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응오딘지엠(Ngô Đình Diệm)에 대한 재평가 주장을 알게 된 것은 아마 2018년에서 2019년 사이였던 것 같다. 베트남 전쟁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졌던(물론 지금도 마찬가지다) 나는 여러 관련 자료들을 찾아보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나무위키’에 있는 응오딘지엠 문서를 읽게 되었는데, 놀랍게도 응오딘지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담고 있었다. 나는 이것이 그저 나무위키만의 헛소리인 것으로만 생각했다. 그러나 이런 주장을 하는 인사들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나중에 알게 됐다.


응오딘지엠에 대해 재평가하는 주장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을 것 같다.


1. 응오딘지엠은 나름 민족주의 독립운동을 진행한 인물이다.

2. 응오딘지엠이 남베트남의 대통령일 당시 제법 탁월한 지도력을 보였으며, 따라서 응오딘지엠이야말로 공산주의에 맞서 싸울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이었다.

3. 미국의 잘못된 판단으로 응오딘지엠을 죽었으며, 그 이후로 응오딘지엠 만한 인물은 남베트남에 더 이상 등장하지 못했다.


이러한 주장을 하는 이들이 미국에 없을 것이라 생각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이들이 다큐멘터리를 만들 것이라고는 상상조차 못했다. 놀랍게도 미국에 사는 보트피플들은 2022년에 60분 짜리 다큐멘터리 하나를 만들었다. 바로 ‘Liberator of Asia: The True Story of Ngo Dinh Diem’이다. 다큐멘터리의 제목을 번역하자면, ‘아시아의 해방자, 응오딘지엠의 진짜 이야기’다. 말 그대로 응오딘지엠의 생애를 다룬 다큐멘터리다.


이 다큐멘터리는 응오딘지엠의 전반적인 생애와 그에 대한 재평가를 다루고 있다. 따라서 응오딘지엠을 아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들이 출현하여 인터뷰를 진행한다. 응오딘지엠의 조카와 응오딘지엠 정권 당시 그에게 충성한 일부 남베트남 고위층 인사·군인·경찰 등이 등장한다. 또한 프랑스나 미국 내에서 응오딘지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일부 서구의 학자들도 나온다. 이들이 주장하는 내용을 보고 있으면 응오딘지엠이 억울한 사람인가 하는 정신 나간 착각까지 들 정도다. 


당연한 얘기지만, 다큐멘터리는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측면을 다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중간중간에 베트남의 지도자 호치민(Hồ Chí Minh)을 포함하여, 북베트남과 베트민 그리고 베트콩에 대한 비난도 빠지지 않고 한다. 물론 이런 비난의 내러티브는 너무나도 전형적이다. 베트민이나 베트콩이 무고한 남베트남에게 테러와 폭력을 휘둘렀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다큐멘터리는 응오딘지엠 정부가 바오다이 정권을 축출한 이후 새 국가 건설에 나섰음을 강조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응오딘지엠 정부가 민족주의 교육을 했고, 군대를 재건했으며 사회도 재건했다고 언급한다.


그러나 이런 민족주의적이고 자유베트남을 위한 과정이 망하게 된 이유에 대해 다큐멘터리는 북베트남과 공산주의자들에 의한 것이라고 말한다. 베트민과 그 지지자들이 남베트남의 정부 관료들을 암살 및 테러했고, 그들을 잔혹하게 처형 및 학살했으며, 심지어 일반적인 남베트남 민간인들도 희생되었다는 것이다. 놀랍게도 다큐멘터리는 베트남 전쟁에 대해 조금이라도 공부해보면 알 수 있는 사실을 의도적으로 생략했다.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 이후 제네바 회담에 따라 분단된 베트남은 2년 이내에 통일을 위한 총선거를 실시해야 했다. 그러나 베트남 민중 최소 80% 이상이 호치민과 공산당을 지지할 것이라는 사실을 안 미국의 아이젠하워와 남베트남의 응오딘지엠이 총선을 일방적으로 파기했다. 그걸 생략한 채 다큐멘터리는 응오딘지엠 정부가 억울하다고 말한 것이다.


심지어 다큐멘터리는 응오딘지엠이 미국의 꼭두각시가 아니라는 주장도 한다. 말 그대로 말이 안되는 소리다. 다큐멘터리에 출현한 지엠 정부 시절 장관 출신인 레쩡꽛(Lê Trọng Quát)은 다음과 같음 말을 한다.


