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시스 크릭 - 유전 부호의 발견자
매트 리들리 지음, 김명남 옮김 / 을유문화사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크릭에게 배우는 과학자의 정신 

노벨상에 대한 열망은 나라마다 대단하다. 한 나라에서 노벨상을 받은 사람의 숫자만큼 그 나라의 위상이 높아지는 것처럼 말하는 분위기가 그것을 말해주고 있다. 또한 과학자들의 업적의 모든 것을 이 상으로 대변하는 경향성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경향성은 이웃나라 일본에 비해 노벨상 수상자가 미치지 못하는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노벨상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과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폄하하거나 과소평가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학계를 비롯하여 관련된 많은 분야의 선도적인 노력으로 전 인류의 삶을 나아지게 만드는 과학적 성과를 가져올 수 있길 희망하는 것이 서실이다. 우리나라도 그러한 과학적 성과가 나올 기초과학의 저번이 축성되길 또한 바라는 마음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기초과학 분야에서 눈부신 성과를 이뤄낸 과학자들의 일상적인 모습은 그들이 이뤄낸 학문의 성과와 더불어 늘 관심의 대상이었다. 이 책 ‘프랜시스 크릭’은 유전부호의 발견자인 프랜시스 크릭(1916~2004)에 대한 일대기에 관한 이야기다. ‘프랜시스 크릭’은 유전의 핵심에 있는 디지털 암호이자 생명과 비생명을 구분해 주는 요소, 바로 ‘유전 부호’를 발견하여 생물학 혁명을 일으킨 생물학자이다. 제임스 왓슨과 함께 DNA 구조를 밝혀 유전학과 분자 생물학 분야에 새로운 역사를 썼다.  

한 사람의 전기는 그 사람이 태어나고 성장하며 살아가는 동안 이뤄냈던 업적과 그 업적을 이룬 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담아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책 역시 영국에서부터 시작된 ‘크릭가’의 내력을 필두로 해서 삶의 터전을 옮기고 그가 주목했던 관심사의 흐름에 대해 구체적인 이야기를 전개한다. 일견 과학자들의 삶은 오직 연구실과 실험에 매달려 있는 단순하고 딱딱한 모습이 연상되지만 이 책은 그러한 편견을 무너뜨리고 있다. 

성장과정, 군복무 중, 연구실에서 보여주는 조금은 엉뚱한 모습이나 자신의 주장을 펼치는데 주저함이 없는 성격 등 수다스럽고 사교적이었던 크릭의 인간적인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이는 그가 남긴 편지, 강연 메모, 논문 초고, 연구 일지 등 직접 남긴 문서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생생함이 더 살아나는 것이 아닌가 한다. 

“당신이라는 사람, 당신의 기쁨과 슬픔, 당신의 기억과 야망, 당신의 개인적 정체성과 자유의지가 사실은 방대한 무리의 신경세포들과 연관 분자들이 취하는 활동에 지나지 않는다” 

노벨상의 공동수상자인 왓슨에 비해 잘 알려지지 않은 크릭은 자신의 학문의 목표를 ‘생명과 의식’으로 설정했다. 그의 두 번째 연구 주제는 ‘인간의 뇌’에 관한 것이다. 밝혀지지 않은 분야에 대한 과학자들의 도전은 어쩜 무모한 일이 아니었을까 싶다. 누구나 할 수 없는 일에 자신의 모든 것을 던질 수 있는 것은 그렇게 무모한 도전으로 불리는 것 말고는 없을지도 모른다. 과학자들의 그러한 도전이 있었기에 오늘 우리가 누리는 문명의 혜택을 가능했음은 굳이 말하지 않아도 모두가 안다.  

그 안다는 것은 무엇일까? 그러한 과학자들이 밝혀낸 모든 것을 다 알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과학자들이 자신의 모든 것을 걸고 도전했던 불굴의 도전정신과 열정이 그 모든 것을 이룰 수 있었다는 것을 안다는 것으로 보고 싶다. 과학자들의 그러한 정신을 배워 현실에서 부딪치는 다양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다면 그들과 같은 정신으로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 놀라운 성과를 이룬 과학자들의 삶에서 진정으로 배워야 할 것이 바로 그것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