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만주는 토벌과 반토벌의 격전지였다. 1931 9 18일 일본은 만주사변을 일으켜 침략의 마수를 드러냈고중국인과 조선인은 공산당을 중심으로 저항했다일본 제국주의자들이 만주를 침략한 이례로중국 공산당 휘하의 중국인과 조선인들은 일본군에 맞서 무장투쟁을 전개했다이들의 저항이 거세지자 일제는 대대적인 대토벌 작전을 전개했었다. 1933 11월 일제의 동만 지역 2차 대토벌에만 보병기병포병을 포함한 6,000명의 병력과 전투기가 동원됐으며, 3차 대토벌은 1935년까지 전개됐다만주지역 일본의 관동군 숫자는 1941년 독소전쟁이 일어나는 시점에서 대략 70만 명으로 증가했고, 600대의 전투기도 주둔했다.

(마오쩌둥과 홍군, 대장정 이외에도 중국 공산당 병력들은 만주사변 이후 만주에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했다.)

 

만주에 주둔한 일본군 병력 규모에서 알 수 있듯이일제는 만주 지역에 대규모 병력을 투입했다. 1941년 일제가 진주만을 기습 공격하여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음에도만주 지역 관동군은 1945년까지 대부분 주둔하고 있었다일본이 만주사변을 일으킨 이례로 중국 공산당은 만주에서 무장투쟁을 전개했다무장투쟁을 전개했던 이들 중에는 조선인들이 많이 있었으며이후 북한의 초대 지도자가 되는 김일성도 그 중 한 사람이다김일성만 하더라도 1935년 중국 공산당 병력과 연합한 2,000명의 병력으로 일본군 부대를 습격해 6일 동안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심지어 1937년에는 소위 국내 보천보에 잠입하여 소규모의 교전을 치르고 난 뒤무사히 후퇴하기까지 했다동북항일연군 잔존 병력을 이끌던 허형식은 1942년 8월 일본군과 교전을 치르다 전사했다.

(동북항일연군 대원들)

 

중국인과 조선인의 항일무장투쟁이 격렬했기 때문에 일본군은 무자비한 토벌을 감행했다중일전쟁 발발 1년이 되던 1938년 일제는 그 악명 높은 간도 특설대를 창설하여중국 공산당 휘하의 부대 및 독립군들을 토벌하는 일에 착수했다일제는 만주에서 일어나는 항일투쟁의 뿌리를 뽑고자이른바 모든 것을 태우고죽이고약탈하는” 삼광작전을 감행하여 무자비한 양민 학살과 토벌을 자행했다삼광작전의 일환으로 일제는 이른바 집단부락이라는 것을 세웠다집단부락은 항일 유격대의 근거지를 철저하게 토벌하고 불태워 버린 뒤 그 주변에 흩어진 농가의 백성들을 강제로 집결시켜 하나의 부락에 수용하는 정책이다이후 비슷한 정책이 제주 4.3 사건 당시 한국 군경과 미군에 의해 사용됐고베트남 전쟁 당시에도 전략촌이라는 이름하에 자행됐다.

(동북항일연군의 깃발)

 

히틀러가 폴란드를 침공하기 며칠 전 동북항일연군 휘하 병력 600명은 일본군에 맞서 승리를 쟁취했다그 전투가 바로 다샤허 전투다당시 전투에 참가한 동북항일연군 제3방면군은 웨이정민과 천한장이 지휘했으며전투에 참가한 대다수 인사들은 조선인이었다. 1939년 8월 23일 동북항일연군은 일제가 만들어 놓은 집단부락을 포위해 공격했고집단 부락 안으로 밀고 글어가 치열한 전투를 치렀다동북항일연군은 이 과정에서 만주국 경찰 및 자위단 병력 다수를 사살했고대략 100여 명의 일본군을 사살했다이 소식을 들은 일본군은 수백명의 병력을 그곳으로 보냈다.

(다샤허 전투에서 전사한 허성숙의 전투 장면을 묘사한 그림)

 

다음 날에도 전투가 벌어졌다집단 부락에 도착한 일본군 수비대는 항일연군의 기습공격을 받았다이 전투에서는 당시 창설된 지 얼마 안 된 간도 특설대도 참여했다고 한다동북항일연군은 일본군 수비대가 집단부락의 일본인 주검을 수습해 돌아가는 것을 노렸으며, 7대의 트럭에 분승한 토벌대 차량 대열의 선두차가 대낮에 류슈 촌 부근에 미리 파놓은 물웅덩이에 빠져 정착하자 기습 공격을 가했다고 한다기습 공격을 받은 일본군 부대는 간도 특설대 대원 4명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멸했다다샤허 전투에 관한 내용은 <연변인민 항일투쟁사>에 보면 다음과 같이 나왔다.

 

대사하 전투에서 제3방면군 부지휘관 후국충은 한 개 연대 40명을 인솔하여 양목조자에 매복하고 있다가 안도현성에서 증원병력으로 오는 100여 명의 일본군과 만주국 경찰에게 불의의 사격을 가하여 적을 무리로 쓸어 눕혔다살아남은 적들은 살구멍을 찾아 황급히 흩어졌다그런데 이 요격전에서 부지휘관 후국충이 적의 흉탄에 맞아 장렬한 최후를 마쳤다1호군 제3방면군은 가장 어려운 시기에 우수한 군사 지휘관을 잃었다.”

 

출처연변인민 항일투쟁사 p.350~351

 

2일간의 전투는 동북항일연군의 승리로 마무리 됐다다샤허 전투에서 대략 200명의 일본군을 사살하고 경기관총 7정을 포함하여 모두 200여 자루의 총기를 노획하는 전과를 올렸다하지만 인용문에 나와 있듯이3방면군의 희생도 컸다부지휘관인 후국충이 전사했고그를 포함하여 14단 정치위원 양형후, 13단 1연의 여자 기관총 사수 허성숙 등이 전사했다이후에도 항일연군은 일제가 만들어 놓은 집단부락을 타격 대상으로 삼으며 급습했고성과를 거두기도 했다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는 1939년 9월부터 12월 사이에 다샤허 전투를 승리로 이끈 동북항일연군 제3방면군은 집단부락을 습격하여 일본군 무장자위단원 100명을 포로로 붙잡고식량과 군용물자를 노획했었다최현이 있던 부대는 화전현 한총구에서 집중훈련을 받고 있던 만주군을 습격하여 그 대부분을 포로로 붙잡고 경기관총 7소총 600자루권총 10자루와 기타 군수물자를 노획하기도 했었다.

(동북항일연군 지도부의 얼굴)

 

1940년 1월부터 6월까지 간도성의 옌지허룽왕칭안투 네 현에서만 모두 46회의 집단부락 공격이 존재했다다샤허 전투 이후 만주국 정부는 숨진 특설부대원 16명의 장례식을 밍위에거우에서 성대하게 치르고이들이 숨진 장소에 16용사 전적비를 세워 순국열사로 기렸다이 전적비는 1945년 일제가 패망하고 난 뒤 철거됐다이처럼 만주에서는 일본군에 맞서 티열한 항일무장투쟁이 전개됐다그리고 만주에서 일본군에 맞서 싸웠던 이들 중에는 조선인들이 다수를 차지했다이들의 투쟁은 분명히 독립운동이었지만대한민국 교과서에는 언급되지 않고 있다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다.

 

참고문헌

 

최성춘연변인민 항일투쟁사연변대학, 1999

 

김효순간도특설대서해문집,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