“저는 미국이 남베트남에 미군 정규병력을 불러와 배치하고 싶어 했던 것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지엠 대통령은 이에 동의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지엠 대통령은 내가 국방장관직을 맡고 있을 당시 직접 전화를 걸은 뒤 통화 중에 그런 식으로 나에게 직접 말했었죠. 지엠 대통령은 남베트남에 미군 전투부대가 들어오는 것을 원치 않았습니다. 지엠 대통령은 그런 행위가 베트남 민족주의자의 정당한 대의를 훼손시킬 수 있다는 점을 걱정했습니다. 지엠 대통령은 베트남을 보호하기를 원한다면 베트남인들에 의해서 지켜져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만약 남베트남에 외세의 군대를 주둔하는 것을 허용한다면, 베트남 공산주의자들이 이에 대한 악의적인 선전을 할 것이고, 남베트남이 미국에 종속적인 괴뢰라 선동할 것이 뻔하기 때문이었죠. 그래서 지엠 대통령은 이를 원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저는 응오딘지엠 대통령의 진정한 애국자였다고 봅니다.”


하지만 생각해보자, 당시 남베트남은 명명백백히 미국의 지원과 원조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국가였다. 남베트남의 응오딘지엠 정권은 미국의 허가 없이는 국가 정책 하나도 제대로 채택하지 못했다. 그리고 응오딘지엠이 남베트남의 초대 대통령이 될 수 있었던 것도 따지고 보면 미국의 전폭적인 지원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베트민은 프랑스에 맞서 싸우며 남베트남에서도 수많은 해방구를 건설했다. 그러나 이러한 해방구는 미국이 지원한 응오딘지엠 정권에 의해 탄압과 학살에 직면했다. 거기다, 남베트남은 정상적인 국가 건설 과정을 거친 것도 아니었다. 응오딘지엠이 1954년 베트남을 돌아왔을 당시, 그는 명백히 바오다이 꼭두각시 정부 밑에 있었다. 물론 그가 바오다이(Bảo Đại)를 축출했지만, 그가 건설한 국가는 과거 프랑스에 부역하던 민족반역자들이 정치인과 고위관료 그리고 군 장성을 하는 나라였다.


따라서 남베트남은 애초부터 정통성이라곤 전혀 찾아볼 수 없는 나라였다. 그런 나라에 미국이 반공을 내세워 대통령으로 만든 인물이 응오딘지엠이다. 심지어 1971년 미국의 1급 기밀문서인 펜타곤 페이퍼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마지막으로, 베트남에 대한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칠 요소들을 검토하는 차원에서 보자면, “남베트남은 본질적으로 미국의 창조물(동남아시아의 다른 국가들과는 달리)이었다.”는 명백한 사실을 우린 명심해야 한다. 미국의 지원이 없었다면, 응오딘지엠은 1955년과 1956년에 남베트남에서 자신의 권력을 절대 공고히 하지 못했을 것이다. 미국의 개입이라는 위협이 없었다면, 베트민 군대의 즉각적인 공격을 전혀 받지 않은 채 1956년 제네바 합의에 따라 요구된 선거에 대해 논의하는 것조차 전혀 거부하지 못했을 것이다. 매해 마다 지속적인 미국의 원조가 없었다면, 응오딘지엠 정권과 독립국가 남베트남 둘 다 확실히 생존하지 못했을 것이다.”


당시 베트남 전쟁을 계획했던 미국의 지도부가 내린 평가가 이러하다. 따라서 남베트남과 응오딘지엠은 미국의 창조물이며, 미국의 꼭두각시였다. 그러나 이 다큐멘터리는 그러한 사실을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심지어 베트민이나 베트콩의 테러를 다루는 다큐멘터리의 태도도 문제가 있다. 이들은 베트민이나 베트콩의 테러를 종종 언급하지만, 정작 남베트남의 응오딘지엠 정부가 얼마나 많은 사람을 죽였는지는 또 철저하게 외면한다. 


미국의 역사학자 가브리엘 콜코(Gabriel Kolko)에 따르면, 1955년부터 1957년까지 응오딘지엠 정권은 반대파 12,000명을 처형했다. 그리고 베트남 공산당 마르크스-레닌주의 연구소에서 나온 『베트남 공산당사』를 보면, 1954년부터 1959년까지 응오딘지엠 정권은 68,000명을 학살하고, 40만 명 이상을 체포 및 감옥에 구금했다. 노엄 촘스키(Noam Chomsky)나 에드워드 허만(Edward Herman) 또한 여러 저작에서 응오딘지엠 정권이 집권 기간 동안 16만 명의 민간인을 학살했다고 언급했으며, 역사학자 버나드 폴(Bernard B. Fall)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응오딘지엠 정권은 집권 기간 내내 자국 민간인에 대한 테러와 학살을 자행했다. 당연히 응오딘지엠 정권의 테러리즘은 베트민이나 베트콩 보다 훨씬 더 광범위 했다. 아래 제프리 레이스(Jeffrey Race)가 저서 『War Comes to Long An』에서 쓴 내용을 보자.


