 달달한 연애시와는 많이 다르기에 정호승 시인의 이 책은 일찍이 삶과 죽음의 경계를 훌쩍 뛰어넘어 삶 자체가 한 편의 위대한 시가 된 시인들의 이야기추천서처럼 무겁게 다가온다. 저자 우대식 역시 시인이다. 시를 쓰는 시인으로 살면서 동료시인들의 짧지만 강렬하게 살았던 삶을 추적하는 일이 만만치 않았으리라. 시인들의 발자취를 찾아 고향이나 학교, 시인들을 기억하는 사람들을 찾아다니는 발품도 만만치 않았겠지만 시인들의 시를 가슴에 품고 시인들의 삶을 추적하는 우대식 시인의 가슴도 시퍼렇게 멍이 들었을 것만 같다.

 

시 의식이란 어느 날 갑자기 솟아나오는 것이 아니라 생래적인 기질과 스스로를 단련해가는 역동성이 만나는 지점에서 피어나는 꽃이라 할 수 있다원희석 시인의 삼을 추척하며 저자가 한 이야기다. 어디 이 말이 원희석 시인에게만 국한된 이야기일까? 시인들에게 운명처럼 다가온 시는 그래서 시인의 삶은 화살로 꿰뚫리는 심장을 가진 사람들에게 어울리는 호칭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닐까?

 

그렇기에 의문의 죽음이었거나 병사였거나 그것도 아니면 자살로 생을 마감한 시인들의 시에는 오늘이 있다. 치열한 오늘이 있었기에 시인에게 시가 운명이었을 것이다. 시인은 시로 말해야 한다. 이때 시는 시인의 삶이 반영된 시여야 한다. 시인들이 시에 담고자 했던 그 무엇이 어쩌면 현대를 살아가는 시인들이 간과하며 지나치는 그 무엇이며 사람들이 살아가며 반드시 깨달아야할 그 무엇과 같은 맥락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