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엽충 - 고생대 3억 년을 누빈 진화의 산증인 오파비니아 4
리처드 포티 지음, 이한음 옮김 / 뿌리와이파리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삼엽충 서평>

최초의 인간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탄생하기 아주 먼 옛날을 가리키는 단어가 있다. 선캄브리아기부터 페름기까지인 고생대가 있고 트라이아스기부터 백악기까지를 나타낸 시기인 중생대가 있다. 우리가 다 아는 공룡은 트라이아스기부터 백악기까지 약 1억 6천만년동안 서식했고 자취를 감췄다. 그러나 지금까지 발견된 고생물 중에는 공룡이 서식했던 시대보다 2배나 더 지구에 존재했던 생물이 있다. 바로 삼엽충이다.

여기서 내 얘기를 좀 더 해볼까 한다. 초등학교 시절 나의 꿈은 동물학자 사육사 혹은 고생물학자였다. 초등학생 시절 고생물에 관심을 많이 가졌던 나는 BBC공룡대탐험과 같은 공룡 다큐들을 매일 같이 봤고 매우 많은 공룡이름을 외우고 있었다. 초등학교 6학년 때 BBC에서 했던 ‘바다괴물들’이라는 다큐를 우연히 텔레비전에서 보았는데 그 다큐에서 아주 잠깐이지만 오르도비스기 장면에서 삼엽충이 포식자 바다전갈의 먹이로 나온걸 봤었다. 물론 그전부터 어린이용 고생물 책들을 봤기에 삼엽충의 존재를 알고 있었지만 어디까지나 고생대 초반기에만 서식한줄 알았었다.

시간이 흘러 난 대학생이 되었고 전공을 역사과를 선택했지만 공룡과 고생물에 대한 흥미를 버리지 않았다. 전공까지는 아니더라도 취미차원에서 관심을 가졌고 간혹 공룡 관련한 다큐나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정도였다. 최근 역사책 독서에 빠져있던 내게 눈에 들어오는 책이 있었다. 리처드 포터의 ‘삼엽충’이었다.

공룡보다 더 오랜기간동안 지구에 서식했던 삼엽충에 대해 흥미를 느낀 나는 알라딘에서 구매했고 2주에 걸쳐서 끝까지 다 읽었다. 과거 난 삼엽충의 존재를 단순히 현재 생존하는 쥐며느리의 조상정도로 치부하고 있었다. 그 편향된 관점은 이 책을 읽으면서 깨졌다. 삼엽충의 후손에 가장 가까운 동물이 투구게라는 사실에는 생김새와 서식환경을 고려하여 어느 정도 공감이 갔지만 전갈하고는 도저히 매칭되지 않았다. 책에서 안 또 하나의 사실은 삼엽충도 진화를 했고 그 종류가 수백 가지라는 사실이다.

책에는 저자의 인생스토리와 수십 년간 삼엽충 연구를 하며 느꼈던 감정서술이 대단히 잘 되어있다. 해외 여러곳을 다니며 삼엽충을 연구했던 저자의 노력도 책에 매우 잘 드러난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중국이나 일본의 고생물연구나 삼엽충에대해선 책에서 적잖게 나오지만 한국의 삼엽충과 고생물 연구에 대해선 일언반구조차 없다. 우리나라 고생물학 연구가 그만큼 부족하다는 증거일 것이다. 번역된 삼엽충 서적을 읽을 수 있어서 매우 흥미로웠다. 고생물을 연구하거나 진로를 그쪽으로 선택한 이들이라면 이 책을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3억년이라는 매우 긴 세월에 가려진 삼엽충의 진실은 매우 많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바람이 있다면 단순히 삼엽충 뿐만 아니라 고대에 살았던 악어 데이노수쿠스, 수장룡 엘라스모사우루스. 다이어트한 고래 바실로사우루스와 같은 여러 고생물들을 다룬 영문책들이 국내에 번역되어 공룡학자를 꿈꾸는 이들의 지식을 높여주어 한국의 고생물 연구가 지금 보다 더 발전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