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경래 : 세상은 백성의 것이다 샘깊은 오늘고전 9
작자미상 지음, 윤기언 그림, 김기택 글, 강명관 해설 / 알마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은 백성의 것이다
세상의 변혁에 뜻을 두고 그 뜻을 실현하기 위해 온 생애를 바쳤던 사람들을 기억한다는 것은 그 결과에 연연하지 않고도 충분히 가슴을 울리는 외침이 있다. 뜻을 이뤄 성공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는 승자이기에 당연히 정사(正史) 기록되어 후대에 남겨지지만 실패하여 뜻을 이루지 못한 사람은 그 사람이 이루고자 했던 의기(義氣)가 남아 사람들의 가슴에 흐르게 된다.

다른 많은 사람들처럼 홍경래도 마찬가지다. 실패했기에 전설처럼 회자되는 이야기로 가슴앓이로 남았다. 홍경래가 살았던 시대는 조선의 정조에서 순조에 이르는 시기로 양반 사이의 권력 다툼이 심했고 정치, 경제, 사회의 변화도 컸다. 권력의 정점에 서 있었던 양반들은 더 많이 갖기를 원하고 그것을 지키기 위해 강압적인 정책을 쓰고 백성들은 생활에 대해선 희망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미 가진 것을 지키고 더 많이 가지기 위해 온갖 권모술수를 쓰는 그들과 대조적으로 백성들은 더욱더 가난해지고 힘들었다. 어떤 형태로든 살아갈 희망을 찾는 돌파구가 필요한 시대였던 것이다. 이런 흐름을 잘 파악하고 변혁을 꿈꿨던 사람이 홍경래다. 어쩌면 살기위한 최후의 수단 이였는지도 모른다.

저자는 이 책에 대해 [홍경래의 삶과 ‘홍경래의 난’을 어린이·청소년도 쉽게 읽을 수 있는 이야기로 풀되, 역사 기록에 남은 사실을 바탕으로 구성하고 서술한 것이다. 그 흐름은 작자 미상의 조선 시대 한문 기록 [홍경래전]을 따랐으며, 세부는 [조선왕조실록](순조실록) 등 당시 기록과 오늘날의 연구를 참고해 다듬었다]고 한다. 청소년에게 뿐만 아니라 성인도 다시 한번 인간 홍경래와 홍경래의 난 그리고 홍경래를 있게 했던 조선 후기의 정치, 경제적 상황에 대해 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책을 구성하는 주요 부분 중 삽화도 큰 몫을 한다. 이책에 보이는 그림은 독특하다. 윤기언이라는 사람은 서예(書藝), 서각(書刻), 전각(篆刻), 전통적인 수묵과 채색 기법 들을 두루 익힌 작가라 한다. 내용에 더 흥미를 이끄는 작품이다.

홍경래의 뜻이 성공하지 못한 이유는 많을 것이다. 그런 실패한 이유보다 자신이 살아가던 시대의 모순을 보고 변혁을 시도했다는 그것에 의미를 두고 싶다. 예나 지금이나 정치권력의 근처에 머물고 있는 사람들은 무슨 생각으로 살아갈까? 혼탁한 우리시대 역시 홍경래가 살았던 시대와 무엇이 다른가.

자신이 누리는 현재의 권력을 있게 해 준 근본에 대한 본 의미를 알고나 있는 것인지 홍경래를 보면서 다시금 생각해 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