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의 유토피아 - 우리 할아버지의 할아버지가 꿈꾼 세계 키워드 한국문화 5
서신혜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꿈에서라도 가고 싶은 그곳
현실을 살아가기가 어렵고 답답할수록 자신이 처한 상황을 벗어나고 싶은 욕망은 커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를 벗어나고자 하는 방법의 모색으로 복권을 사기도 하지만 간혹 이룰수 없는 꿈을 꾸기도 한다. 마음의 고통이나 억매여 살아가는 현실에 대한 대안으로 꿈속에서나마 상상의 나래를 펴곤 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찾아가는 자신의 이상적인 꿈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은 많지 않다. 그래서 더 간절함이 있고 늘 이상향에 대한 갈망을 가지는 것인지 모르겠다. 이렇게 이상향을 찾는 것은 시대를 불문하고 늘 있어왔기에 앞선 시대를 살아온 선조들은 그 이상향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와는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비교해 본다면 여간 흥미로운 것이 아닐 것이다.

[조선인의 유토피아]는 그렇게 선조들의 삶속에 살아 숨 쉬고 있던 이상향에 대한 모티브를 안평대군의 몽유도원도에서 찾아보고 있다. 안견이 그렸다고는 하지만 그리게 된 직접적인 동기가 안평대군이 꾸었다는 꿈이기에 이야기 중심은 당연하게 안평대군으로 모아지고 있다. 안평대군은 세종의 셋째아들이며 문종 때 주로 활동하였으며 둘째 형 수양대군의 권력에 맞서는 모습이었다. 계유정난으로 강화도로 귀양을 갔으며 다시 교동도로 유배되고 그곳에서 30대 중반인 나이에 사사되었다. 시문을 비롯하여 그림, 가야금 등에 예능에 능하고 특히 글씨에 뛰어나 명필로 꼽혔다.

이 책은 몽유도원도를 시작으로 이상사회에 대해 문헌상 나타나는 기원을 찾아보고 이상향의 다양한 형태와 그 구체적 메커니즘을 확인하고 있다. 중국 남북조시대 한유의 제도원도시로부터 도연명의 도화원기 등 이상향에 대한 기원을 찾아보며 각 시대별로 이상향이 담고 있는 사상이 무엇인지 하나하나 찾아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이상향을 실제로 구현한 사례인 지상에 건설된 낙원 - 판미동을 찾아보고 그 실현 가능성까지를 살피고 있다.

군주의 나라에서 왕이 되지 못하고 왕의 형제로 살아가기에 너무 험난한 시대를 살았던 안평대군의 삶속에서 그가 그리던 이상향은 어떤 세상이었을까? 시대적 상황과 결코 무관하지 않은 삶을 살아가는 안평대군에게 꿈속에서 본 깊은 계곡 복숭아꽃 활짝 핀 무릉도원은 심상치 않게 다가왔으리라는 것은 누구나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이화동, 유토피아, 무릉도원, 이상향, 청학동, 선계 등 불리는 이름은 각기 다르나 그것이 담고 있는 뜻은 모두 현실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가슴속에 자리 잡고 있는 현실과는 다른 꿈의 세계, 소망하는 세상을 말하고 있다. 역사 이래 이러한 이상향을 찾는 사람들은 늘 있어왔다. 그것은 어느 시대에나 현실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이 녹녹치 않았음을 반증하는 것이리라. 하지만 이상사회가 담고 있었던 지향점이 마냥 놀고먹는 사회를 바라는 것이 아니라 열심히 일하고 일한 만큼의 성과를 공평하게 나누며 권력으로부터 착취당하지 않고 생활하는 것이었다.

이 얼마나 순박한 꿈인가? 발 딛고 사는 현실을 떠난 꿈같은 사회, 이상향을 이야기 하지만 그것이 결코 허황된 꿈으로 치부하기에는 허전한 무엇인가가 있다. 옛날이나 현대에 이르러서나 권력을 가진 사람들은 백성을 위하는 정치를 한다고 표방한다. 하지만 백성들에게 돌아오는 현실은 암울하기만 한 세상이다. 그래서 늘 꿈같은 이상세계, 꿈속의 이상향을 찾는 여정은 멈추지 않은 것인지도 모르겠다. 이상향들이 한결같이 깊은 산중 찾지 못하는 곳에 있으며 속세와의 단절을 원하고 있다는 점이 의미하는 바를 되새겨 봐야 할 것이다.

안평대군의 꿈속에 함께 있었던 사람들의 운명과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지만 나라를 잃고 남의나라에서 서러운 운명을 살아가는 몽유도원도의 운명이 어쩜 비슷해 보인다. 키워드 한국 문화는 바로 이렇게 우리 선조의 숨결이 담겨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의 가치를 생각해 보게 하는 귀중한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다.

한 점의 그림을 통해 참으로 많은 역사적 사실을 유추해 볼 수 있음을 확인한다. 시간의 흐름에 거스르며 오늘날까지 살아남아 그 존재를 밝히고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의 가치를 다시 생각하는 시간이다. 안평대군이 발하고 안견이 그린 몽유도원도의 실물을 우리 품에서 볼 수 있길 기원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