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좋은 사랑은 아직 오지 않았다 - 인문 고전에서 배우는 사랑의 기술
한귀은 지음 / 한빛비즈 / 2013년 9월
평점 :
절판


아프더라도 지금 사랑할 일이다

추적추적 가을비가 내린다. 벌써 설악산에는 단풍 소식이 들리고 한 해를 살아오며 들떴던 마음들을 다독이게 하는 계절인 가을이다. 유독 가을이면 쓸쓸한 기분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가을이라는 계절이 주는 분위기 탓만은 아닐 것인데도 말이다. 가을엔 어쩜 달달한 사랑이야기가 어울릴 것 같은 생각이 드는 이유도 이와 다르지 않을 것이리라. 하여 사랑이야기를 담은 문학작품이라도 접하고 싶어지는 것이 당연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사랑, 사람의 삶 속에서 결코 때어놓을 수 없는 주제이면서도 그 사랑이 사람들의 삶을 행복하게 하기도 하지만 때론 절망으로 떨어뜨리기도 한다.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숫자만큼 사랑의 종류도 그 사랑을 풀어가는 방법도 다르기에 사랑에는 정답이 없어 보인다. 하여 사랑만큼 문학을 비롯한 다양한 부분에서 중심 주제로 되는 것도 없을 것이다. 수많은 문학작품에서 다루었으며 그보다 많은 시간을 살아온 사람들 일상에서 주목되는 것이 사랑이라고는 하지만 많은 세월을 살았다고 특별한 해법을 가진것 같지는 않다. 바로 여기에 사랑에 대한 정의가 물거품이 되는 시작점이 아닐까도 싶다.

 

‘가장 좋은 사랑은 아직 오지 않았다’의 저자 한귀은에게서 그의 전작‘이별리뷰’(이봄, 2011)를 만나면서 사랑에 대한 특별한 경험을 한 사람이 아닐까 싶었다. 이별은 사랑의 과정에서 필연코 동반하게 되는 문제이기에 이별에 주목하는 사람의 본래 관심은 사랑에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보통의 사람들과는 달리 저자는 사랑 후에 오는 이별에 관심을 가졌고 그 이유가 어디에서 출발했을까 하는 호기심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 이유를 짐작할 만한 것이 이 책에 담겨 있다고도 보인다.

 

이 책은 사랑에 대한 이야기다. 그것도 고전에서 배우는 사랑이야기라고 한다. 문학을 좋아하는 사람을 비롯하여 웬만큼 책을 읽었다고 하는 사람들에게는 익숙한 문학작품들을 통해 그 작품 속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사랑에 관한 고찰을 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랑에 도움이 될 만한 인문학 팁을 도출하여 보여준다. 그렇다고 문학 속 이야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저자의 이야기를 포함하여 주변 사람들의 경험에 비추어 저자의 사랑에 대한 시각을 현실화 하고 있다. 사랑을 이야기하면서 특정한 어느 시점에 전착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는 첫 대면이나 상대방이 마음에 끌리는 시점부터 사랑의 전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중요한 지점에 주목하여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사랑이야기의 실마리로 사용하는 문학작품으로는 첫사랑(투르게네프), 오만과 편견(제인 오스틴), 거미여인의 키스(마누엘 푸익),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괴테), 적과 흑(스탕달), 안개(미겔 데 우나무노), 제인 에어(살럿 브론테), 폭풍의 언덕(에밀리 브론테), 프랑스 중위 여자(존파울즈),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밀란 쿤데라), 상실의 시대(무라카미 하루키), 생의 한가운데(루이제 린저), 위대한 케츠비(스콧 피츠제럴드), 순수시대(이디스 워튼), 슬픔이어 안녕(프랑수아즈 사강), 콜레라 시대의 사랑(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안나 카레니나(톨스토이), 왼손잡이 여인(페터 한트케), 마담 보바리(귀스타브 플로베르), 까라마조프 가의 형제들(도스토예프스키) 등이다.

 

익히 알려진 작품들이기에 저자의 사랑이야기를 따라가는데 별 어려움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주인공들의 사랑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유추하여 해석하는 저자의 능력에 감탄하게 된다. 사랑은 환상이 아니며 지극히 일상적인 현실로 받아들이게 되는데 안내자의 역할을 톡톡하게 해내고 있다. 저자는 주인공들의 이야기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작품의 저자가 살아온 삶 속에서 저자들의 사랑의 모습이 어떻게 주인공에게 투영되는지 까지를 고려하고 있다. 사랑의 모든 것이라고도 할 수 있는 중심 키워드를 통해 저자는 이 문학작품들을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첫사랑, 첫인상, 이야기, 구애, 밀당, 착한 여자, 언어, 아토포스, 전희, 에로티시즘, 불안, 섹스리스, 희망, 추억, 나이, 죽음, 복수, 고독, 중독, 질투 등이며 이런 솔직한 키워드는 진솔하게 자신의 사랑에 대한 점검을 해 볼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다고도 보인다. 특별히 주목되는 것은 본문에 삽입된 그림들이다. 어쩌면 이렇게 내용에 걸맞은 그림들을 찾아냈을까 싶을 정도다. 그림만을 따라 살펴보아도 한편의 사랑이야기가 완성될 것만 같다.

 

책을 접하다 보면 저자에 따라 주목하는 바가 특별한 것들이 있다. 누구든 자신의 관심사를 반영하기 마련이지만 그 사람만의 특별한 이유가 있어 보이기도 한다. 대학에서 국문학을 가르치는 저자의 가슴에 담긴 사랑에 대한 프리즘을 통해 세상의 사랑이 모두 가치있어 보이게 한다. 이런 사랑에 대한 공부가 사랑을 갈망하는 사람이나 지금 사랑하고 있거나 사랑에 아파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삶에는 정답이 없다고도 한다. 사랑 역시 정답은 없어 보인다. 누구나 자신의 사랑에 가치를 두고 진실한 사랑을 하면 그만일 것이다. 그 과정에서 겪는 고통까지도 사랑의 연장선에 있음을 받아들이며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