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이론의 창시자로 알려진 카를 마르크스(Karl Marx)19세기 당시 철학, 정치학, 경제학, 역사학 등 사실상 모든 분야를 섭렵했었다. 따라서 그가 천재적인 인물로 평가받았던 이유에는 이러한 이유가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카를 마르크스에게는 자신을 재정적 그리고 철학적으로 보조해주는 동지 한명이 있었다. 그가 바로 프리드리히 엥겔스(Friedrich Engels)였다.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첫 만남을 가졌던 것은 184211월 어느 날이었다. 이 만남을 통해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평생의 벗이자 동지가 되었다. 오늘은 바로 마르크스의 평생 동지인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생애를 다뤄보고자 한다.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18201128일 프로이센의 바르멘(Barmen)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방적공장의 소유주였다. 당시는 산업혁명이 한참이었기에, 이러한 공장 소유주는 당시 대 부르주아 계급을 상징한다고 봐도 손색이 없다. 또한 엥겔스의 아버지는 열성적인 기독교 신자였으며, 보수적인 성향을 지닌 인물이었다. 따라서 엥겔스의 아버지는 자식들을 엄격한 부르주아적 행동규범과 정통 신앙 아래에서 자식들을 키우고자 했다. 엥겔스가 17살이 되던 해 그의 부친은 공부하는 아들을 억지로 집으로 불려 들여 가업을 돕게 했다. 부친의 뜻을 크게 거부하지는 못했으나 엥겔스는 학업을 포기하지 않고 독학으로 철학, 물리, 화학 등 과학적 지식과 역사 그리고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라틴어 등 무려 10개 국어를 익혔다. 당시 엥겔스가 가장 즐겨 읽었던 책은 독일 관념론 철학의 아버지인 헤겔의 저서들이었다.

 

1841년 엥겔스는 21살의 나이에 군에 입대했다. 이 시기 엥겔스는 자주 베를린 대학으로 가서 청강했고, 청년 헤겔파의 한 사람이었던 브루노 바우어(Bruno Bauer)와 친밀한 관계를 쌓았다. 당시 바우어는 마르크스와도 매우 친한 관계였고, 엥겔스 또한 친구들의 이야기를 통해 마르크스를 알게 됐다. 당시 엥겔스는 마르크스를 직접 만나지는 못했지만, 트리어의 아들이라는 제목의 시를 써서 마르크스를 찬양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1842년 엥겔스는 부친에게 밀려 경영학을 공부하기 위해 영국 맨체스터로 갔다. 물론 그가 영국에 간 것은 아버지 회사를 경영해야 했기 때문이었다. 겉으로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회사를 상속받기 위한 훈련을 받는 것처럼 보였으나, 그 기회를 틈타 엥겔스는 자본주의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당시 영국 맨체스터는 1842년 총파업의 중심지였고, 차티스트를 비롯한 온갖 선동가들이 들끓는 곳이었다. 이곳에서 엥겔스는 산업자본주의의 실상을 목격했으며, 이때부터 정치경제학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엥겔스와 마르크스가 처음 만난 것은 184211월에 일이었다. 당시 엥겔스는 독일 쾰른에 있는 라인신문사무소를 방문하여 마르크스를 만났다. 사람들이 상상하는 것과는 달리 엥겔스와 마르크스의 만남은 그리 낭만적이지 않았다. 두 사람은 뜨거운 악수나 포옹 같은 것을 하지 않은 것은 물론이거니와 마르크스는 엥겔스에게 담배 한 대조차 권하지 않았다. 그냥 한번 인사를 나누는 정도였다. 이것이 엥겔스와 마르크스와의 첫 만남이었다. 마르크스가 엥겔스에게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엥겔스가 독일-프랑스 연보에 보낸 토마스 칼라일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서평과 정치경제학 비판때문이었다. 엥겔스의 정치경제학 비판을 읽은 마르크스는 이에 대해 천재의 작품이라고 극찬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두 번째 만남은 18448월 어느날이었다. 엥겔스가 마르크스를 두 번째로 만나기 위해 영국에서 파리로 찾아왔다. 이번 만남에서는 마르크스가 엥겔스의 진실성과 솔직함을 보았음을 인정했으며, 엥겔스는 마르크스가 자신을 인정해주고 격려하는 것을 느꼈다. 이후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절친이 되었고, 10일 동안 파리 노동자 집회에 참석하는 등 여러 활동과 만나며 친분을 쌓았었다. 또한 이들은 저서를 공동집필했는데, 바로 신성가족(The Holy Family)였다. 1845년 마르크스는 벨기에에 있었는데, 경제 사정의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자 엥겔스는 마르크스와 함께하기 위해 벨기에 브뤼셀로 와서 이웃이 되었다. 더 나아가 이들은 함께 투쟁하는 전우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공동 작품 하나를 집필했는데, 그것이 바로 독일 이데올로기(The German Ideology)였다. 독일 이데올로기는 프롤레타리아 사회주의를 반대하는 청년헤겔학파에 맞서기 위한 목적에서 집필됐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공산주의 사상가인 바이틀링이 주도하던 독일 망명가들의 비밀 조직인 의인동맹(der Bund der Gerechten)’에 들어갔으며, 1847년에는 이 조직을 공산주의자 동맹이라는 공개된 혁명조직으로 바꿨다.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라는 새로운 구호가 이 과정에서 새롭게 탄생했다. 184711월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공산주의 동맹이 영국에서 연 제2차 대표대회에 참석했다. 3개윌 후인 18482월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공동으로 초고를 쓴 저서를 발간했는데, 그것이 공산당 선언(The Communist Manifesto)이었다. 1848년 프랑스에서 혁명이 일어났는데, 당시 마르크스는 엥겔스와 함께 신라인신문을 발간했다. 다만 이들이 의도했던 독일 전역에서의 혁명은 무마됐고, 반란 선동죄로 마르크스는 18495월 독일에서 추방당했다. 엥겔스는 마르크스를 도와 영국 런던에 정착하도록 재정적으로 도왔다.

