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복
축복의 메세지를 전하는 손의 모습도 변화되어왔다. <살바토르 문디>의 손가락의 모습은 로마 카톨릭 교회의 축복의 자세이다.
알비세 비바리니의 <그리스도의 축복> 동방정교회가 채택한 축복의 표시이다. IC XC, 예수 그리스도를 표시하는 모노그램이다.
지위
턱을 들어올리고 꼿꼿하 자세, 숨긴 손, 손가락 모양, 발의 모양 등은 지위를 상징한다. 나폴레옹의 숨긴 손의 모습은 여러가지 예측이 많았으나 그것은 로마시대 연설하는 모습과 관련이 있다. 손을 감춤으로서 용감, 평정을 전달했다.
모욕
얼굴 일그러뜨리기, 혀내밀기, 손가락의 모습등
아인슈탄인의 지루함을 표시한 즉흥적인 혀내미는 모습을 찍은 사진은 유명하다.

휴식
잠은 휴식이 되기도 하지만, 두려운 악몽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술작품에 담겨있는 포즈를 통해 본 문화사로 볼 수 있다.
포즈에 담겨 있는 의미가 무엇인지, 어떻게 발전되고 바뀌었는지를 알려준다.
첫번째 장은 환영의 의미를 담은 몸짓.

팔치켜들기는 멀리서 하는 공통적인 환영인사.
미국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도, 그리고 운동경기를 마친 선수들의 경례도 이런 포즈였다. 나치식 경례를 연상케 한다고 쓸수 없게 되었다.

악수는 오래된 미술작품을 보면 고대문명의 특별한 행사 때 격식을 갖춘 인사로 쓰인것을 알수 있다.
와이즈먼 연구소의 일상적인 악수의 부수적효과에 대한 연구결과가 흥미롭다.
악수를 한 뒤 당사자가 손을 얼굴에 가까이 가져갈때마다, 코는 상대방의 정보를 담은 냄새를 맡게 된다는 것.

포옹은 성화에서 많이 보이는 포즈.

절과 커트시, 무릎꿇기, 엎드리기는 아랫사람이 몸을 낮추는 행동.
그리고 드가의 그림에 많이 나타나는 것처럼 커트시는 무대에서의 인사.
부그로의 <커트시>는 너무 예뻐서 책에 갈피를 해둔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1-05-09 00: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가 좋아하는 종류의 책! 재밌을듯요.

얄라알라 2021-05-09 01: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데즈먼드 모리스가 21세기에도 활발히 활동중인가요? <축구 종족>이후 업데이트를 안했는데 덕분에 고맙습니다

그레이스 2021-05-09 08:14   좋아요 2 | URL
미술관련책이 더 있어요
고양이와 관련된 미술, <고양이는 예술이다>도 봤는데 재밌고 그림이 예뻐요~~
 

프롤로그는 이렇게 시작하고 있다.길을 트고, 구멍을 뚫어 스스로에 갖는 다양한 오인과 환상을 넘어서는 작업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인간의 무의식을 둘러싼 허위와 발작은 억압때문이라는 것을 ‘프로이트의 늑대인간‘을 예로 들며, 루브르박물관에 보여지는 무의식과 억압된 욕망에 대해 이야기한다.
흥미로운 것은 루브르의 이름과 역사와 관련된 설명이다.
늑대들이 출몰하는 지역이어서 늑대의 성 혹은 땅이라는 이름을 지었다는 것과 방어를 위한 목적으로 지었던 초기단계를 유아기로 정의하고 프랑스와1세의 루브르의 증,개축으로부터 시작된 억압의 역사에 대한 설명이 흥미롭다.
저자는 이러한 박물관에 나타난 무의식과 억압으로부터 보편적인간의 욕망과 억압에 대해서도 설명해나간다.
읽어가면서 어떻게 길을 내고 뚫을지 흥미롭다.
토포스, 아토포스,아토피에 대한 설명이 명쾌하다.

