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과 나 - 왕을 만든 사람들 그들을 읽는 열한 가지 코드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권력, 옳다고 믿는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힘이다

자연인이 아닌 사회적 관계를 통해 인간의 관계를 규정하는 말로 무엇이 있을까? 다양한 인간의 관계를 함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말로 '권력'에 그 자리를 차지하지 않을까 싶다. '권력'을 매개로 인간관계를 설명한다면 애매모호하여 잘 이해하지 못했던 다양한 인간관계를 설명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게 된다는 점을 새롭게 알 수 있다. 이러한 사례를 보여주는 것으로 역사적 사실만한 것이 있을까 싶다. 하여, 역사를 보는 대부분이 바로 '권력'에 집중하여 벌어진 인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는 것이라고 본다. 이미 지난 사건이기에 비교적 자유롭게 인간관계를 추적할 수 있으며 다양한 해석 또한 가능해 지는 것이 그 이유일 것이다.

 

그간 다양한 역사적 사실을 통해 인간관계를 분석하고 각 사건을 관통하는 인간의 권력에 대한 욕망과 그 결과가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당쟁으로 보는 조선역사', '조선 왕 독살사건', '누가 왕을 죽였는가',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조선왕을 말하다' 등과 같은 저작물로 살펴온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 이덕일이 새로운 책 '왕과 나' 역시 비슷한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저자의 시각을 볼 수 있다.

 

'왕과 나'는 왕은 스스로 탄생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 것을 전재로 '권력'을 사이에 두고 왕의 권력의 동반자로 볼 수 있는 '참모'에 주목한다. 이는 역사를 이야기하는 기존 시각 즉, 왕을 중심에 두고 역사를 기술한 시각에 보충적으로 그 왕을 있게 한 다른 권력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왕권이라는 무소불휘의 권력을 사이에 두고 왕과 신하가 어떤 관계를 보일 때 권력의 진정한 모습을 찾을 수 있는지에 집중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으로 살핀 역사적 사실로는 김유신, 신숭겸·배현경·복지겸·홍유, 소서노, 정도전, 황희, 김육, 천추태후, 강홍립, 박자청, 인수대비, 홍국영을 살피고 있다. 결정적 순간에 왕을 있게 한 킹메이커에 주목하여 '권력'의 본질적 측면을 통해 인간의 관계와 왕이 왕으로 바로 서고 참모가 참모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는 관계를 살피고 있는 것이다. 왕과 참모의 관계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왕을 만들고 그 왕의 자리를 튼튼하게 만들어주는 것으로 자신의 소임을 다한 경우와 왕의 권력에 참여해 그 권력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자 했던 경우가 그것이다. 이 두 경우 전자는 정도전 후자로는 홍국영을 그 대표적인 예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홍국영처럼 왕의 권력을 자신이 대신하고자 했던 경우 무엇이 잘못되었다는 것일까? 권력의 정점에 서고자 하는 것이 권력의 속성이라면 그들 역시 그 속성에 충실한 것이 아닐까? 하지만 이 경우 권력이 가지는 가치가 어디에 있는 지를 망각하거나 왜곡한 경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에게 권력이 필요한 이유는 옳다고 믿는 가치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라는 말이 필요한 것이다. '옳다고 믿는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힘이 권력이라면 반드시 필요한 것이며 그런 권력을 잡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정치이기에 정치가 가지는 가치 또한 큰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정치 역시 이러한 권력을 쟁취하기 위해 세력을 규합하고 이합집산을 하며 때론 자신보다 더 큰 권력의 편에 붙기도 한다. 이런 모든 것을 정당화 할 수 있으려면 권력의 진정한 가치인 '옳다고 믿는 가치'를 실현할 힘을 가지는 것에 지향점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오늘날 정치인이 권력의 중심부로 향하는 이유가 이 경우에 해당할지는 의문이다. 이 점이 오늘날 우리나라의 정치인들이 역사를 제대로 공부해야할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는 이유가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