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년 9월 경 미 국무부는 "공산주의자 호치민이 인도차이나에서 가장 강력하고 능력있는 인물이고, 그를 배제한 어떠한 해결 방안을 통해서도 확실한 결과를 장담할 수 없으며", 그가 이끄는 공산주의자들이 "민족주의 운동을 장악하고 있다"고 단언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도차이나에서 공산주의 세력을 제거하는 것"을 ‘장기적인 목표‘로 삼고 있는 미국이 "인도차이나 문제를 해결할 실질적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무능함"을 개탄했다. 그런데도 미국은 프랑스가 베트남을 공격하는 명분을 지지하면서 프랑스와 합의한 대로 전쟁 비용의 80%를 부담했고, 직접적인 공격을 감행할 계획을 마련했다. - P309
디엠은 아무리 반공주의자라고 하지만 무차별적으로 반대의견을 억압했는데, 그는 태평양을 건너오는 막대한 달러로 간단하게 이런 일을 해치웠다. 그 돈은 인간적이고 정치적인 문제로 오래전에 축출당할 뻔했던 한 남자에게 권력을 안겨주었다. 디엠의 중요한 지지자들은 자유 베트남이 아닌 북아메리카에 있었다. - P310
전쟁 말기에는 인도차이나 반도의 총 사망자 수가 400만 명 이상에 달했고(각주 1), 국토와 사회가 심각하게 훼손되었다.
각주 1) 폴 퀸저지(Paul Quinn-Judge)는 1965년 이후에 베트남에서 발생한 사망자만 해도 300만 명을 넘어섰을 것이라고 보도했다.(Far Eastern Economic Review, Oct. 11, 1984.) - P313
평화 정착을 성공적으로 좌절시킨 미국과 그 꼭두각시 정권은 수십만 명을 투옥하고 또 그만큼의 인명을 살해하면서 내적인 탄압에 착수했다. 디엠의 지지자이자 고문인 조셉 버팅어(Joseph Buttinger)는 1956년 "대규모 원정대"의 병사들이 "공산당 점령 지역에서 최소한의 무력을 사용했다"고 설명했지만 이들은 마을을 습격하고 수백 혹은 수천 명의 농민을 살해했다. 이 사건은 아직까지도 "미국인에게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주요한 탄압 대상은 반프랑스 저항세력과 베트민이었고 1950년대 후반에는 많은 인명이 희생되었다. 그들이 폭력에 의지한 이유는 간단했는데, 이는 많은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농민을 규합해서 NLF를 재조직하는 데 성공한 베트민을 견제할 유일한 대응책은 폭력뿐이었다. 미국에게는 활동무대를 취약한 정치 분야에서 무력 분야로 변경하는 것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던 것이다. - P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