논점punctum

이제 막 책을 펼쳐 든 독자에게 필자가 제안하고 싶은 것은 비교적 단순하다. 우리 자신에 대해서, 그것의 확장인 문명에 대해서 이제까지와는 다른 생각의 길을 열기. 고정관념으로 직조된 생각의 테두리로부터 벗어나는 방식으로 문명의 양상들을 상상하고, 그것의 일부인
‘나 자신에게 새롭게 접근하는 길을 트기Bahnune, 생각의 송곳으로 관념들의 표면을 찔러 구멍을 뚫기 puncta, 이를 위해서 이 책은 정신분석이라는 도구(송곳)를 사용한다. 
특히 우리가 의존하게 될 프로이트라깡학파의 정신분석은 인간이 스스로에 대해 갖는 다양한 오인과 환상을 분석하고 그것을 넘어서는 방법을 알려주기 때문이다.
- P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중의 얼굴에 물감 통을 내던졌다˝

휘슬러의 <검은색과 금색의 녹턴, 떨어지는 불꽃>이라는 그림에 대한 평론가 존러스킨의 비평이다.

존 러스킨은 대중의 존경을 받고 있던 평론가이며 저술가이다.
나는 그의 <나중에 온 이사람에게도>라는 책에서 당시 자본주의 사회를 비판한 그의 사상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휘슬러의 이 그림은 현대 회화사에서 중요한 그림으로 평가되는 작품이다. 추상회화의 출현을 예고하는.
휘슬러는 존 러스킨을 상대로 소송을 하고 재판의 결과는 휘슬러의 승리. 휘슬러는 재판비용으로 경제적 손실을 보고, 러스킨은 이 일로 옥스퍼드 대학 교수직을 사임한다.
과거 비평의 대상이었던 작품들이 현대에 미술사적 가치를 인정받고 부상하는 것을 본다.
러스킨과 같이 당대 저명한 학자도 시대의 눈에 갇혀서 새로운 미학을 이해하지 못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어쩔수 없는 현상인가 싶다.

어쨋든 러스킨의 <나중에 온 이 사람에게도>는 훌륭하다^^
리뷰는 언젠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5-06 00:5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 이그림 정말 좋아 하는데 !!
북플에서 테슬러로 읽고 들어 왔다가 ㅎㅎ
[검은색과 금색의 녹턴, 떨어지는 불꽃]과 만나게 되다니!!

그레이스님 서재방에 불꽃대신 별가루 뿌려요
┊┊┊┊ ┊┊┊┊
┊┊┊☆ ┊┊┊┊
┊┊┊☆
┊┊🌙 *
┊┊
┊☆ °
🌙*굿나잇~~
┊┊🌙 *
┊┊
┊☆ °
🌙┊┊┊☆
┊┊🌙 *
┊┊
┊☆ °
🌙*

그레이스 2021-05-06 16: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좋아하신다니 반갑네요!^^
 

그랜트 우드의 <아메리칸 고딕> 레고와 심슨에도 패러디된 화제작이다. 작품발표 당시 비판을 받았다. 19세기의 미국에서 유행한 카펜터 고딕 양식을 배경으로 하고 있어서, 작가가 농촌문화의 편협함을 은유적으로 비판했다고, 고향사람들의 분노를 샀다. 두 인물의 표정때문이다.

오필리어로 유명한 존 에버렛 밀레이는 가브리엘 로세티, 윌리엄 홀먼 헌트 등과 라파엘 전파 형제회의 일원이다.오필리어의 모델이었던 엘리자베스 시달은 로세티와 결혼했지만 불행한 죽음을 맞이한다. 로세티는 그녀를 위해 시를 써서 관속에 넣었다가, 시집출간을 위해 무덤을 파헤친다. 그녀는 불행한 죽음 후에도 평안하지 못했다.

작품과 작가와 관련된 이야기를 쉽게 전달한다. 작품에 대한 감상은 지극히 사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