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글만리 2
조정래 지음 / 해냄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글 속에는 어떤 사람들이 있나?

중국은 돈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간관계가 형성되며 생존에 필요한 수단으로 돈을 벌려는 사람을 포함 돈에 노예가 된 사람들이 전쟁을 벌이는 현장이다. 한국, 중국, 일본, 미국,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각국의 사람들은 각기 그 특색을 보이며 중국과 접근하다. 가장 대별되는 나라로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서양의 나라들이다. 우선 일본을 비롯한 서양나라들은 중국어를 하지 않는다. 중요한 이유로 경제대국 중국에서 돈을 벌려고 하지만 여전히 중국은 이류인 나라로 치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 사람들은 다르다. 가장 먼저 중국어를 유창하게 할 수 있게 만드며 중국 역사를 비롯한 다방면에 걸쳐 중국을 이해하지 위한 노력을 필수적으로 한다. 이러한 차이가 중국인들이 한국인들을 대하는 태도로 나타나고 있다.

 

정글만리에는 그러한 모습을 대표적인 인물형으로 그려지는 몇 가지가 있다. 우선 종합상사 직원이면서 중국 밀착형으로 보이는 전대성을 포함한 김현승과 같은 사람이다. 중국 사람들과 돈이 아닌 인간 대 인간의 관계를 형성하여 중국인들의 사고방식에 가장 접근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당연하리만치 이러한 것은 사업의 성공적인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른 부류로는 중국의 관리다. 공산당원이라는 권력을 중심으로 자본주의 속성에 가장 먼저 접근하는 사람들이다. 온갖 이권에 끼어들며 돈을 움켜쥐려는 모습은 과연 중국의 미래가 밝은 수 잇을까 하는 의구심을 불러오게 한다. 그러나 그들은 늘 당당하다. 어쩌면 중국의 경제성장에 견인차 역할을 해온 것인지도 모를 신흥 부자들이 그 다음이다. 이들은 돈이라면 불나방이 불을 향해 달려들듯 물불을 가리지 않고 달려든다. 돈이 돈을 부르는 자본주의의 생리를 가장 잘 이해한 사람들로 중국에서 그들이 보여주는 모습은 리완싱과 같이 그야말로 졸부들 모습 그대로이다. 여기에 관료주의가 한 몫 하는 ‘꽌시’ 특수한 관계를 형성된다. 윈윈하자는 것이지만 그 결과는 불을 보듯 뻔하다. 결국 돈 없고 빽 없는 일반인과 노동자들의 땀을 통해 얻어지는 것을 당연시하게 자신들의 주머니로 챙기는 것이다. 중국이 개방정책을 하면서 수많은 한국기업들이 중국으로 갔다. 그곳에서 성공한 기업도 있지만 그보다 더 많은 기업들은 실패를 한다. 실패의 이유야 많겠지만 한 사람의 기업인을 통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이 있다. 바로 하경만과 같은 비교적 양심적인 기업인이다. 그들은 중국 사람들과 인간적 교류를 중심으로 사업을 펼친다. 당연히 성공적으로 기업을 성장시키고 있다.

 

중국과 한국, 어떤 미래를 상상할 수 있을까? 서로 필요에 의해 주고받는 사이가 보통의 국제관계이지만 이런 관계만으로 설명하기에는 무엇인가 부족함이 있다. 동북공정과 같은 정책은 분명 양국 사이에 걸림돌이 되지만 어디 이러한 것이 현실적인 이익 앞에서 맥이나 출 수 있을까? 작가 역시 조심스럽게 다가서는 느낌이다. 혹 작가는 송재형과 리옌링이라는 베이징 대학생 연인을 통해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다. 걸림돌이 한 둘이 아니지만 그들의 사랑이 결실을 맺어 보기 좋은 결과를 만들 때 어쩌면 중국과 한국의 미래를 그렇게 상상해 보는 것이 아닐런지...

 

정글만리의 인물형은 그다지 복잡하지 않다. 사람들의 삶과 관련된 이야기지만 그 중심에 분명하게 경제를 두고 전개되는 것 때문일까? 아니면 자본주의의 속성을 이미 다들 알고 있기에 복잡하지 않게 그려나가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동일한 한자문화권 속에서 수천 년 함께해온 중국이기에 사고의 근거에 동일한 무엇이 흐르고 있어 더 쉽게 이해되는 것은 아닐까 싶다.

 

쉽게 상상하듯 정글의 모습은 분명 정글의 모습인데 이야기 전개는 치열함으로 읽히지 않으니 무엇을 놓치고 있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