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와 런던의 밑바닥 생활
조지 오웰 지음, 신창용 옮김 / 삼우반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약자에 대한 사회적 책임
IMF 구제 금융이라는 상황을 겪으며 우리 사회는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소비풍조의 쇄신과 개인적 차원의 절약생활이나 국가적 혼란을 극복하기 위한 금모으기 국민운동을 대대적으로 벌리기도 했다. 그 와중에 제도적인 모순이나 개인적인 이유로 인해 일상의 커다란 변화를 겪은 사람들이 수 없이 많았다. 한 순간 일자리에서 쫓겨나 생활의 근거지를 잃기도 했으며 소중한 가정이 파탄나기도 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양산된 것이 노숙자라는 사람들이다. 연일 중앙방송에서는 그들에 대한 관심을 보이긴 했지만 해결책은 제시하지 못했고 뜻있는 사람들에 의해 무료 급식소가 생겨났다.

IMF 구제 금융의 국가적 위기를 극복했다고 자부하는 오늘에 이르러서도 그와 처지가 비슷한 사람들이 많이 있다. 다만 변했다면 그때처럼 주목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그 사람들에게 절대적인 생존의 문제에서 한발 나아가 상대적인 소외감이 훨씬 크리라 짐작해본다. 이기주의, 물신주의가 팽배한 현대사회에서 가난이란 죄악처럼 느껴진다.

세계 대공황으로 몸살을 앓고 있던 1920~30년대 유럽의 중심 프랑스 파리와 영국 런던의 상황도 우리의 IMF 상화에 못지않은 혼란의 시기였던 모양이다. 당시 파리와 런던에서 부랑자로 살았던 경험을 바탕으로 자전적 소설을 쓴 조지 오엘의 작품 [파리와 런던의 밑바닥 생활]도 우리의 그것과 비슷한 모습을 보여준다. 러시아 혁명을 배경으로 한 [동물농장]으로 친숙한 조지 오엘의 첫 소설이라는 의미도 있지만 밑바닥 생활을 직접 체험한 자전적 이야기라는 호기심이 더 강하다. 에릭 아서 블레어라는 본명 대신 조지 오엘이라는 필명으로 작품 활동을 한 그는 어린 시절 상류층 아이들과 계급적 차이를 경험하기도 했다. 또한 영국의 식민지 버마에서의 경찰 생활은 이후 그의 작품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고 한다.

[파리와 런던의 밑바닥 생활]은 주인공 ‘나’가 가난과 없음의 상징인 뒷골목 생활에 대한 이야기다. 악취와 벌레가 오히려 친숙한 여인숙 잠자리는 그나마 행복한 고민일 정도로 극도의 빈곤을 체험하고 있다. 동전 한 잎 없어 먹지도 못하고, 그나마 혹독한 고통이 수반되는 일자리마저 구하지 못하는 그들의 생활이 생생하게 그려지고 있다.

사람 사는 곳은 어디든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기 마련이다. 이곳 뒷골목 역시 같은 처지를 이용하여 배신하거나 빼앗으려는 사람이 있기도 하지만, 서로의 고통과 어려움을 나눠가며 따스한 마음을 보이는 사람도 분명 있다. 1부 2부에 공통적으로 주인공과 함께 하는 친구가 있다. 등장하는 사람들의 모습은 뒷골목 생활에 적응해서 그 속에 안주해 하루하루를 보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나름대로 합리적인 삶의 방법을 찾기도 하고 또한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을 하는 사람도 있다. 무대만 다를 뿐 결국 사람 사는 곳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주인공을 통해 직접 뒷골목에서 생활하면서도 다른 누군가에게 그러한 상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인 생활의 모습이 세세하게 그려지지만 슬픔이나 외로움 등 뒷골목 생활자의 절절하게 심정이 느껴지지는 않는 것이 저자의 관조적인 글쓰기에 요인하지 않은가 생각된다. 조지 오엘은 작가를 지망하는 중산층인 자신의 존재를 통해 사회적 약자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묻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구세군에는 기부하지 않을 것이며, 옷가지를 전당 잡히지도 않겠으며, 광고 전단지를 거절하지도 않겠고, 고급 음식점의 식사를 즐기지도 않으련다. 이것이 시작이다.]라고 말하는 저자의 말은 의미심장하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국가를 비롯한 사회의 책임은 어디까지일까?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말하면서 그 책임 전가를 개인적인 차원으로 한정시키는 것은 아닐까하는 의문이 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