“정부의 테러 행위는 혁명운동 측 보다 훨씬 심한 것이었다. 예를 들면 베트민 출신에 대한 소탕작전, ‘공산주의 마을’에 대한 포격 및 지상공격, 그리고 ‘공산주의 동조자들’에 대한 검거 등이 그것이다. 1960년에서 1965년까지 롱안(Long An)에서의 혁명운동이 계속 강화되었던 것은 바로 정부측의 이러한 테러전략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 다큐멘터리는 이런 사실을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 그러면서 공산주의자만 남베트남 민간인들에게 무자비한 학살을 자행한 것처럼 역사를 왜곡한다. 또한 다큐멘터리는 1963년 남베트남 내부에서 일어난 반정부 시위에 대해서도 왜곡된 태도를 보인다. 1963년 6월 11일 분신자살을 한 틱광둑에 대해 폄하한다. 마치 틱광둑(Thích Quảng Đức)이 배후에서 조종 받은 것처럼 말이다. 더 나아가 다큐멘터리는 불교도 시위대에 공산주의자들이 침투해 있었다는 주장까지 한다. 즉, 공산주의 세력에 선동당한 불교도들이 응오딘지엠 정권을 몰락시켰다는 얘기다. 


여기서 생각해볼 점이 있다. 왜 불교도들이 반정부 시위를 벌였는지 말이다. 당연히 이 책임은 응오딘지엠의 가톨릭 우대정책에 있다. 응오딘지엠 정부는 불교를 심각하게 탄압했다. 불교도들이 석가탄신일을 기념하지 못하게 막았다. 틱광둑과 같은 고승이 분신자살을 한 것도 전적으로 응오딘지엠 정권에게 책임이 있다. 그리고 응오딘지엠의 재수인 마담 누(본명 쩐레쑤언, Trần Lệ Xuân)는 다큐멘터리에서 인용한 것과 같이, 고승의 분신자살을 “중놈이 바비큐가 된 것이다.”라고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폄하했다. 이런 나라가 정상적인 나라인지 한번 생각해보자. 불교도들이 베트콩에 동조한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다큐멘터리는 응오딘지엠 정부의 가장 큰 모순 중 하나인 토지 문제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 당시 응오딘지엠 정권은 과거 프랑스에 부역한 민족반역자들에게 토지를 분배했다. 예를 들어,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베트민들은 악질 지주로부터 토지를 빼앗아 빈농들에게 분배했다. 그러나 응오딘지엠 정권은 그 토지를 다시 빈농들로부터 빼앗아, 프랑스 시절 부역한 민족반역자들에게 되돌려줬다. 그리고 남베트남 정권에서 진행한 토지개혁도 오로지 가톨릭 신자들만 우대했다. 베트남 연구자이자 『호치민 평전』의 저자 윌리엄 J. 듀이커(William J. Duiker)는 남베트남이 가지고 있던 식민주의의 모순을 지적하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책에 집필했다.


“이전에 베트민이 장악했던 지역에 사는 농민은 프랑스-베트민 전쟁(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동안 받았던 토지를 전 주인에게 돌려주기도 했으며, 이 과정에서 강압적인 수단을 동원하기도 했다. 그런 농민이나 전국의 다른 많은 농민의 입장에서 보자면 지엠 정권은 식민지 시대의 프랑스 정권보다 나을 것이 거의 없었다.”


이게 바로 응오딘지엠 정권이 가진 모순이었다. 계속해서 미국의 역사학자 마릴린 B. 영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10/59법과 같은 정부의 테러행위는 남베트남 농촌지역에서 또 다른 문제들을 악화시켰다. 지주들에게 이미 분배가 끝난 땅을 다시 되돌려줌으로써, 농민들은 프랑스 식민지 통치시절 처럼 다시 한 번 무토지 소유자나 빈농이 됐다. 강제노동을 포함한 과거 베트민 시절 폐지된 세금이 다시 부활했고, 각급 관료조직들의 공공연한 부정부패가 눈에 띄게 나타났으며, 지방 민병대를 징집하여 강탈과 자의적인 체포를 일삼았다.”


