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싯다르타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8
헤르만 헤세 지음, 박병덕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싯다르타로 다시 헤르만 헤세를 만난다
살아가다보면 시간이 한동안 지나고 나서야 소중함을 알게 되는 것이 있다.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당시엔 귀하고 소중한 마음으로 받아드리지 못한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언제나 이러한 후회나 아쉬움은 늘 막차를 놓친 것처럼 늦기 마련이다. 다음엔 놓치지 말아야지 하면서도 늘 같은 일이 반복되어 지는 것. 그것이 문제인 것이다.
헤르만 헤세가 나에게 그런 느낌을 주는 작가 중 한명이다. 세계문학사에서 유명한 사람이여서가 아니고 더욱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회자되어지는 작품에 공감하는 바가 있어서도 아니였기에 한동안 잊고 지냈다. 헤르만 헤세의 이런 저런 책을 읽었지만 기억에 남아있지 않은 특별한 이유도 찾을 수 없었다. 얼마 전 만났던 [요양객] 이후 다시 [싯다르타]로 만나는 헤르만 헤세는 분명 달랐다. 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소중함을 알게 하는 그런 존재로 다시 찾게 되는 작가다.
[싯다르타]는 시인이요 탐색자이며 고백자라고 하는 헤르만 헤세를 처음이면서 정식으로 만나는 느낌이다. 불교의 싯다르타의 생애를 이야기하면서도 그 속에 헤르만 헤세의 구도자적 삶이 잘 드러나는 있다고 생각된다. 인간의 근본적인 고뇌인 생로병사에 대한 탐색의 과정이 아주 구체적으로 그려지고 있다. 구도의 길을 걷기 위해 가정으로부터 출가하고 벗이자 도반인 고빈다와 함께 사문들에게 배우고 깨달은 자 고타마을 만나며 고행과 수도의 과정을 거치는 깨달음의 길에 서 있다. [나는 사색할 줄을 아오. 나는 기다릴 줄을 아오. 나는 단식할 줄을 아오]라는 말에서 보여 지듯이 여기까지는 개인적인 수도의 과정이였다면 고타마를 만나고 난 후 싯다르타와 고빈다 두 사람의 길이 달라지면서 변화를 맞는다. 저자 헤르만 헤세는 깨달음을 향한 어찌보면 순탄하게 보이는 개인문제에 집중하는 길에서 보다 근본적인 물음으로 싯다르타를 걸어가게 한다. 카말라라는 여인의 등장으로 전환점을 맞이한다. 자신이 속한 세계와 자신과의 관계에서 오는 번뇌를 극복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세속적 지위를 얻고 돈을 벌며 여인과 애정 그리고 자식을 사랑하는 지극히 일상적인 문제에 접근하며 보다 근원적인 물음에 대한 답을 찾아간다.
이 책에서도 구도의 길에서 여전히 유효한 도반이 등장하고 있다. 1부에선 고빈다라면 2부에선 뱃사공 바주데바가 바로 그들이다. 강이라는 매개를 이용하여 대화하는 그들은 분명 서로 구도의 길에선 도반이며 스승이다. 자자 헤르만 헤세는 싯다르타를 통해 구도자적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 깨달음이 무엇인지, 그 길을 걸어가는 사람들의 삶에 대해 근본적인 자각이 필요하다고 말이다. 저자는 동 서양의 사상적 흐름에 비교적 잘 접근할 수 있었던 할아버지와 아버지에서 자신에게로 이어지는 가계의 정신적 가치 추구의 흐름이 헤르만 헤세로 이어지는 경우가 아닐까 생각하게 된다.
어떤 형태가 되었던 지금 깨달음을 향한 구도의 길 위에 선 사람이나 일상을 그저 평범하게 살아가는 사람에게도 헤르만 헤세는 이 싯다르타를 통해 분명하게 자신의 현재를 돌아보게 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시대를 거슬러 헤르만 헤세를 만나는 즐거움이 여기에 있지 않을까. 놓쳐 아쉬움로 남았던 그 무엇인가를 다시 찾은 기분으로 만나는 헤르만 헤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