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족濯足'

壁絶巖危飛瀑落 벽절암위비폭락

灑珠噴雪 襟 쇄주분설천금거

緣何濯足窮深處 연하탁족궁심처

不濯他人己濯餘 불탁타인기탁여

깎아지른 벽 험한 바위에 폭포수 떨어지자

구슬 뿌리듯 눈을 뿜듯 옷자락을 적시네

무슨 까닭으로 깊은 곳에서 발을 씻는가

다른 사람 씻길 생각 말고 나부터 씻어야지

*지운영의 그림 "탁족"에 쓰인 시 한수다.

맑은 물이 흐르는 곳에서 좀처럼 자신의 몸을 밖으로 드러내기 어려웠던 선비들이 버선을 벗었다. 이미 기분만으로도 자유를 누린듯 했을터이다. 흐르는 물에 발을 담그고 그 시원함을 느꼈을 갓을 벗은 선비의 얼굴을 떠올려 본다.

"초나라 시인 굴원의 ‘어부사’에 예화가 나온다. 나라 걱정하는 굴원에게 어부가 귀띔한다. “창랑의 물이 맑은가. 갓끈을 씻기에 좋겠구나. 창랑의 물이 흐린가. 발을 씻기에 좋겠구나.” 지운영은 거기에 한 수 더 얹는다. 남의 발까지 간섭하는 오지랖은 마땅치 않단다. 흐린 물을 만나면 내 발의 때부터 보자. 탁족은 ‘족욕(足浴)’이 아니다."

손철주의 해설이 그럴듯 하다.

고사의 의미는 세속을 떠난 은일사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한다. 하지만 그것보다는 스스로 자신을 옭아메고 있었던 도덕과 규율에 닫힌듯 살았던 선비들이 더위를 쫒는다는 핑개삼아 그 엄격함에서 벗어나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중복中伏이다.

본격적인 더위 앞에 몸도 마음도 지쳐가는 때이다. 맑은 물 흐르는 계곡이 멀다면 거실에 찬물 떠놓고 발 담궈도 좋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