 

이후 엥겔스는 부친과 타협하여 맨체스터의 한 회사에서 직원으로 일하기 시작했는데, 이 시점부터 대략 10년간 엥겔스는 마르크스에가 모두 3,000여 파운드를 보내 주었다. 이 돈 덕분에 마라크스의 가족은 가장 힘든 고비를 넘길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엥겔스는 1850년에는 독일 농민전쟁(The Peasant War in Germany)1852독일에 있어서의 혁명과 반혁명(Revolution und Kontrarevolution)등 다수의 저작을 남겼다. 이후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1864년에 이른바 제1 인터내셔널(The First International)을 결성했고, 3년 뒤인 1867년에 나온 마르크스의 자본론(Das Kapital)집필을 도왔다.

 

1 인터내셔널은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이후 연합 내의 격렬한 이데올로기 논쟁에 휘말렸으며, 특히 무정부주의자 미하일 바쿠닌(Mikhail Bakunin)과 의견차이가 격렬했다. 결국 바쿠닌파의 분파 활동으로 조직 내의 갈등이 심화되고 파리코뮌의 와해로 탄압이 강화되자 더 이상 조직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 제1 인터내셔널은 1879년에 해체되고 말았다. 이후 엥겔스는 1878년에는 반뒤링론(AntiDühring)1884가족, 사유재산 및 국가의 기원(Der Ursprung der Familie, des Privateigentums und des Staates, 1886포이에르바하론등을 집필했다. 그리고 마르크스가 자본론을 집필하던 중 사망함에 따라, 자본론2권과 제3권을 출판했다. 3권은 1894년에 집필이 완결됐다. 그러던 189585일 엥겔스는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유작은 자연변증법(Dialektik der natur)이었다. 당시 엥겔스는 유럽 국가들에 있어 노동운동의 지도적인 중심인물이었고, 그의 유해는 그의 유지(遺志)에 따라 해저에 가라앉혀졌다.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카를 마르크스와 더불어 그 시기 거의 모든 분야를 섭렵한 철학자아자, 경제학자 그리고 사상가였다. 정치·철학·역사·과학·자연·가정·인종·언어·경제 등 거의 모든 분야를 섭렵했다. 또한 그는 대부르주아지의 아들로써, 프롤레타리아트 세상에 자신의 모든 재능을 바쳤다. 그는 마르크스와 더불어 유물론 철학의 토대를 세웠으며,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정치경제학적인 측면에서 변증법적으로 분석한 자본론을 완성시킨 인물이었다. 그 외에도 여러분야의 많은 분석을 내놓았다. 예를 들면 가족, 사유재산 및 국가의 기원(Der Ursprung der Familie, des Privateigentums und des Staates은 전통적인 가족관과 자본주의 사회에서 형성되는 가족관에 대한 비판을 담았으며, 새로운 역사적 분석을 내놓았다. 사실상 거의 모든 분야를 섭렵한 엥겔스의 사상은 마르크스와 더불어 지금도 많은 점을 시사해주고 있으며, 기본적인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