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을 길들이다 과학과 사회 10
베르나르 칼비노 지음, 이효숙 옮김 / 알마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통증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
인간의 삶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것은 뭘까? 그것은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오랫동안 사는 것이 아닌가 한다. 모두 무병장수를 소망하게 되지만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질병에 걸리거나 뜻하지 않은 사고로 인해 고통을 받게 되어 있는 것이 사람 살아가는 모습이 아닐까? 아파본 사람만이 그 고통을 안다고 했다. 아픔에는 물론 심리적 요인에 의한 것도 있지만 주요한 대상이 되는 것은 물리적으로 아픔을 느끼는 경우가 대부분이 아닌가 한다.

심신에 병이 찾아와 치료하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동반하는 것이 통증이다. ‘죽어도 좋으니 아프지만 않게 해주세요’라는 망처럼 거부할 수 없는 이 통증을 완화하고 치료하는 과정이 의술행위의 시작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통증은 사람마다 그 심한 정도를 느끼는 차이가 있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이로부터 얼마나 아픈가 하는 것에 대한 일반화가 어려운 까닭이기도 하다. 알마출판사의 이 책 ‘통증을 길들이다’는 바로 그 통증에 대한 기본적인 정의부터 통증에 접근하는 다양한 분야의 종합적인 관점 그리고 현재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현실적인 환경까지를 살피고 있다.

이 책은 통증을 식별하고 치료하기, 통증을 밝히다, 통증에 대한 환자의 권리 등 크게세 가지 분류로 통증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통증에 대한 원인과 분석의 과학적 접근은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되는 부분도 있지만 주목하고 싶은 부분은 철학, 신학, 문학 등에서 통증을 어떻게 보고 있는가를 살핀 ‘통증을 밝히다’ 라는 2장이 아닌가 싶다. 통증에 대한 이러한 분석은 인류가 통증을 인식한 시간만큼 오래되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모든 병과 동반하는 통증에 대해 과학적인 접근이 이뤄진 시기는 놀랍게도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고 한다. 미국의 경우 1947년 존 보니카에 의해 출발했으며 이 책이 발간된 프랑스의 경우로 보더라도 1986년 통증의 임시적 완화를 담당하는 치료진들을 구성하고 이러한 치료를 장려하는 보건부 공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하지만 본격으로 통증치료에 진정한 출발은 1993년 8월에 와서야 프랑스 통증학회 이름으로 개최된 제7회 국제통증학회 파리 학술대회를 연 때를 시작으로 보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떤지에 대해서는 아쉽게도 이 책에서는 밝혀놓지 않고 있다. 다만, 추천글을 보면 1983년 설립된 대한통증연구학회가 그 출발이 아닌가 한다.

이 책에서는 통증에 대한 의학적 접근 뿐 아니라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이 관심을 끈다. 그것은 환자의 정서 상태나 주변 사람들의 환자에 대한 인식 등 환자의 통증에 대해 다양한 분석을 통해 이해해야 한다는 점이다. 특히 심리학적, 환경과 문화적 요인을 살펴 진심으로 환자의 고통을 줄여가려는 노력이 통증을 바라보는 현대적 시작임을 알게 하고 있다.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몸과 마음이 고통 받고 있는 현대인들이 통증의 원인과 그 해결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할 수 있게 하는 점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 아닌가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