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지역에서 패배했지만 적(프랑스군)은 여전히 상황을 과소평가하고 있었다그들은 디엔비엔푸를 쉽게 점령한 나머지우리가 그곳을 공격할 만큼 강하지 않다고 여겼다집단전술기지가 매우 강력하게 구축된 데다디엔비엔푸와 아군의 후방지역이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우리가 병참선을 유지할 수 없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베트남 콘툼성, 콘툼성은 베트남 중부고원지대에 있다. 이 지역은 이후 미국이 치른 베트남 전쟁에서 베트콩과 미군이 결전이 벌어지는 전쟁터가 된다.)

 

적은 우리가 여러 전선에 걸쳐 공격을 진행중이므로디엔비엔푸에 대한 공격을 주저할 것이고보급의 어려움을 안고 있으므로 조만간 북서지방으로 달아날 것이라고 생각했다그리고 우리가 일련의 문제를 감수하고 그들을 공격하더라도우리 정규군의 일부를 격멸하고 뚜언자오(Tuần Giáo)와 손라(Son La)를 점령하여 최종적으로 나산(Nà Sản)에 복귀하는 기존의 계획을 이행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안케 전투 당시 베트민군과 교전을 하고 있는 프랑스군과 장갑차)

 

적이 15개 대대를 동원해 1954년 1월 20일부터 제5연합구역 내에 위치한 푸옌(Phú Yên) 남부에 공세를 전개한 것도 동일한 맥락이었다아틀랑트 작전으로 명명된 이공세는 나바르 계획의 전략적 공세로중부의 남쪽지역에 있는 모든 해방구의 점령이 목적이었다적이 우리 해방구를 공격했음에도불구하고5연합구역의 우리 군대는 가장 결연하게 그들의 계획을 이행했다적에 대항하고 우리 후방지역을 엄호하기 위해 후방에 극소수의 부대만 남겨놓고주력은 적이 상대적으로 노출된 전략적 요충지역인 떠이응우옌(Tây Nguyên)을 점령했다.

(전투에서 손실된 프랑스군 탱크, 손실된 탱크가 M4 셔먼인걸로 봐선 미국으로부터 지원받은 것으로 보인다.)

 

공세는 1954년 1월 26일에 시작되었다다음날우리는 이 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지방인 망덴(Măng Đen)구역을 확보했다뒤이어 닥또(Dacto) 초소를 무너뜨리고콘툼성의 모든 북부지역을 해방시켰다. 2월 5우리는 콘툼시를 해방시키고 적을 떠이응우옌 북부에서 밀어내어 9번 국도까지 전진했으며한편으로는 플레이쿠(Pleiku)시를 공격했다적은 진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제5연합구역에 대한 공세를 멈춰야 했다그리고 떠이응우옌의 남부에 위치한 일련의 요새와 플레이쿠시에 병력을 증원하여 우리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많은 프랑스 부대들이 중부 라오스와 빙찌티엔에서 철수했다.

(당시 전투에 투입되었던 베트민군)


콘툼의 승리는 동춘 전역에서 거둔 우리 인민과 군의 또 다른 위대한 성공이었다우리는 제5연합구역에서 적의 꽝남성꽝응아이성에 대한 위협을 불식시켰으며떠이응우옌 북부에 16에 달하는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를 해방시켰다우리 해방구는 꽝남과 꽝응아이 해변에서 베트남-라오스 국경선까지 확장되어해방된 라오스의 볼라벤 고원지대와 연결되었다이번 승리는 당중앙위원회 지도 원칙의 가치를 전적으로 입증시켜주었다적은 점점 더 수세로 몰려갔다적은 중부 라오스 중원을 위해 북부 삼각주의 병력을 전환시키고이후에도 라오스 방면과 빙찌티엔에서 떠이응우옌으로 전환시켜야 했다.

(안케 전투 승전 기념 행사, 2015년 베트남에서 열린 행사 같다.)

 

적은 제5연합구역을 공격점령할 목적으로 전투력을 집중시켰으나이제 우리 공세에 맞서기 위해 계획을 중지하는 수밖에 없었다적은 병력을 집중시키기를 원했으나계속 분산을 강요받았다플레이쿠와 떠이응우옌 남부에 있는 일련의 요새들은 프랑스 부대들이 몰려드는 4번째 지역이 되었다떠이응우옌에 대한 아군의 공격은 승세를 타고 1954년 6월까지 계속되었다우리의 대성공 중에는 한국에서 막 돌아온 제100기동연대를 각개격파한 안케의 승리도 포함되었다우리는 안케를 해방시키고 많은 차량무기와 탄약을 노획했다.

 

출처 디엔비엔푸 p.439~4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