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세계의 붉은 별 - 러시아 혁명은 제3세계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비자이 프라샤드 지음, 원영수 옮김 / 두번째테제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학교 중간고사 기간이라는 이 바쁜 와중에 시험 공부를 하며 짬짬이 읽은 책이 있다. 그 책이 바로 제3세계의 붉은 별(The Red Star Over The Third World)다.

1917년에 일어난 러시아 혁명은 전 세계적으로 어마무시한 영향을 주었다. 볼셰비키 혁명가 블라디미르 레닌이 외쳤던 식민지 해방과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단결을 통한 궁극적인 사회주의 국가 건설은 자유와 평등이라는 가치를 알던 당대의 식민지 국가의 젊은이들을 감동시켰다. 대표적으로 대략 70개의 가명을 사용했던 베트남의 혁명가 호치민이 그랬고, 일제 시기 식민지 조선의 독립운동가들이 그러했다.

러시아 혁명은 비단 유럽과 서방 세계에만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소냉전기 소위 ‘제3세계(The Third World)‘라 불렸던 국가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러시아 혁명의 전파는 비록 교조적이지는 않을지라도 1949년 중국에서 공산당이 집권을 하게 되었고, 쿠바에서는 친미 독재자 풀헨시오 바티스타를 축출하여 피델 카스트로의 사회주의 정권을 탄생시켰으며, 1975년 미제국주의에 맞선 베트남 혁명을 승리로 이끌었다.

더 나아가 제3세계에선 미제국주의와 자본주의 그리고 독재에 맞서 공산당을 비롯한 각종 사회주의 단체들이 활동했는데, 책 저자의 출신지인 인도도 그러했고, 인도네시아와 콩고 그리고 그외의 남미와 아프리카 국가들이 그러했다. 그러나 그런 투쟁은 독재정권이나 소위 서방 제국주의에 의해서 무자비한 학살로 끝나기도 했는데, 1960년대 인도네시아의 발리섬에서 일어난 대학살은 대략 100만이나 되는 공산주의자와 혁명가 그리고 민간인들을 죽게 만들었다. 그외에도 칠레와 같은 남미국가들에서도 미제와 군부독재에 의해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학살 당했었다.

책 저자는 제3 세계 국가들이 1917년 레닌의 혁명으로 탄생하고 1930년대 스탈린의 공업화로 성장한 소련의 사례로 부터 많은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맞는 말이다. 비록 소련의 공업화 과정에서 무리하게 진행된 부분도 있었지만, 하늘을 치솟던 소련의 문맹률이 1930년대를 거치며 현저하게 줄어들었고, 국가라는 기구가 인민대중의 삶과 복지를 위한 방향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군의 전쟁기계를 막아냈던것도 역시 소련이었기에, 제3세계의 의식있는 젊은이들은 이로부터 많은 영감을 받았던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 해서 제3 세계가 소련의 사례를 교조적으로만 따랐던 것은 아니었다.

저자가 인도인이다 보니 인도의 사례가 책에서 적잖게 등장한다. 이를 통해 필자가 알 수 있었던 것은 비록 현재 인도는 카스트 제도라는 봉건적 잔재를 벗어나지 못했지만, 그런 수구적인 체제에서 사회주의를 위해 투쟁해온 의식있는 인도의 남녀혁명가들이 100년 전 부터 존재했다는 사실이다.

위에서 상술했듯이 이 책은 러시아 혁명이 어떤식으로 제3세계에게 영향을 주었는지를 간략하게 분석한 소책자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제3세계의 운동이 단순히 소련을 모방한 것이 아닌 토착적 뿌리를 지닌 해방적 근대의 한 계획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이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