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년 이승만 정부의 단독정부 수립에 맞서제주도에선 봉기가 일어났다제주도에서 봉기가 일어나자미군정과 이승만은 이를 막고자 했다그러나 미군정과 이승만의 정책은 제주도를 피바다로 물들이는 정책이었고이에 따라 상상을 초월하는 민간인 희생자가 발생했다최소 3만 명 이상의 제주도민이 제주 4.3 봉기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미군정과 이승만이 파견한 진압군에 의해 학살당했다그러나 이러한 숫자가 다소 적게 추산되었다는 의혹을 받기도 하며, 6만 명 정도가 이들에 의해 죽었다는 통계도 있고역사학자 브루스 커밍스의 경우 그 숫자가 8만 명일 수 있다고 2016년 제주도에서 열린 학술 포럼에서 주장하기도 했다.

(제주도에 방문하여 진압군을 사열하는 대통령 이승만, 당시 이승만은 제주도 진압을 명분으로 제주도에 계엄령을 선포했다.)

 

이러한 숫자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제주도 인구 최소 1/4이 학살의 피해자였다는 사실이다학살당한 이들의 수치가 보여주둣이제주도는 1948년부터 1949년 내내 섬 전체가 피바다였다그러나 제주 4.3 사건 당시 크게 얘기되지 않은 부분이 있다그것은 바로 미군정과 이승만이 파견한 진압군 지휘관들의 출신성분이다놀랍게도 제주 4.3 사건 당시 진압의 책임을 맡았던 주요 지휘관이었던 박진경최경록송요찬함병선유재흥 등은 모두 일본군 출신이었다일본군 출신인 이들은 일본군에서의 경험 덕분에 진압군으로 발탁될 수 있었다.

(제주 4.3 봉기를 진압했던 이들이 했던 발언)


(현재 제주4.3평화박물관에 있는 묘지)

 

박진경은 일본군 학병 출신으로 태평양 전쟁 말기 제주도에서 일본군 장교로 근무에 제주도에 구축된 진지구조와 지형에 익숙했다박진경이 암살당한 이후 부임한 11연대장 최경록은 일본군 지원병 1기 출신으로 태평양 전쟁 당시 실전경험이 풍부한 것으로 확인된다그는 일본군 제78연대에서 하사관 후보생 시험에 합격한 뒤 군조 대 일본 육사시험에 합격해남태평양의 뉴기니에서 전투를 하다 종전이 돼 준위로 귀국한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심지어 그는 1989년 주일대사로써 일본 산케이신문에 기사를 기고 했는데그 기사에는 일본은 자위대의 명칭을 일본국군으로 바꾸고 당당히 군사력을 강화해 아시아의 방파제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썼던 인물이다.

(4.3 사건 당시 토벌대 사령관이던 유재흥, 놀랍게도 한국말을 잘 못했다고 한다.)


(4.3 사건 당시 암살당한 박진경을 대신해 부임한 최경록, 이후 주일본대사관을 지냈던 그는 1989년 일본 자위대를 칭송하는 글을 산케이 신문에 실었다가 물의를 일으키기도 했다.)

 

1960년 4.19 혁명 때 이승만의 진압 명령을 거부했던 송요찬의 경우 일제시대 당시 일본군지원병훈련소에서 조교생활을 하다가 조장(상사)까지 진급한 일본군 지원병 출신이다2연대장 함병선도 제주도 토벌작전을 전개한 전임 지휘관들과 마찬가지로 일본군 지원병 출신이며낙하산 부대에서 근무한 경험을 가진 일본군 준위 출신이다. 2연대 출신 최갑석은 함병선에 대해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

 

함 연대장은 국내 전투에는 한 번도 빠진 적이 없이 참가한 군인이었다그는 국군에 들어와서는 여순사건제주4.3사건옹진지구 전투홍천 전투춘천 수복 전투, 6.25전쟁 등 한국군의 전장에는 반드시 그 복판에 있었으며 혁혁한 공을 세웠다일본군 준위와 상사 출신은 사관학교 출신보다 실전 경험이 많고그래서 전쟁의 난국에는 머리 좋은 장교들보다 이들의 용맹성·효용성이 더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함 연대장이 그 대표적인 인물인 것이다.”

 

제주도지구전투사령부 사령관으로 토벌을 지휘한 유재흥은 일본 육사 55기로 일본군 대위 출신이며해방 이하 한국전쟁이 끝날 때까지도 한국어가 서툴러 통역의 도움을 받기도 했다유재흥은 대위 시절인 1943년 이광수·최남선 등과 함께 일본 메이지 대학에서 조선인 학병 지원을 촉구하는 연설을 할 정도로 친일파 출신 장교였다주한미대사관은 그를 말과 행동이 너무 일본식이기 때문에 한국적 방식에 적응할 수 없지만동급의 한국군 장교들보다 훨씬 더 영어를 잘 구사하고 이해한다고 평가했다.

(제주 4.3 사건 당시 진압군이 적색지역으로 설정한 곳에서 속출한 희생자들을 나타내는 지도)

 

국방경비대 사관학교(육사) 4기로 1947년 9월 10일 졸업한 황인성은 임관과 동시에 동기생 4명과 함께 9연대 소대장으로 발령을 받아 1948년 1월 광주의 4연대 지불관으로 전출될 때까지 제주도 주둔 9연대 1소대장으로 근무했다그에 따르면당시 육사에서는 일본군의 보병조전’, ‘작전요무령등을 사용했고미군의 야전교범도 조금씩 번역돼 사용되기 시작했다일본군과 미군의 군사교육이 혼합된 체제였던 것이다.

(이후 진실화해조사위원회의 활동으로 발견된 학살로 희생된 이들의 유골)

 

이러한 사실을 통해 알 수 있는 건 제주 4.3 봉기 당시 미군정이 도왔던 토벌군 지휘관들이 일본군에서 경력을 쌓았던 인물이었다는 사실이다결국 이들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에서 쌓은 전투경험이 제주 4.3 봉기를 진압하는 데 이용됐고그 과정에서 무고한 민간인 희생이 발생했다무엇보다 제주 4.3 사건 당시 희생자들 중 90%가 이들에 의한 희생이었다는 점에서 우리 역사의 흑역사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허호준그리스와 제주비국의 역사와 그 후그리스 내전과 제주4.3 그리고 미국선인,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