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 생명체를 찾아서 과학과 사회 2
프랑수아 롤랭 지음, 김성희 옮김 / 알마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상상력의 내래를 펴다
인간의 상상력의 한계는 어디까지 일까? 인류가 이룩한 창조와 발견의 대부분은 무한한 상상력이 가져다준 선물인지도 모르겠다. 과학, 문학, 예술은 말할 것도 없이 사람사이 사랑의 문제도 이 상상력은 지대한 역할을 한다.

인간의 상상력은 이것에 지구와 인류에게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범위는 지구라는 별을 벗어나 우주를 향한 공상과학소설이나 영화가 현실로 다가오게끔 하고 있다. 지구라는 행성을 넘어서 태양계에서 생물체를 찾으려는 노력에서도 발휘되어 왔다. 과학의 발전에 발맞추어 수많은 우주선이 지구를 떠나고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천체망원경이나 안테나가 지구 밖 우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이유는 뭘까? 혹 있을지도 모르는(아직 확인되지 않았기에) 지구 밖에 존재하는 생명체에 대한 호기심이 그것이다. 생명체든 인류와 비슷하게 지적인 활동을 하는 생명체에 대한 탐구는 이제 시작인지 모르겠다.

[외계 생명체를 찾아서]는 바로 이러한 물음에 대해 인류가 이룩해 온 성과를 바탕으로 현주소와 미래를 이야기하고 있다. 생명체란 무엇인가로부터 지구에 생명체가 존재하게 된 역사와 그 과학적 배경을 살펴 지구 밖 어딘가에 있을지도 모르는 생명체에 대한 이야기를 펼친다. 생명체가 살 수 있는 별을 찾아 그 환경을 조사하는 수많은 실험과 프로젝트에 관련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지금까지 가장 주목받는 곳이 화성이지만 그곳 말고도 관심의 대상이 되는 곳은 많다. 지구가 포함된 태양계 외에도 등록된 외계 행성은 200개가 넘는다고 한다. 그 외계 행성이 지구의 인간을 닮은 생명체와는 다른 구조를 가진 생명체가 있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가지고 바라보는 것이다.

일찍이 별들의 전쟁에 참여한 소련이나 미국, 프랑스를 비롯하여 인류가 이룩한 학문의 모든 영역이 공조하는 이 야심찬 계획은 어쩌면 지구촌이라고 하는 지구 공동체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지도 모른다. 지구라는 작은 별에서 인류가 최고라는 생각이 이제는 외계와 지구라는 상대적인 생각으로 바뀔 수도 있다. 그래서 저자는 지구 공동체의 결속이나 지구의 생존 환경을 파괴하는 일을 멈추게 될지도 모른다고 지적한다.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외계 생명체나 외계인이 발견되리라고 믿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 우주전쟁에 뛰어 들었다. 비록 실패했지만 나로도호의 발사, 우주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한 외계 행성의 탐사 등 이미 시작된 외계 생명체 연구에 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 책 [외계 생명체를 찾아서]가 주목하는 것은 우주에 존재할 수 있는 생명체의 발견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외계 생명체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이며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가에 있다. 외계 생명체에 대한 연구는 지구와 인간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말이다. 외계 생명체에 대한 관심에 앞서 생명이란 무엇이고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에 대한 성찰이 더 시급한 문제가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