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가 세상을 만나는 것은 때가 있는 법이다. 난초는 주周의 굴원屈原을 만났고 지초芝草는 한의 무제武帝를 만났으며, 국화는 진의 도잠陶潛을 만났고 매화는 남북조南北朝 시대 여러 사람을 만났으며, 모란은 당나라 낙양洛陽 사람들을 만났다. 연꽃은 송나라 주렴계周濂溪 선생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만나게 되었으니, 세상에서 연꽃이 가장 늦게 사람을 만났다고 한다. 어찌 고결한 존재가 서로 만나기 어려워서 그러한 것이 아니겠는가?"

*조선 후기 때 사람 신경준(申景濬, 1712~1781)의 '순원화훼잡설淳園花卉雜說'의 연꽃 부분에 나오는 글의 일부다. 순원화훼잡설은 신경준이 전북 순창에 내려와 살면서 순창의 꽃들을 기록한 글이다.

굴원의 난초, 왕휘지의 대나무, 도연명의 국화, 임포의 매화 여기에 더하여 영랑의 모란, 소월의 진달래, 도종환의 접시꽃, 김유정의 동백(생강나무), 박완서의 싱아, 송창식의 동백꽃, 이미자의 해당화 등등.

꽃과 사람이 서로 연결되어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경우가 여럿이 있다. 모든 꽃이 아름답지만 사람이 각기 다른 성격을 지내듯 꽃에 대한 호불호가 갈린다. 유독 좋아하는 꽃을 곁에 두고 완상하며 자신만의 감정이입을 하는 이들의 마음 속에 꽃 향기가 머물 것이다.

누군가를 떠올릴때 그에 어울리는 꽃이 함께 생각난다면 그 사람과의 관계는 이미 꽃길 속을 걷는 것이리라.

나는 무슨 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