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동차 구조 교과서 - 전문가에게 절대 기죽지 않는 자동차 마니아의 메커니즘 해설 ㅣ 지적생활자를 위한 교과서 시리즈
아오야마 모토오 지음, 김정환 옮김, 임옥택 감수 / 보누스 / 2015년 8월
평점 :

한참 전에 유행어도 아니면서 여러 사람들이
진리인 듯 떠들어 대던 말이 몇개 있었다.
그 중 한가지가 이 책을 읽다가
수초도 흐르지 않은 상태에서 생각이 났다.
그 말인 즉은 '수학, 너희들 사회 나가면
이거 쓸일 거의 없다, 아무짝에도.
지금 힘들게 배우는 미분, 적분 같은 것들
나가면 쓸일 있을거 같애?'였다.
그 때 이 말을 공감하며 듣지는 않았지만
크게 반박하면서 듣지도 않았었다.
나름 어린 나이였다면 였었음에도 이 말속에
삶의 진리보단 오류가 더 많다는 생각이 들었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다가 그 예전에 들었던
수학을 평하던 여러 사람들의 위와 같은 말들이 떠올랐다.
나이를 더 먹고 저렇게 맞는듯 틀렸던 말들,
그럼에도 대다수가 공감하며 들었을 상황이
더 많았을거 같은 위와 같은 말들에서
이제 그 진실왜곡에 대해 좀더 깨닫는다.
결론적으론 못써먹으니까 맞다.
지금껏 학창시절을 한참 지나보낸 사람 중에
수학정석의 내용을 지금껏 항상 애용하며
사는 사람이 몇이나 되겠는가.
그런데, 그러면 수학은 필요없었던건가?
중고등학교 여러 교과목 중 이런 식으로 따지면
진짜 필요한 과목은 뭐고 아닌 건 뭔가?
위와 같은 논리라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일찍이 구직이나 실업계에 해당하는
실무적인 공부만을 진리로 여기고 살아야 했다.
예전 어렸을 땐 나도 철학같은 학문을
왜 업으로 여기고 사는 사람들이 존재하는지 의아했는데
지금은 물론 아니다.
수학? 상업? 기술? 생물? 가사? 음악? 미술?
그냥 삶을 살아가는데 배워두면 몸에 쌓이고
자양분이 되는 그런 각각의 영양소 같은 것들이었다.
그러면 이 말이 지금 왜 필요한것인가,
자동차 구조 교과서를 읽고 난 소감을 적는 이 순간에.
이 책을 읽으면서, 예전 중고등학교 학창시절에 배우던
과목들이 생각났다, 왜 그땐 이런 정석정인 이론습득에 있어서
그 가치를 좀더 받아들이지 못했을까하는 아쉬움.
책은 굉장히 간략하지만 충분히 심도있게
차에 대한 많은 기계적 매커니즘들을 다뤄준다.
이걸 안다고 해서 내가 차를 수리하는 매커닉이 되버리는 건 아닐거다.
그러나, 이걸 모르고 차를 접하는 사람과
이제 이 책 내용을 알고 차를 접하게 되는 사람과는
겉으로 들어나지 않지만 차이가 만들어질거란 건 안다.
차에 대한 기계적인 것과 전기적인 것 등
많은 것들을 배워볼 수 있다.
그리고 차란 물건에 대해 이번 계기로
좀더 애착도 가지게 될수도 있을 것 같다.
사실 책을 읽으면서 굉장히 묘한 느낌을 받은게 있었는데,
어쩌면 책이 전달해줬던 직접적인 정보들 보다도
내용들을 읽어가면서 화려하지 않은
직접적이고 정직한 이론들에 대해 알아간다는 것에 대한
새로운 느낌들과 예전과 다른 가치부여 같았다.
책 내용도 좋고, 더불어 학창시절도 떠올릴 수 있을지 모르겠다.
예전엔 해야해서 했었다면 이번엔 한번
스스로 자진해서 생활 속 한 부분에 한해
이론적인 것들을 익혀보길 바란다.
굉장히 의미있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