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젠가는 너에게 갈 수 있을 거야?

기다림, 반가움, 무료함 때론 거북함에 피하고 싶은 것...무엇을 두고 하는 말일까? 전화다. 전화 없는 세상은 상상 속에서도 불가능한 현실이다. 필요한 사람이 먼저 하는 것이 전화지만 걸려온 전화를 피하고 싶을 때도 있기 마련이다. 누군가 나를 찾아 전화를 하지만 늘 반가운 것은 아닌 것처럼 말이다.

 

어느 시인의 시에서 제목을 가져왔다는 이 소설은 꽤 많은 사람들이 찾으며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달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 ‘엄마를 부탁해’이후 출간된 지 제법 지난 신경숙의 이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라는 작품을 통해 신경숙과도 만나게 된다. ‘엄마를 부탁해’로 강한 인상을 받았던 작가의 이 작품을 통해 무엇을 이야기하고 싶은지 기대된다.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는 나에게 성장소설로 읽힌다. 그 중심에 청춘이 있다. 청춘, 청춘을 대표하는 말로 무엇이 있을까? 희망? 불안? 사랑? 무엇 하나로 딱히 정의할 수 없음은 안다.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분명하지만 그 시대를 관통하는 무엇이 있을 것도 같다. ‘그것이 무엇일까’을 찾아내는 것이 이 작품의 중심을 관통하는 주제로 보고 싶은 마음이다. 성장소설이라고 하면 대부분 어릴 적부터 시작하지만 이 작품은 20대 초반을 그 시작으로 하고 있다. 바로 청춘들이 세상과 친구 그리고 자신에게 귀결되는 문제들에 대해 고민하고 번민하며 때론 웃고 기뻐하며 서로를 향한 안타까운 마음들이 가득하다.

 

엄마의 병으로 인해 일찍 부모와 떨어져 지내야 했던 정윤, 그런 정윤과 한 고장에서 나고 자라며 늘 붙어 다녔던 단이와 대학에서 만난 명서와 미루가 주인공들이다. 각자 자신들만의 세계 속에서 튼튼한 성을 쌓고 그 너머에 무엇이 있는지 살며시 고개를 들지만 이내 다시 그 성안으로 몸을 숨기고 마는 청춘들이다. 세대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비슷한 년령층에 속하는 사람들이다. 여기에서 그 비슷한 것이란 시대적 환경이 중심인 듯싶다. 같은 시대를 사는 같은 또래들이라도 그들 가슴속에 깃든 것들은 다를 수 있다. 이 다름이 기쁨과 아픔, 불안과 희망이 공존하는 근거가 된다. 이들 사이에 가교 역할을 하는 사람이 윤교수다. 청춘들 보다 세월의 무게와 성찰의 깊이가 있어 청춘들에게 나침반이 되고 있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이 있다. 명서의 정윤에 대한 마음이다. 서로를 향한 마음이 간절하지만 그 간절함 보다 더 깊은 마음의 거리가 있다. 곁에 두고 싶지만 그 마음보다 더 사랑하는 마음이 있기에 거리를 두고자 하는 것이 명서의 사랑이다. 윤교수가 죽음을 맞이하는 8년 후 다시 만나는 정윤과 명서의 만남에는 세월의 흐름과 함께 세상과 스스로를 만나는 지점에서 사랑으로 만나게 된다. 이를 받아들이는 두 사람의 마음엔 혼란 보다는 느긋한 무엇이 있어 보인다.

 

삶은 산술적 시간과는 상관없이 기나긴 길이다. 그 길에서 혼란스러운 것이 어쩌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혼란을 잠재우는 힘은 조금 긋하게 시간과 마주하는 것이 아닐까? 신경숙의 고백처럼 우리 문학에는 청춘들의 문제를 직시하는 작품들의 부재를 안타까움이 있다. 청춘들의 문제를 직면하는 것이 청춘들만의 문제가 아니듯 이 작품 또한 나이를 불문하고 공감할 무엇이 있다. 상처를 안고 삶에 도전하는 청춘들의 일상이 처절하게 그려지는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가슴 저미는 공감대가 있다. 그것이 힘일 것이다. 이 작품이 회자되는 근본적 힘 말이다. ‘언젠가’라는 기대를 하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