이와 같은 내용들은 응오딘지엠의 진실 된 이야기를 추구하는 이 다큐멘터리에선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응오딘지엠의 독립운동에 대해서도 얘기해보고자 한다. 다큐멘터리는 응오딘지엠이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서 반공 민족주의 독립운동가였음을 강조한다. 그리고 변절하지 않고 반프랑스·반공노선을 추구했다는 점 또한 강조하고 있다. 물론 응오딘지엠 개인이 프랑스와 사이가 안 좋았고, 프랑스에게 전면적으로 부역한 것 또한 아니다. 그러나 응오딘지엠의 일가족들은 당시 프랑스 식민당국의 협력자들이었다. 즉, 응오딘지엠이 비교적 프랑스 부역 문제에서 자유롭더라도, 그의 일가족은 프랑스 식민당국의 협력자들이다. 


다큐에서 언급한 것처럼, 응오딘지엠의 형인 응오딘코이는 1945년 베트민에 의해 처형당했다. 이 사실을 다큐멘터리는 베트민의 무자비함 혹은 공산주의적 전체주의의 폭력성으로 설명한다. 물론 이런 단어 이용부터가 다큐멘터리의 성격이 얼마나 반공주의적 편향에 빠졌는지를 보여주는 예시다. 베트민이 응오딘지엠 형 응오딘코이를 산 채로 생매장 한 것은 당연히 응오딘지엠 입장에선 안타까운 일일 것이다. 그러나 베트민이 응오딘코이를 처형한 것은 그가 프랑스 식민당국에 부역한 반역자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응오딘지엠의 독립운동 이력도 솔직히 베트남의 국부인 호치민과 비교하자면 너무 초라하기 짝이 없다.


무엇보다 호치민과 베트남 공산당 지도부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제국주의를 몰아냈고, 1946년에 시작된 전쟁에서 민중들을 규합했으며,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대승을 거뒀다. 디엔비엔푸 전투 당시 베트민은 프랑스 최정예 부대를 섬멸했다. 프랑스군 2,293명이 전사하고, 6,650명이 부상당했으며 11,721명이 포로로 붙잡혔다. 베트민이 프랑스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 싸우고 있을 당시, 응오딘지엠이 한 일은 베트남을 떠나 미국의 뉴저지와 벨기에 브뤼셀에 머물면서 반공주의 인맥을 만든 것 밖에 없다.


마지막으로 응오딘지엠의 쿠데타에 대해 언급하겠다. 응오딘지엠이 미국이 일으킨 쿠데타로 제거 된 이후 남베트남은 응우옌반티우와 응우옌 까오 끼가 집권할 때까지 혼란의 연속이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것이 응오딘지엠 정권이 안정적이었다고 볼 수 있는 근거는 될 수가 없다. 왜냐하면, 1960년대 초 시작된 베트콩의 무장투쟁에서 응오딘지엠 정권은 무능력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나 1963년 1월 2일에 벌어진 압박 전투에선 남베트남군이 심각할 정도로 참패했다. 


2,000명에서 2,500명 이상의 남베트남군은 미군 고문단의 지원을 받았고, 장갑차와 항공기 그리고 헬리콥터까지 동원했다. 그러나 200~300명도 채 안 되는 베트콩들에게 패배했다. 남베트남군 80~90명이 죽고, 수백 명이 부상당했으며, 투입된 헬리콥터 15대 중 14대가 손실됐고, 이 중 5대가 완전히 격추됐다. 반면에 베트콩 측의 사상자는 전사자 18명 부상자 39명이었다. 심지어 베트콩은 남베트남군의 장갑차 진격도 저지했다. 미국의 지원에도 이런 허접한 군대를 유지했던 정권이 바로 응오딘지엠 정권이다.


60분 짜리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소름끼쳤던 사실이 있다. 바로 2022년 남베트남 보트피플들이 만든 이 반공주의 다큐멘터리가 현재 한국의 극우주의자들이 만드는 이승만 미화물과 논리적으로 너무나도 일치했기 때문이다. 역사적 맥락을 과감하게 생략하는 비약을 저지르며 반공주의 국가의 국가 폭력을 너무 쉽게 옹호하는 것도 똑같다. 한국의 극우주의자들이 무능하고 고집불통인 학살자 이승만을 미화한다면, 미국에 사는 보트피플들은 똑같은 논리로 학살자 응오딘지엠을 미화한다. 그런 점에서 다큐멘터리는 말 그대로 반공주의로 점철된 응오딘지엠 미화물이다. 다큐멘터리를 보면, 보트피플 중에 응오딘지엠 전기를 쓴 사람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나중에 이 책을 읽게 된다면, 비판적인 서평을 써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