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 동안 놀기에 적당하지 않은 날이 없고, 한 세상에서 함께 놀기에 적당하지 않은 사람이 없다. 그러나 노는 날은 반드시 좋은 때를 골라야 하고, 함께 놀 사람은 반드시 마음에 맞는 이를 찾아야 한다. 좋은 날에 좋은 사람을 찾았으면, 또 반드시 즐기기에 적당한 장소를 골라서 즐겨야 한다.
좋은 때를 고르자면 늦봄의 화창한 삼짇날보다 더 어울리는 날이 없고, 마음에 맞는 사람을 찾자면 진솔한 시인 묵객보다 더 어울리는 사람이 없으며, 즐기기에 적합한 곳을 가리자면 호젓하고 툭 트인 울창한 숲과 냇물보다 더 어울리는 장소가 없다. 이 세 가지를 갖춘 뒤에야 그 놀이가 세상에 널리 알려질 수 있다. 이것이 왕희지의 난정계첩이 오늘날까지 오래도록 일컬어지는 까닭이다.

*조선시대 사람 권상신(1759~1825)이 주도한 대은암의 꽃놀이를 김홍도가 그린 '은암아집도隱巖雅集圖'에 찬贊을 붙인 글의 시작 부분이다.

권상신의 다른 글, '남고춘약南皐春約'에 따르면 젊은 시절 절친들과 과거공부를 핑계로 모여 함께 한바탕 봄놀이를 즐기고자 하여 규약을 정한 것이 있다. 여기에는 "첫째, 밥을 먹기 전에 어떤 장소에서 꽃구경을 할지 의논하여 결정한다. 둘째, 보슬비나 짙은 안개, 사나운 바람이 불어도 가리지 않는다. 셋째, 갈 때 소매를 나란히 하기도 하고 또 걸음걸이를 나란히 하기도 한다. 넷째, 꽃구경을 하는 이 중에 꽃을 꺾는 것을 즐겁게 여기는 이가 있는데, 매우 의미 없는 짓이다. 다섯째, 술잔을 돌릴 때 작은 잔을 나이순으로 돌린다. 여섯째, 운을 내어 시를 지을 때, 하나의 운으로 함께 짓기도 하고 운을 나누어 각자 짓기도 한다." 로 정하고 이를 어길시는 별도로 마련한 규칙에 의해 벌칙을 받아야 한다고 정했다. 벌칙은 정도에 따라 최고로 무거운 것이 술이 다섯잔이다.

우수雨水가 지나며 날이 풀린다는 것을 앞서가는 마음따라 몸도 알아 본다. 눈 속에 핀 꽃을 찾아 꽃놀이를 시작한 이래 한층 가까워진 꽃소식을 접하며 마음은 안달복달이다. 이에 옛사람들의 꽃놀이에 대한 글을 찾아 읽으며 꽃을 대하는 아름다운 마음을 본받고자 한다. 꽃을 핑개로 벗들과의 교류가 중심이겠다. 하지만 번잡함을 피하는 사람으로 혼자 누리는 것보다 더 나은 것을 알지 못한다.

한가지에서 난 산수유가 나란히 세상 구경을 나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