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비를 던지다 - 왕들의 살인과 다산의 탕론까지 고전과 함께 하는 세상 읽기
강명관 지음 / 한겨레출판 / 2009년 6월
평점 :
절판


옛글을 통해 속 시원한 딴지걸기
역사의 숨결이 스며있는 유적이나 선조들의 정서가 담긴 옛글을 찾아보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사람들을 그 속으로 이끌고 있는 힘이 무엇인지 알고 싶을 때가 종종 있다. 아마도 그것은 사람들 마음속에 삶을 먼저 살아온 선조들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삶에 대한 지혜를 얻고 싶은 이유가 아닐까? 그러한 목적을 실현하는데 가장 유익한 수단 중 하나가 옛 사람들의 정서와 기상이 오롯하게 담긴 글만한 것이 없을 것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 시대 사람들이 직면하는 여러 가지 현안 또한 사람들이 살아가며 만든 일들이 대부분이다. 우리가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면 스승이나 선배들을 찾아 그들의 삶의 경험에서 얻은 지혜에서 해결의 방법을 얻고자 하는 것처럼 선조들이 남긴 옛글을 통해 우리 스스로 돌아보는 법을 배우고 해법을 찾아보는 것이다. 한계레출판에서 발간한 강명관의 [시비를 던지다]는 바로 이러한 방법으로 스스로를 돌아보며 시대정신을 반영한 해법을 찾아가는 묘미를 전해주고 있다.

[나는 조선시대를 사는 사람이 아니고, 21세기의 한국 사회를 사는 사람이다. 조선시대는 나의 학문적 관심대상이지만, 21세기 한국 사회는 나의 삶이 이루어지는 구체적 시공간이다. 나에게 후자가 더 중요한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조선시대는 현재 내가 처한 삶의 조건을 이해하고, 또 삶을 만족스럽게 변화시키기 위한 방편일 뿐이다. 이 책에 실린 글이 끌어대는 조선시대의 글 역시 그 방편의 하나다.](저자 서문에서)

이 글에서 알 수 있듯 [시비를 던지다]에는 옛글에서 찾은 이야기를 통해 현실에 대한 의문을 풀어내는 저자의 독특한 이야기 방식이 담겨 있다. 첫 이야기부터 가짜의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가짜를 만들어 내는 진짜 범인이 누구인지 옹고집전의 헛옹가의 이야기를 통해 가짜를 양산하는 현 시대의 풍조에 대한 저자의 속내를 시원스럽게 드러내고 있다. 그것뿐 아니다 호학군주며 성군이라는 칭호를 받았던 정조의 부부싸움 끝에 부인을 발로 차 죽인 박춘복에 대한 이야기에서 그때의 백성과 지금의 국민이라는 존재가 어떤 위치인지도 비교 분석한다. 또한 조선의 과학은 왜 낙후하게 되었는가에서는 조선이라는 사회의 근간을 이뤄왔던 학문의 흐름에서 그 원인을 찾고 있으며 탐관오리 불멸론, 소인배 승승장구론, 소인배 등급론 등에서 보여주는 우리의 현실은 씁쓸한 웃음을 짓게 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우리가 당장 직면하는 교육현안, 노동자, 권력의 부정부패, 암울한 사회현상 등의 문제를 과거 속 옛사람들의 이야기를 찾아 과거와 지금을 비교하고 있다. 옛글에서 찾은 선조들의 모습이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에서 그대로 나타나는 상황을 분통한 마음으로 때론 안타까움을 담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모습만을 본다면 우리의 미래는 희망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유토피아를 꿈꾸지 못하는 세상에서 저자는 다산 정약용의 글을 통해 희망 찾기를 보여주고 있다.

글은 그들이 살던 시대정신의 반영이며 지극히 개인적인 사사로운 감정뿐 아니라 백성과 나라를 걱정하는 우국충정이 있고 현실을 딛고 미래를 밝혀줄 지혜를 담고 있다. 그것이 많은 사람들이 고전을 찾고 탐독하는 이유라고 말한다. 저자가 이 책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의 제반 문제에 대해 과거와 오늘을 비교하며 시비(是非)를 따지고 해법을 모색하자는 것이라 생각된다.

답답함으로 현실을 바라보는 많은 사람들에게 저자의 속 시원한 풍자가 그저 속풀이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