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서
한호택 지음 / 달과소 / 2008년 8월
평점 :
새롭게 만나는 서동요
역사를 다시 보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한때 유행처럼 번지며 사람들을 매료시켰던 문화유적답사,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역사스페셜, 텔레비전 드라마, 역사책 등 직접 찾아가며 만나는 방법에서부터 다른 사람들의 결과물을 통해서 만나는 방법 등이 그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역사적 사실에 기초하되 작가의 상상력이 최대한 발휘되는 팩션(Faction) 이라는 분야를 통한 만나도 있다. 이러한 팩션에 속하는 그동안의 여러 창작물들은 역사적 사실을 왜곡한다는 점에서 많은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작가의 과도한 상상력에 대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많은 팩션이 창작되고 사람들에게 익숙한 장르로 인식되어 오면서 이 팩션이 잊혀졌던 역사를 오늘에 되살려 사람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측면이 많다는 점은 인정하게 된다.
이 책 [연서] 또한 그런 한 장르의 소설이다. 백제 성왕의 아들 위덕왕 시절이 중심으로 그려지는 이 소설은 서동요의 주인공인 장의 성장과정을 그리고 있다. 한 인간으로 성장하며 겪게 되는 갈등, 출생비밀에 대한 혼란을 극복하며 스승 왕평을 만나 세상을 헤쳐 나가는 역경 속에서 영웅으로 성장하는 과정이 담겨 있다. 고구려 이후 백제의 성립과정에 대한 이야기, 백제 위덕왕이 신라와의 전쟁에서 사망하고 혼란스러운 정치적 상황에 직면하게 된 백제는 왕권의 계승과 권력의 안정화를 꽤하기 위한 방안으로 새로운 영웅의 출현으로 돌파구를 찾고자 한다. 장은 이러한 과정에서 무술의 연마, 도예수업, 그림공부, 장사 등을 통해 현실을 바로보고 당당하게 어려움을 헤쳐 나가는 과정을 통해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배우게 된다.
이소설의 주 무대가 백제에서 일본으로 옮겨지며 일본의 아스카문명을 일으킨 백제 유민과 아좌태자 그리고 신라에서 일본에 와 있던 선화공주와의 만남으로 이 소설의 후반부를 장식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과 성덕태자의 초상에 대한 흥미로운 저자의 상상력이 가미되고 있다. 백제의 권력투쟁 과정에 대한 스승 왕평과 아좌태자의 이견에서 오는 갈등과 이후 이 두 사람의 죽음을 통해 백제의 운명을 개척하려는 장의 움직임과 선화공주와의 사랑이 절정에 달하는 후반부다.
제목 연서(戀書)에서 보이듯 이 소설은 남녀의 사랑이야기가 중심이다. 서동과 선화공주의 이야기 즉 서동요가 출발점이다. 연서(戀書)로써 서동과 선화공주의 로맨스를 그려나간 부분에선 연서(戀書)로서 그 주제에 충실하고 있는지는 의문이 들 정도로 흥미로움이 다소 떨어지는 느낌이다. 더불어 왕권을 둘러싼 권력투쟁의 과정 또한 그리 치밀한 구성을 보여주진 못하고 있다.
그렇더라도 이 소설은 장과 선화공주 이 둘의 사랑이야기에 머물러 있지 않고 일본과의 교류에 대한 이야기를 중심적으로 다루면서 당시 백제, 신라와 일본의 삼국으로 범위를 넓혀 정치적, 사회적 분위기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 독특하다는 느낌이 든다. 익히 우리에게 알려진 서동요라는 이야기를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당시 시대상황을 재현한 점이 이 소설이 갖는 장점이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