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의 길, 이성계와 이방원 이덕일의 역사특강 2
이덕일 지음, 권태균 사진 / 옥당(북커스베르겐)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권력은 부자지간에도 나눌 수 없다

권력의 정점에 선 사람들, 역사적으로 보면 흔히 봉건시대 왕이나 민주주의 체재의 대통령이 그들이다. 적장자 우선권으로 다음 권력이 세습되던 때도 왕은 혼자만의 힘으로 얻어진 것이 아니었다. 당시 정치정세나 대소신료들의 이해요구에 의해 선택되기도 했다. 선거라는 제도로 투표에 의해 결정되는 대통령도 결코 혼자 힘으로 된 것이 아니라 선거캠프에 참여했던 사람들의 공동작품으로 봐야 합당할 것이다. 왕이나 대통령의 최고 권력자를 만든 사람들은 그 권력에 의해 보장받고 싶은 것이 있기에 동참했을 것이다. 이는 최고의 권력자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이 그리 많지 않다는 점을 이야기한다. 그렇더라도 최고 권력자가 할 수 있고 해야 할 일은 반드시 있다. 시대를 불문하고 그것은 민의를 대변해야 한다는 것이다.

 

500여 년을 이어온 왕씨의 고려를 이씨의 조선으로 바꾼 역성혁명의 주인공 이성계 역시 혼자서 그 혁명을 이룬 것은 아니다. 정도전에 의하면 자신이 이성계를 선택하여 조선을 개창했다고 말하며 이 과정에서 이들 이방원 역시 지대한 역할을 했다는 점은 익히 알고 있는 상식과도 같다. 조선의 태조 이성계가 사부로 칭할 만큼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정도전을 죽였던 태종 이방원은 그 권력 창출에 참여했지만 권력을 나누는 자리에서 배재됨에 따라 아버지인 태조 이성계에게 칼을 겨누게 된다.

 

이덕일의 부자의 길, 이성계와 이방원에서는 권력을 두고 경쟁했던 이성계와 이방원의 관계를 파헤치고 있다. 원명 교체기로 대륙은 어수선하고 왜구의 약탈은 늘어가고 이를 대처하는 고려 정치는 혼란스럽기만 했던 때 고려를 뒤엎고 새로운 왕조를 만들어 반석위로 올려놓는 과정에서 권력을 둘러싼 부자간의 갈등이 중심적으로 그려간다. 한마디로 엇갈린 부자간의 길을 살피고 있는 것이다.

 

권력은 부자지간에도 나눌 수 없다는 말이 있다. 권력의 속성이 그렇다는 것이다. 그 권력을 장악하기 위해 무엇이든 할 수 있고 권력만 잡으면 그 과정에서 행했던 모든 것을 정당화 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며 동지를 죽이고 형제를 살해하며 아버지에게도 칼을 겨누게 하는 것이 권력이다. 새 왕조를 만드는 과정에서 태조 이성계가 보여주었던 행동은 조선을 개창했던 시조로써 이해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행보를 보인다. 자신은 왕위에 오를 생각이 없지만 수많은 사람들에 의해 추대되는 형식을 바랬던 것은 아니엇을까 하는 의구심을 불러온다. 반면, 아들 이방원은 아버지 이성계가 결정하지 못하고 있을 때 행동으로 결정을 보여준다. 정몽주를 죽인 것이나 1, 2차 왕자의 난을 일으킨 것이 그것이다. 이성계와 이방원, 부자사이에 생각이 달랐던 것이다. 권력을 효를 생각하는 근본 생각의 차이가 서로 칼을 겨누는 사이로까지 변하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저자 이덕일은 이성계와 이방원의 갈등이 요인을 찾아가는 과정을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개창 과정을 따라가며 살피고 있다. 구세력의 한계를 극복하여 권력 쟁취의 중심점이 되는 민의의 획득과정을 살피며 특정한 사안에 대처하는 두 사람의 행동 양식을 살펴 갈등의 요인을 찾아가는 방식이다. 고려 말과 조선 초기 역사를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둘은 결정의 순간에 머뭇거린다는 점은 싸움판에서 무장으로 성장한 이성계를 이해하는데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반면, 고려 말 과거에 급제하여 관료의 길을 걸었던 이방원을 관료로만 보기에도 부족한 점이 있다. 이 둘이 조선을 개창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모습을 통해 둘 사이 갈등의 요인을 살필 수도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최고 권력을 잡은 사람들은 어디에서 정당성은 확보하는 것일까? 역대 왕들은 천명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그 천명에는 민의에 대한 획득도 포함되어 있다. 그렇다면 오늘날 대통령에게 권력의 정당성을 어디에서 찾을까? 국민의 선택에 의해 권력의 정점에 오른 사람들은 잊어버린 것 같다. 자신의 권력이 어디에서 출발하고 있는지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