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기억은 왜 그토록 불안정할까 과학과 사회 3
프란시스 위스타슈 지음, 이효숙 옮김 / 알마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기억은 왜 불안정할까?
살아온 시간동안 있었던 일을 잊어버리지 않고 무한정 기억하고 있다면 사람들의 삶은 어떤 모습일까? 즐겁고, 힘들고, 아픈 이 모든 일들이 시시때때로 생각나 자신의 감정을 지배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우리의 삶은 결코 행복하지 않을 것이란 생각이다. 즐겁고 행복했던 순간을 오랫동안 기억하고 그 행복함을 누리고 싶지만 이것 또한 잊혀 진다. 또한 불행했던 순간도 잊혀 지기에 그 충격에서 벗어나 새로운 희망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인간이 가지는 기억은 도대체 뭘까? 어떤 기능을 하기에 잊혀 지기도 하고 기억되어 새록새록 살아나는 것일까?

지극히 불안정한 기억이라는 인간의 기능에 대해 안타까움을 나타 낼 때는 잊어버리고 싶지 않은 소중한 일에 대한 아쉬움 때문일 것이다. 어떻게 보면 시험 공부하는 수험생들이 가장
안타까워하지 않을까. 또 그런 안타까움을 표현하는 사람이 있다. 알츠하이머라는 병에 시달리는 사람들이다. 기억되어 사회적 인간으로써 살아가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제반 역할을 잊어버릴 때 오는 황당함은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우리의 기억은 왜 그토록 불안정할까]는 이렇게 우리의 기억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기억에 관한 연구의 황금기, 기억과 작업 기억, 장기 기억, 기억 질환, 뇌 기능의 영상, 기억의 구성과 기능 등 총 6가지 분류를 통해 과학적으로 기억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 이후 그 기억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여준다.
이 책은 또한 기억에 장애를 일으키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내 놓고 있다. 과학적인 실험과 분석을 통해 기억에 장애를 일으키는 요인이 무엇이고 어떤 질환이 있는지 살핀다. 두개골 외상의 후유증이나 알츠하이머병처럼 신경퇴행성 질환들이 그것이다.

이처럼 기억에 대한 연구를 하는 과학자나 신경심리학자들의 연구 목표는 인간 기억의 구성과 관련된 긴밀한 메커니즘을 밝혀 그 메커니즘의 복잡성과 그것에서 파생되는 불안정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기억은 단순한 도구적 기능이 아니라 지극히 의식적이지만 무의식적인 부분까지 포함하고 있다고 말한다.

기억이 사람에게 중요한 것은 나 자신에 대한 정체성을 유지해 준다는 것이다. 예전의 나와 지금의 나를 같은 사람으로 인식하게 하는 역할이 그것이다. 또한 기억은 과거를 위한 것이 아니라 미래를 위해 존재한다고 말한다. 매 순간 변하는 현재를 기억하고 다가올 미래를 대비하는 것이라는 것.

사람을 둘러싼 환경은 시시각각 변화해 왔다. 그에 적응해온 인간은 변화된 환경이나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안정적인 삶을 살아가길 희망한다. 인간의 기억이라는 기능이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불확실할 때 현재와 미래를 지금처럼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은 불명확하다. 그런 점에서 기억은 미래를 위해 존재한다는 점이 새롭게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