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지식인의 죽음 - 김질락 옥중수기
김질락 지음 / 행림서원 / 2011년 11월
평점 :
품절


신념이 무너졌을 때 남은 것은 무엇일까?
사람은 무엇으로 살아가는가? 이 물음에 대한 답은 사람에 따라 천차만별의 답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물음의 근저엔 사람마다 다른 그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나 사회적 환경, 사람에 따라 달라지는 다름이 아니라 한 사람을 오롯이 그 사람이게 만드는 그 무엇에 대한 물음일 것이다. 역사의 변화무쌍한 변화에도 굴하지 않고 숱한 우여곡절을 겪으면서도 자신이 믿고 지향하던 삶을 목숨과 바꿔서라도 잃지 않았던 사람들을 기억한다. 우리는 그들의 삶 속에서 그토록 믿고 싶었던 사람의 신뢰를 보고자 하는 것이리라. 하지만, 그런 사람들은 많지 않다. 자신의 모든 것을 걸었지만 스스로를 배신하고 적당한 선에서 타협한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역사는 그들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며 다만, 옳지 못한 사례의 교훈으로 삼는 것이리라. 

한국전쟁 후 우리나라 1960년대는 극히 혼란스러운 시대였다. 그 혼란은 국민들의 실생활이 피폐하여 살기 힘든 것만이 아니라 민족의 장래를 두고 치열한 사상적 투쟁을 벌려나가는 시기이기도 했다. 좌우 이념대립이 극에 달하여 적과 동지를 구분하는 일도, 민족의 운명을 결정지을 통일에 대한 염원에 대해서도 안개 속에 빠져들던 그런 때였다. 그런 시대 민족의 앞날을 열어갈 희망으로 지하투쟁을 벌였던 세력들 중에 ‘통일혁명당’ 사건이 있었고 그 사건은 세간의 관심을 받다가 이내 관심 밖으로 밀려났다.  

‘통일혁명당’은 미제국주의 식민지 통치의 철폐와 자주적 민주정부의 수립, 파쇼독재체제의 소탕과 사회정치 생활에서 민주주의의 실현, 농어촌 세기적 낙후성과 빈곤의 일소 등 12개조의 강령을 실현하기 위해 조직을 결성한다. 북과의 관계를 북한의 중앙당과는 형제당이라 설정하고 남한혁명은 남한 인민 자신의 힘으로 해야 한다는 자주노선을 택했다. 주요활동으로는 ‘청맥’지를 발간하고 학사주점을 중심으로 동조세력을 모으고 하부조직을 구성하였다. 통일혁명당 중앙 간부였던 김질락과 이문규는 1967년(5월 5일~5월 28일)에 목포를 거쳐 서해를 통해 월북하여 평양의 주암산 안거에서 약 20일간 머물면서 노동당에 입당하고 교양을 받았다. 주요 인물로는 김종태, 김질락, 이문규, 이진영, 신영복 등이며 김종태와 이문규, 김질락 등은 사형이 집행되었다. 

지식인은 자신이 살아가는 시대와 떨어질 수 없다. 그것도 시대의 아픔을 외면하고 살아서는 지식인이라 마f할 수 없는 것이다. 한때 시대의 사명을 자신의 삶과 동일시하며 치열한 삶을 살았던 지식인이 그 길을 걸었던 자신의 삶을 부정한다는 것은 분명 지식인의 삶을 포기한다는 것이리라. 그 순간 그가 걸어왔던 길은 분명하게 후회가 따른다는 것은 자명하다. 무슨 말로 자신의 삶을 후회하던 그 후회 속에서 사람들이 배워야 할 것이 무엇이 있을까? 

이 책 ‘어느 지식인의 죽음’은 사형이 집행된 김질락의 옥중수기로 1991년 발행되었던 것을 재발간한 책이다. ‘비록 그때로부터 세월은 많이 흘렀지만, 옥중에서 처절한 후회로 써내려간 저자의 절절한 고백록을 읽게 될 지금의 독자들도 시대를 잘못 읽어간 한 젊은 지식인의 삶과 죽음에 먹먹하고 답답한 느낌을 지울 수 없을 것이다.’ 재발간한 의도가 분명한 것이다. 변절한 지식인의 모습 속에서 무엇을 봐야 하는지, 이를 주목하는 사람들이 주목하는 것이 무엇인지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