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구꽃

청명 시절 혼을 끊는 고향의 꽃

臨水杏花 임수행화

​瓠犀齒白捲脣紅 호서치백권순홍

草麝淸香散曉風 초사청향산효풍

似怕嬌顔容易老 사파교안용이로

淡施脂粉照靑銅 담시지분조청동

물가의 살구꽃

박씨 같은 흰 이에 붉은 입술 말아 올리고

그윽한 맑은 향기 새벽바람에 흩어지네.

아리따운 얼굴 쉬이 늙을까 두려운 듯

연지와 분 옅게 바르고 거울에 비추어 보네.

-성현, "속동문선" 권9

*알고 보면 반할 꽃시(성범중ㆍ안순태ㆍ노경희, 태학사)에 열한 번째로 등장하는 성현(成俔,1439∼1504)의 시 "臨水杏花 임수행화"다.

봄의 화사함을 말하기에 빼놓을 수 없는 꽃이다. 매화가 지고 벗꽃이 피기 전에 살구꽃이 핀다. 살구꽃은 꽃받침이 홍자색으로 꽃이 피면서 뒤로 졎혀진다는 특징이 있다. 홍자색의 이 꽃받침이 살구꽃의 화사하게 보이도록 한다.

살구꽃의 이미지는 다양하지만 우선 고향 생각을 떠올리게 한다. 어린시절 살구를 먹었던 기억 때문이 아닌가 싶다. 이 책에서 저자는 고려말 조선 초의 시인 정이오읮 "천금으로도 오히려 좋은 계절을 살 수 없는데, 뉘 집에 술이 익어 가길래 꽃이 저리도 피는가. 千金尙未買佳節 酒熟誰家花正開라는 구절에서 술 익는 마을에 핀 꽃도 응당 살구꽃일 것이다"며 살구꽃을 술익는 마을과 연결하고 있다.

어린시절을 보리타작 할 무렵 살구나무가 있는 집 골목에서 주운 살구를 먹었던 기억이 있지만 꽃에 대한 생각은 없었던 것 같다.

시골동네로 이사를 온 이듬해 봄 동네 뒷길 어느집에 나이 먹은 살구나무가 있었다. 꽃 필 때부터 열매 익어 떨어질 때까지 일부러 그길을 출퇴근 길로 삼았다. 꽃도 보고 열매도 맛보는 재미를 누렸는데 올 봄에 그 나무는 잘려나갔다.

더이상 이 마을에서는 살구꽃을 볼 수 없다는 아쉬움에 올 봄 내 뜰 대문 옆에 한그루 심었다. 이제 꽃 피고 열매 열릴 날을 기다리기만 하면 된다.

아무리 찾아도 살구꽃 사진이 없어 꽃친구 평상 선생님의 사진을 빌려왔다.

*'알고 보면 반할 꽃시', 이 책에 등장하는 꽃시를 따라가며 매주 한가지 꽃으로 내가 찍은 꽃 사진과 함께 꽃에 대한 내 나름의 이야기를 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