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이라는 병 - 가장 가깝지만 가장 이해하기 힘든… 우리 시대의 가족을 다시 생각하다
시모주 아키코 지음, 김난주 옮김 / 살림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의 여성 방송인이자 작가의 눈으로 본 가족.
아버지, 어머니, 오빠, 그리고 자신까지가
직계가족의 전부일 수 있는 틀 안에서
현재 살아있는 사람은 작가 본인뿐이다.
결혼한 배우자를 남편이 아닌 반려자로 부르는게
한국과는 다른 언어라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왠지 책의 전체적인 분위기로 봐서는
한국에서 누군가는 아버지 어머니 성 모두를
성에 붙여쓰는 그런 느낌이랄까,
의도적인 호칭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살아생전 가족들이 모두 있었을 시절
그녀는 모두와 인연을 단절하고 살았다고 한다.
그런데 다 떠나고 나이를 먹고 보니
기존에 가졌던 가족이란 느낌과
인연을 끊었던 자신의 과거에 대해
다른 생각을 해보게 됐다는 것이
이 책의 모티브가 되었다는 듯한 말들이 들어있다.
가족이란 주제를 다뤘지만 표지에서 보이는
다리 하나가 부러진 의자 그림을 미루어 볼때도
단순히 화목한 가족의 모습을 지향하는 책일거란 생각은
쉬이 들지 않는거란 상상은 됐었다.
가족중 자신 이외의 모두가 떠난 현재도
독자가 느끼는 가족에 대한 그녀의 기본 철학이
크게 바뀌게 되었다고는 생각들지 않는다.
단지 이젠 증오나 남남처럼 의식하고 살았었던
과거보다는 유연하게 살고 싶다는 의지는 느껴진다.
그렇다면 이 책을 보면서 느끼거나
깨닫게 되는 건 무엇이어야 할까를 생각해봤다.
내 경우만을 말해보자면 2가지를 떠올리게 된다.
첫째는 그녀가 생각하는 이유와 정리과정이
독자의 시선으로 여러가지 이견이 있을수 있겠다는 생각과
둘째로는 이 책을 읽고 계기가 되어 제3자의 시선으로써
가족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누구나 한번쯤
해봄이 필요치 않나 하는 점이다.
그녀가 말하는 가족과 자신이 멀어진 이유를
먼저 작고한 3명의 가족과의 과거 이해관계를 근거로
그 타당성을 독자의 눈으로 봤을 때,
아버지나 오빠와의 관계에서는 공감을 하던 안 하던
그럴수 있는 사람도 분명 있겠다고 생각하며
큰 껄끄러움 없이 넘어갈 순 있을거 같다.
자신의 정치적 사상적 성향과 맞지 않았던 아버지나
아버지는 같으나 어머니가 달랐던 오빠와의 관계는
그것들이 직접적이던 간접적이던 영향은 분명
미쳤을거 같다는 생각도 들기에 공감하기로 한다.
그런데 내가 좀 공감하기 어려웠던 불화의 대상은 어머니였다.
그녀의 묘사대로라면 어머니의 이 딸에 대한 죄는
잘해준 것과 바보같이 착했던 어머니였다는 것이다.
자신에게 헌신하는 어머니 때문에 갑갑했다는 표현이 나왔고
지금에 와서도 그것에 대한 생각의 변화는 없는거 같다.
차가우면 차가운대로 따뜻하면 따뜻한대로의 관계 모두가
그녀에게 견딜수 없는 것이었다면 그녀의 바램대로
거리를 둔 냉정한 이성이 바탕이 된 관계가 진정한 가족일까.
난 가족에 대한 이상론자는 결코 아니다.
그러나 가족에 대한 차가운 시선에 대한 관점들이
가족에 대한 정의를 내릴 때 중심이 되서는 안된다는 생각을 한다.
맞추는 기준을 차가운 쪽이 아닌 따뜻한 쪽에 두어야
가족에 대한 바른 기준이 보편화 되진 않을까 싶다.
두번째로 가족에 대한 생각들의 재정립이다.
부모는 관대하고 자식은 부모만 마음씀씀이가 못할까.
아님 어른은 연륜이란게 쌓이고
어린 젊은이들은 치기와 자신감만이 있을까.
노인은 약하고 젊은피들은 건강하고 기운찰까.
자식보다 못한 부모 얼마든지 있을수 있고,
부모보다 속깊은 자식 또한 얼마든지 있을수 있다.
몸관리 잘해 누구보다 건강한 노인들도 얼마든지 가능하고
젊어도 정신이나 몸 모두 심약한 사람도 얼마든지 있다.
그러나, 이런 상반되는 생각들을
가족관계에서는 잘 해보기 힘들다.
다른 한가지 예로 탈북자들의 가족사랑이란걸 보면
놀라우면서도 의아한 것은 사선을 넘었고
자신의 행복추구를 누구보다도 적극적으로 해낸 인물들인데
가족들에 대한 사랑은 그런 냉정함을 넘어서는
자신보다 소중히 여기는 부분들이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의 저자는 가족에 대한 사랑에 냉정하다.
그 냉정함이 못마땅한게 아니라 그럴정도의
과거를 지닌 사람으로 보기엔 어려운 점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 저자가 보는 가족의 관점과 탈북자들의 관점.
왠지 한번 비교해 볼만한 대척점의 것이라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계기로 난 가족을 용서하고 사랑하자는
그런 단순한 느낌같은걸 받으면 안된다고 생각한다.
진정 냉정함을 받아 마땅한 가족관계가 있으면
그게 객관적인 잣대로 올바른 사고방이었던 것인지,
반대로 냉정함으로 돌아서야하는데 착한 누군가는
끌려가고 있는 잔인한 가족관계인지 등의
미담같은 얘기에서 벗어난 가족관계의 현실성에 대해
다각적에서 생각해보는게 매우 좋지 않을까 한다.
나는 이 책을 그렇게 생각해보는데
계기로 사용해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