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향화

천 리로 퍼지는 그윽한 향기

瑞香花

窨中開遍瑞香花 음중개편서향화

擎出淸明香滿家 경출청명향만가

鼻觀先通揩兩眼 비관선통개양안

淡紅枝上散餘花 담홍지상산여화

서향화

움 속의 서향화가 흐드러지게 피는데

청명에 꽃대를 내미니 향기가 집 안 가득하네.

콧구멍으로 소통한 뒤에 두 눈을 비비고 보니

연분홍 꽃송이들이 나뭇가지에 흐ㅌ어져 있네.

*알고 보면 반할 꽃시(성범중ㆍ안순태ㆍ노경희, 태학사)에 여섯번째로 등장하는 이색(李穡, 1328~1396)의 시 '瑞香花 서향화'다.

이색이 고려 사람이니 서향은 이미 그 전부터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꽃이었다고 짐작할 수 있다. 무엇보다 향기로 주목했으니 "천 리로 퍼지는 그윽한 향기"라는 수식어가 그럴듯하다.

서향은 중국 원산으로 , 향기가 매우 강해 천리를 간다하여 천리향이라 부르기도 한다. 꽃은 연분홍색으로 피고 흰색으로 피는 것을 백서향으로 부른다. 요즘도 이 향기에 매료되어 기르는 사람들이 많다.

강희안의 '양화소록'에는 서향화를 두고 “한 송이 꽃봉오리가 벌어지면 향기가 온 뜰에 가득하고, 활짝 피면 그윽한 향취가 수십 리에 퍼져나간다”라고 했다.

시골로 이사오기 전 도시의 아파트에 살 때 봄 꽃시장에서 구한 천리향을 키웠다. 특별히 관리해 주지 않아도 잘 자라며 몇 해 동안 꽃을 피우며 그 좋은 향기를 나눴다.

지금 사는 곳으로 터전을 옮기며 같이 왔고 화단을 마련해 심었는데 그해 겨울을 넘기지 못하고 죽고 말았다. 추위에 대비하지 못한 탓이었다는 것은 시간이 지난 뒤에서야 알았다. 그후론 뜰에 들일 엄두를 내지 못한다. 곱던 색과 은근했던 향기로 기억에 남은 꽃이다.

매해 첫 꽃놀이를 섬진강 매화로부터 시작한다. 가장 먼저 핀다는 매화를 만나고 마을 끝자락에 있는 소학재라는 찻집에서 커피 한잔을 나누며 잘 가꿔진 정원에 꽃으로 가득 피어날 봄날을 상상한다. 그 집 입구에는 커다란 서향이 매화와 향기를 견주며 피어 있다. 그렇게 잘자란 서향을 본 기억이 없다.

사진은 꽃벗인 송인혁 선생님의 서향과 백서향에 내 사진 하나를 얹었다.

*'알고 보면 반할 꽃시', 이 책에 등장하는 꽃시를 따라가며 매주 한가지 꽃으로 내가 찍은 꽃 사진과 함께 꽃에 대한 내 나름의 이야기를 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