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꽃을 사랑함에 대하여'
물과 땅에서 나는 꽃 중에는 사랑스러운 것이 매우 많다. 진나라의 도연명은 유독 국화를 사랑했고 이씨의 당나라 이래로 세상 사람들은 모란을 몹시 사랑했으나 나는 홀로 연꽃을 사랑한다.

진흙 속에서 나왔으나 물들지 않고
맑은 물 잔물결에 씻겨도 요염하지 않고
속은 비었으되 밖은 곧아
덩굴은 뻗지 않고 가지도 없으며
향기는 멀수록 더욱 맑고 우뚝 깨끗하게 서 있으니
멀리서 바라볼 수는 있으되 함부로 다룰 수는 없다.
나는 말하겠다.
국화는 꽃 중의 은일자요.
모란은 꽃 중의 부귀한 자요.
연은 꽃 중의 군자라고.
아!
국화에 대한 사랑은 도연명 이후에는 들은 적이 드물고 연꽃에 대한 사랑은 나와 같은 이가 몇 사람인고 모란에 대한 사랑은 많을 것이 당연하리라.

*중국 북송의 유학자 주돈이周敦頤(1017~1073)의 애련설愛蓮說이다. 연꽃이 절정인 때다. 연못에 연을 심어두고 꽃 피기를 기다리는 마음이나 불볕 더위에도 연꽃을 보러가는 이들은 알까. 주돈이의 이 애련설로 출발하여 연꽃을 향한 마음들이 고귀해졌다는 것을.

김소월의 진달래, 김영랑의 모란, 이효석의 매밀꽃, 김유정의 동백(생강나무), 도종환의 접시꽃ᆢ등. 그 사람이 있어 꽃이 있는 듯 특정한 연결고리가 만들어졌다. 한사람의 칭송이 그렇게 만든 시초이나 뭇사람들의 암묵적 동의가 따라붙어 형성된 이미지리라.

꽃따라 사계절을 주유하는 마음 한가운데 특정한 꽃을 놓아두고 시시때때로 떠올리며 정취를 누리는 마음이 행복이다. 무슨 꽃이면 어떠랴, 향기와 모양, 색으로 들어와 은근하게 피어날 꽃이면 그만이다. 주돈이의 연꽃보는 마음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여름 한복판이다. 더위는 이때다 하고 절정일 것이나 염덕炎德을 생각한다. 이미 늦었다고 머뭇거리지 말고 연꽃 피었다 지는 것은 지극히 짧으니 그 때를 놓치지 마시라.

연향은 멀리서 더 은근한 손짓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